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오식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1201190
한자 吳湜
영어음역 O Sik
이칭/별칭 위숙(渭叔),임계(臨溪),정간공(靖簡公)
분야 역사/전통 시대,성씨·인물/전통 시대 인물
유형 인물/문무 관인
지역 경상북도 구미시 선산읍 봉곡리
시대 조선/조선 전기
집필자 김용만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문신
출신지 경상북도 구미시 선산읍 봉곡리 지도보기
성별
몰년 1426년연표보기
본관 울산
대표관직 이조판서

[정의]

조선 전기 구미 출신의 문신.

[가계]

본관은 울산(蔚山). 자는 위숙(渭叔), 호는 임계(臨溪).

[활동사항]

오식은 1400년(정종 2) 진사에 합격하고, 1402년(태종 2) 문과에 급제하였다. 연산목사·남원목사·청주목사를 역임하였다. 그 후 제주목사·인령부윤·중군동지총제·좌군총제를 거쳐 경주부윤으로 재직하다가 죽자 세종이 부의(賻儀)를 내렸다.

1409년(태종 9) 남원부사로 재직 시 “속공노비(屬公奴婢) 중 도망자를 본주(本主)가 체포하여 관에 고하면 상을 준다”라는 신법령이 반포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정주목사 이사강(李斯剛)이 조상 전래의 노비를 새로 얻었다고 관청에 거짓으로 고하여 포멱(捕覓)의 공으로 노비 1구를 상으로 받았다. 이 일에 대해 남원부에 고장(告狀)이 접수되었을 때 그 잘못됨을 살피지 않았다 하여 의정부로부터 혼매남상(昏昧濫賞: 사리에 밝지 못하여 함부로 상을 내림)의 죄에 해당된다는 탄핵을 받았다. 1416년 제주안무사 재임 중 한라산 남쪽 90여 리를 동서로 나누어 현(縣)을 설치하고 동쪽을 ‘정의(旌義)’, 서쪽을 ‘대정(大靜)’이라고 할 것을 조정에 건의하였다.

[상훈과 추모]

시호는 정간(靖簡)이며, 사후에 영의정에 추증되었다. 경상북도 구미시 고아읍 대망리에 있는 경락서원(景洛書院)에 배향되어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