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동학의 기포 현장을 가꾸다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28C020302
지역 전라북도 고창군 공음면 구암리 구수마을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박경숙

공음면 구암리 구수마을은 우리나라 최초의 민권 운동으로 민족ㆍ민중 운동사의 큰 분수령을 이룬 동학농민혁명의 기포지이다. 고부에서 싹튼 농민 봉기의 불씨가 이 마을에서 동학농민혁명의 불꽃으로 활활 타오른 것이다. 1894년 3월 20일[음력] 구수마을에 모인 동학 농민군들은 만천하에 ‘창의 포고문’을 선포하였다. 따라서 구수마을은 농민 봉기가 혁명으로 전개된 역사적인 곳이라 할 수 있다.

[마을 주민 모두가 가꾸는 동학 기포지]

동학농민혁명 무장기포지에서 임시로 시설 관리를 맡고 있는 나하균[1947년생] 씨는 마을로 들어오는 관광버스만 봐도 괜스레 마음이 설렌다고 한다.

“관광버스 딱 대어 놓고 사람들 여럿이 내리제. 그리고 기념탑 앞에 서서 다들 보고 있는 모습을 보면 자랑스럽제. 그러면 참으로 고창이란 데가 좋은 디라는 것이 실감난당게. 어찌보면 전봉준 장군이 고창을 다시 알리게 된 거제. 참 좋아. 내가 할 수만 있으면 언제고 여기서 이 일을 하고 싶어. 근디 전에 했던 사람이 병원에 한 달 동안 입원하면서 내가 대신 하고 있는 것인디, 내가 워낙 바뻐. 그래서 퇴원하면 그 사람한테 다시 하라고 할 것이여. 나중에 사람 없으면 그때 가서 내가 하고.”

사실 동학농민혁명 무장기포지는 관리를 맡고 있는 사람만 가꾸는 것이 아니다. 구수마을 사람 전체가 관리자이고 구수마을 사람 전체가 기포지를 가꾸고 있다. 쓰레기가 보이면 누구랄 것도 없이 먼저 보는 사람이 치우고, 동학 농민 운동에 대해 물어 오는 사람이 있으면 아는 만큼 열성을 다해 설명해 준다. 1994년 동학농민혁명 100주년 기념사업을 할 때는 구수마을 사람들이 십시일반으로 돈을 모아 기포지 인근 땅 일부를 매입하여 기증도 하였다. 1894년에 그랬던 것처럼 마을 사람들이 한 마음 한 뜻으로 나선 것이다.

[기포지는 동학농민혁명의 정신을 담아내고]

2002년 4월 25일에는 동학농민혁명 무장기포지에 동학농민혁명기념탑이 세워지게 되었다. 마을 사람들은 기념탑을 보고 있으면, 그 당시의 상황이 생생하게 전해져 꼭 현장에 서 있는 듯한 느낌이 든다고 한다. 기념탑의 전체적인 모양은 농민 혁명의 강렬한 의지와 열성이 횃불로 형상화된 것이고, 중앙의 부조는 제폭구민ㆍ보국안민의 대의를 위해 만방에 봉기할 것을 호소하는 포고문 선포의 역사적인 모습을 표현한 것이다. 주위에 배치한 죽창은 그때 농민군이 사용한 무기로, 분연히 떨쳐 일어섬을 나타낼 뿐만 아니라 혁명의 참뜻을 기리고, 자손만대에 그 교훈을 널리 기리기 위한다는 의미가 새겨져 있다.

해마다 3월 20일경 구수마을 동학농민혁명 무장기포지를 중심으로 ‘동학농민혁명 무장기포기념제’가 열린다. 구수마을 주민들이 주관하는 행사는 아니지만, 그래도 주민들은 마을에서 하는 행사라 마음이 들뜨고 발걸음이 저절로 행사장으로 향한다고 한다. 2009년 4월 25일에는 무장기포지 기념 공원 조성 사업의 일환으로 소나무 세 그루를 심었다. 세 그루의 소나무는 동학농민혁명 당시의 고창ㆍ무장흥덕 3현(縣)을 상징하고 동학농민혁명을 이끈 총대장 전봉준, 총관령 김개남, 총관령 손화중를 나타내는 상징적 의미를 담고 있다.

마을 사람들과 고창군의 노력으로 구수마을 동학농민혁명 기포지는 동학농민혁명의 정신을 고스란히 담아내는 역사 유적지로 자리 잡아 가고 있다. 동학농민혁명 기포지에 가면, 과거가 과거에 머물지 않고 현대와 이야기를 나누며 다시 살아나 미래로 이어지고 있다는 것을 실감하게 된다.

[정보제공]

  • •  나하균(남, 1947년생, 공음면 구암리 구수마을 새마을지도자)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