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샘거리 모임의 마을 사랑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28C010203
지역 전라북도 고창군 공음면 구암리 마래마을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박경숙

친구란 구수한 된장국처럼 오래될수록 깊은 맛이 우러나오는 그런 것이다. 하물며 한 마을에서 나고 자란 ‘깨복쟁이’ 친구들은 더 말할 필요도 없다. 지금 그 친구들은 서울로 광주로 고창읍으로 모두 흩어져 살지만, 마음은 항상 고향으로 향해 있을 것이다. 「그리운 언덕」이라는 동요의 노랫말처럼.

내 고향 가고 싶다 그리운 언덕/ 동무들과 함께 올라 뛰놀던 언덕/ 오늘도 그 동무들 언덕에 올라/ 메아리 부르겠지 나를 찾겠지

내 고향 언제 가나 그리운 언덕/ 옛 동무들 보고 싶다 뛰놀던 언덕/ 오늘도 흰 구름은 산을 넘는데/ 메아리 불러 본다 나만 혼자서

공음면 구암리 마래마을 ‘샘거리’는 ‘그리운 언덕’에서 함께 뛰놀던 친구들의 모임이다. 같은 또래이거나 2~3년 터울을 가진 마래마을 청년들이 만든 모임으로, 마을에 행사가 있을 때나 회원 가정에 애경사가 있을 때 서로 도우면서 우의를 다지기 위해 만들어졌다. 이 모임이 시작된 것은 1985년 8월 25일이며, 당시 10명의 회원들이 모여 발기회를 가졌다. 발기문 내용은 다음과 같다. 틀린 글자도 많고 문장도 어색하지만 모임을 만들었을 때의 마음이 고스란히 담겨 있어 그대로 옮긴다.

장엄한 덕림산 기슬게[기슭에] 영원히 정진하는 말[馬]이 있으니 영광등 서쪽으로 머리를 이루고, 번더골 북으로는 기교한 꼬리를 이으고, 세터골[새터골] 동으로는 널적한[널찍한]뒷모습이 오묘함에 극치를 이루었고 앞 다투는 두 다리는 큰물에 자리하여 우리의 기백이 숨쉬는 가슴팍은 정문등에 샘거리가 자리했노라. 여기에 우리는 일찍부터 터를 이루어 너나없이 진돌이, 기마전에 어린 시절을 보내왔었다. 제각 위 기왓장 사이로 달빛이 스며들 때 장엄한 덕림산 뒷전에 서서 힘 있게 서 있는 말을 내려다보며 백제골 마한의 정기를 이어 지금도 솟고 있는 샘거리 맑은 물을 들여다보았다. 지금, 옛날의 정겨움은 사라졌지만 그래도 말바위는 수많은 세월이 흘러도 지난 어릴 적 동심과 순수를 잃지 않기 위하여 이 샘거리에 우리는 다시 모였다. 영원히 변치 않은 샘거리여! 언제나 맑게 흐를 샘거리여! 우리의 벗들이여! - 1985. 8. 25 샘거리 발기인 일동

마래마을 입구에 세워져 있는 마을 표지석은 1985년 8월 25일 샘거리 모임의 발기회를 가질 때 세워졌다. 샘거리 모임에서는 마래마을의 큰 행사인 당산제와 백중 때 기부금을 내기도 하고, 마을에 큰 일이 있을 때나 회원들의 애경사 때 부조금과 화환을 보낸다. 추석과 설 등 1년에 두 차례씩 정기 모임을 갖고 있으며, 이때 회비를 걷고 지출 내용을 결산한다. 회원인 최재언[1961년생] 씨는 샘거리 회의록을 넘기면서 마을회관을 건립할 때와 회원 애경사 등에 나갔던 화환 지출 내용을 보여 주었다.

샘거리 모임은 25년 성상을 지켜 왔다. 무려 4반세기 동안 회원 상호 간에 우의를 다지고 마을 대소사를 챙겨 온 것이다. 물론 앞으로도 샘거리 모임은 계속될 것이다. 최재언 씨는 “무엇보다 지금까지 모임 자체가 유지되어 오고 있는 것에 큰 보람과 자부심을 느낀다.”고 말했다.

[정보제공]

  • •  최재언(남, 1961년생, 고창읍 거주)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