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5700353 |
---|---|
한자 | 1872年地方圖沃溝縣地圖 |
분야 | 역사/근현대,문화유산/기록 유산 |
유형 | 문헌/문서 |
지역 | 전라북도 군산시 |
시대 | 근대/개항기 |
집필자 | 김병남 |
[정의]
1871년(고종 8)에 ‘열읍지도(列邑地圖) 등상령(謄上令)’으로 이듬 해인 1872년에 전라도 각 부(府), 군(郡), 현(縣), 진(鎭)에서 만들어 올린 채색지도 중 옥구현의 지도.
[개설]
지도에 만든 때가 밝혀져 있지는 않으나 같이 실려 있는 「진도부 지도」의 건치연혁에 ‘동치 5년 병인에 부로 승격하였다[同治五年丙寅陞爲府]’고 되어 있음을 보아 1866년 이후에 만들어졌음을 알 수 있다.
지도의 표현 양식은 약간씩 차이는 있으나 대부분 관읍(官邑)과 산천(山川), 도로(道路), 봉수대(烽臺), 창고(倉庫), 장터(場市), 면리(面里), 관읍(官邑)과 각 면(面), 지역 사이의 거리, 경계(境界)까지의 거리 등이 표시되어 있다. 또 약간의 항목 차이가 있으나 지도의 여백에 건치연혁, 정도(程途), 산성(山城), 봉수(烽燧), 선척(船隻), 관방(關坊) 등이 기재되어 있다. 그리고 옥구처럼 해안·섬의 군현이나 진(鎭)의 지도에는 수로(水路) 및 수심(水深)도 밝혀져 있다. 지역 표시도 면(面)까지만 밝힌 경우가 있으나 대부분 면(面) 이하 리(里)·동(洞)까지 표시하여 상세하다.
[형태]
필사본으로, 크기는 35㎝×25㎝이다.
[구성/내용]
옥구현 지도에 의하면 옥구현은 지금의 전북 군산시 시내와 옥구읍, 옥서면, 옥산면, 회현면 일대에 해당하며, 읍치는 옥구읍 상평리에 있었다. 서해안의 평야지대에 위치해 있으며, 고을의 남쪽과 북쪽에서 금강과 만경강이 서해로 흘러들어 간다. 지도는 두 개의 큰 하천과 서해 바다에 둘러싸인 고을의 모습을 자세히 표현하였다. 읍치를 부각시키기 위해 읍치를 둘러가며 둥글게 산들을 그려 넣었다. 읍치에는 원래 돌로 쌓은 성곽이 있었는데 이 시기에는 거의 훼손되어서인지 지도에는 보이지 않는다.
옥구 지역은 강과 바다가 만나는 접경에 위치해서 수상 교통의 요지가 되기 때문인지 지도에도 연안 항로가 상세하게 그려졌고 수심도 아울러 표시되었다. 그리고 지금은 육지가 되어버렸지만 삼남 지방의 세곡선이 모이는 곳으로 섬 안은 평온하여 바람을 피할 수 있어서 관방의 요충지로 삼을 만한 곳임을 알 수 있는 오식도(筽食島)가 서쪽에 있고, 북쪽의 인근 7개 읍의 세곡을 조운하던 조창이 있던 군산진이 있다. 그리고 서쪽 해안에는 최치원이 놀던 곳이라 전해지는 자천대(紫泉臺)가, 다시 서쪽에는 소정방과 김유신에 얽힌 전설이 전해지는 설림산(雪琳山)의 은적사(隱寂寺)도 나타난다. 이외에도 이 지도에는 다른 지도보다도 옥구현과 관련된 주변 지명 및 건물명 등이 월등히 많이 나타나는데 이를 적어보면 아래와 같다.
