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3201171
한자 金山鄕校
영어공식명칭 Gimsan Confucian School
영어음역 Gimsan Hyanggyo
이칭/별칭 금산향교
분야 종교/유교,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적/건물
지역 경상북도 김천시 교동 437
시대 고려/고려 후기,조선/조선 전기
집필자 임삼조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문화재 지정 일시 1992년 7월 18일연표보기 - 김산향교 경상북도 문화재자료 제257호 지정
문화재 지정 일시 2013년 4월 8일연표보기 - 김산향교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463호 지정
문화재 지정 일시 2021년 11월 19일 - 김산향교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재지정
개축|증축 1634년연표보기
현 소재지 경상북도 김천시 교동 437 지도보기
성격 향교
정면 칸수 5칸[대성전|7칸[명륜당]]
소유자 경북향교재단
관리자 김산향교
문화재 지정번호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정의]

경상북도 김천시 교동에 있는 조선 시대의 지방 교육 기관.

[개설]

조선 시대에 김산향교에서는 학생 50명을 수용해서 훈도가 교육을 맡았다. 김산향교는 현 김천시 봉산면·어모면·대항면·조마면·감천면·구성면의 일부[전 과곡면]와 김천 시내를 관할하였다. 18세기 김산향교의 모습은 여이명(呂以鳴)이 1718년에 작성한 『금릉지』에 잘 나타나 있다.

“내가 어렸을 때 향교에 출입하면서 어른들의 인사하고 사양하는 예절을 보고 과연 인륜이 밝음을 알게 되었다. 그때부터 조심하는 마음이 생겨 비록 몽매한 나로서도 교문을 들어설 때 의용을 바로 하고 앞뒤를 가려 태만한 생각을 내지 못했다. 요즘에 와서 의론이 각각 달라 자기편의 그릇된 일도 엄호함은 동재뿐 아니라 서재에서도 마찬가지이다. 전에 동·서재에 유생이 오, 육십여 명에 불과했다. 그런데 지금에 와서 백여 명이 넘어, 향사일과 문회 때에 큰소리로 떠들어 대고 아무렇게나 앉아서 농지거리나 하고, 젊은 사람이 나이 많은 이를 이기고, 천한 사람이 귀인을 능멸하는 등 망측한 일이 한 두 가지가 아니다. 식자들 간에는 한심한 일로 여겨온 지 오래다. 그간 그 폐단을 바로잡으려는 사람이 한 둘 없었던 것은 아니다. 그러나 한두 손으로는 어찌할 도리가 없으니 한탄할 노릇이다. 교임 선임에 있어서도 문필이 있는 사람을 골랐는데, 근래에 와서 배우지 못한 자들이 뽑혔다. 그래서 글귀가 맞지 않고 아무 곳에서나 뒹굴어 자고 하여 수치스러움이 이만 저만이 아니다.[중략]”

[위치]

김천시 교동 오파산(五波山) 밑에 위치하고 있다. 주변에 김천예술고등학교가 있다.

[변천]

김산향교의 설립 시기를 확인할 수 없지만, 각 지방에 학(學)을 설립하라는 조칙이 내려진 1127년(인종 5) 혹은 안찰사로 하여금 부·목·군·현에 각 1교씩을 설립토록 한 1392년(태조 1)으로 추측된다. 현 김산향교는 1592년 임진왜란에 소실되었다가, 1634년(인조 12)에 강설(姜渫) 등이 개인 재산을 들여 대성전과 명륜당을, 그의 아들 강여구가 동재·서재·묘문(廟門)을 중수하였다. 이 때 창석(蒼石) 이준이 상량문을 찬술하였다. 지금의 건물은 그 당시에 지은 것이다. 최근 전교 현경길이 사재와 보조금으로 명륜당 등을 보수하였다. 2013년 4월 8일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463호로 지정되었고,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청 고시에 의해 문화재 지정번호가 폐지되어 경상북도 유형문화재로 재지정되었다.

[형태]

제사 지내는 공간인 5칸의 대성전, 동무, 교육 기능을 수행하는 강당인 7칸의 명륜당, 학생들의 기숙사인 동재·서재, 내삼문, 외삼문 등이 남아 있다. 대성전에는 공자를 비롯한 그 제자와 우리나라 성현들의 위패를 모시고 있다.

[현황]

김산향교는 공자를 주향(主享)으로 하고 4성[안자(顔子), 증자(曾子), 자사(子思), 맹자(孟子)]을 배향하며 송나라 2현[정호(程顥), 주희(朱憙)]과 우리나라 18현[설총(薛聰), 최치원(崔致遠), 안향(安珦), 정몽주(鄭夢周), 김굉필(金宏弼), 정여창(鄭汝昌), 조광조(趙光祖), 이언적(李彦迪), 이황(李滉), 김인후(金麟厚), 이이(李珥), 성혼(成渾), 김장생(金長生), 조헌(趙憲), 김집(金集), 송시열(宋時烈), 송준길(宋浚吉), 박세채(朴世采)]을 종향으로 석전을 지낸다.

조선 시대에는 나라에서 토지와 노비, 책 등을 지원받아 학생들을 가르쳤으나, 지금은 교육 기능은 없어지고 제사 기능만 남아 있다. 2010년 현재 김산향교는 김천 시내에 있는 학생들에게 예절 교육을 시행하고 있으며, 곧 한문 공부도 제공할 예정이라고 한다.

[참고문헌]
이용자 의견
관** "dkd"의 글은 서비스 정책에 맞지 않아 삭제되었습니다. 2014.08.12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