가내도(加乃島), 가도(駕島), 개사동(開寺洞), 개정리(盖井里), 객사(客舍), 거사리(居沙里), 경장교(京場橋), 경장시(京場市), 경포리(鯨浦里), 계산리(啓山里), 계화도(界火島), 고동리(古洞里), 고회미현읍지(古澮浘縣邑址), 공수각(公須閣), 광대교(光大橋), 교촌리(校村里), 구성리(九成里), 구성리(九城里), 구정리(九政里), 구정산(九政山), 진(舊鎭), 군기고(軍器庫), 금당리(金堂里), 남내동(南내洞), 남내동 점막(南內洞店幕), 남내리(南內里), 남동리(南洞里), 남문루(南門樓), 남산(南山), 내류리(內柳里), 내아(內衙), 내초도(內草島), 다지리(多只里), 당북리(堂北里), 대려동(大呂洞), 대봉산(大鳳山), 대산리(大山里), 대암산(大巖山), 대위리(大位里), 대죽도(大竹島), 동내리(東內里), 동면(東面), 동박양면 사창(東朴兩面社倉), 동헌(東軒), 둔율리(屯栗里), 만경 고군산(萬頃古群山), 만경지(萬頃地), 명서도(明嶼島), 문외리(門外里), 미면(米面), 미북양면 사창(米北兩面社倉), 박면(朴面), 박산리(朴山里), 발산(鉢山), 방찰리(方察里), 백석리(白石里), 봉황리(鳳凰里), 봉황리 점막(鳳凰里店幕), 북내동(北內洞), 북면(北面), 비응도(飛鷹島), 사령청(使令廳), 사자산(獅子山), 사정(射亭) 사직단(社稷壇), 산간악로(山間嶽路), 산북리(山北里), 산정리(山井里), 상제리(上梯里), 상평리(上坪里), 서면(西面), 서천포(舒川浦), 서청(書廳), 서해대양(西海大洋), 석병산(碩兵山), 석탑(石塔), 석포(石浦), 석포점막(石浦店幕), 석화리(石花里), 선종암(善宗菴), 성산(城山), 성산리(城山里), 성포리(城浦里), 성황단(城隍壇), 소죽도(小竹島), 소지(小池), 송리(松里), 수래리(水來里), 수력리(水力里), 신덕산(新德山), 신촌리(新村里), 신평(新坪), 야미도(夜味島), 여단(厲壇), 여로리(餘路里), 연도(煙島), 오곡리(五谷里), 오룡동(五龍洞), 오봉(鰲峰), 오봉리(鰲峰里), 옥(獄), 옥산(玉山), 완성리(完城里), 외류리(外柳里), 용당강(龍塘江), 용동리(龍洞里), 용둔리(龍屯里), 용화산(龍華山), 우동리(雨洞里), 우치리(牛峙里), 원당리(元堂里), 월평리(月坪里), 월하리(月下里), 월하산(月下山), 은적사(隱寂寺), 읍장시(邑場市), 이곡리(耳谷里), 임강리(臨江里), 임사리(臨沙里), 임피 서포(臨陂西浦), 임피 신창진(臨陂新滄津), 임피 오성산(臨陂五聖山), 입경장교포항(入京場橋浦港), 입이도(入耳島), 작청(作廳), 장면(長面), 장청(將廳), 장풍양면 사창(長風兩面社倉), 저전리(楮田里), 저전포(楮田浦), 점리(店里), 점방산(占房山), 접산리(蝶山里), 정리(定里), 정면(定面), 죽동리(竹洞里), 죽성리(竹城里), 중제리(中梯里), 증석리(甑石里), 지경시(地境市), 지곡리(紙谷里), 책실(冊室), 청암산(靑巖山), 축동리(築洞里), 칠산상양(七山上洋), 칠성산(七星山), 칠읍봉 세조창(七邑捧稅漕倉), 평사리(坪沙里), 풍면(風面), 향교(鄕校), 향청(鄕廳), 현사(縣司), 형리청(刑吏廳), 호서 서천군지(湖西舒川郡地), 호적고(戶籍庫), 화산(花山), 화산봉대(花山烽臺), 화약고(火藥庫), 환곡창(還穀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