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5700546 |
---|---|
한자 | 美軍政期 |
분야 | 역사/근현대 |
유형 |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
지역 | 전라북도 군산시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조종안 |
[정의]
1945년 일본의 항복으로 군산이 포함된 삼팔선 이남 지역에 미군이 진주하여 9월 8일부터 1948년 8월 15일 남한 단독 정부가 수립되기까지 3년 동안 실시한 군사 통치 시기.
[개설]
해방 정국에서 혼란이 진정될 때까지는 일본 관료의 협조가 필요하다고 생각한 미군 사령부 하지 중장은 일본인 관리들을 행정 요직에 남아 있게 했다. 군산도 미군이 들어와 행정 기관을 접수하여 기구를 개편할 때까지 일본인 관리들이 완장을 두르고 자리를 지키자, 한국인의 불만이 높아졌고 미군정은 한국인을 등용하기 시작하였다.
[미군정기의 군산 지역]
군산은 10월 5일 군정이 시작된다. 초대 군정관은 마우츠(Mautz) 소령이었다. 군산에도 일본 관리가 잔류했다. 일본인 잔류에 대한 불만이 커지자 마우츠 군정관은 조선인 부윤[시장]을 물색한다. 당시 강력한 행정 조직이었던 동장 연합회에서 김용철을 추천하고 곧바로 집무를 시작하였다. 김용철은 충청남도 서천 출신으로 1년 6개월 동안 군산 부윤을 지냈다.
군산부는 미군정관과 한국인 시장이 양립하게 되며 각 과에도 미군 고문관을 두었다. 그 후 지방 행정 기관을 협찬하는 기구로 행정 고문회 제도를 채택한다. 일제 강점기 형식적이었던 지방 자치제는 폐지됐으나 후속 조치가 없어 행정에 불편이 컸다. 지역의 실정을 정확히 파악하고 제반 시책을 입안하여 실천하기 위해서는 주민의 참여와 협력이 필요했던 것이다.
그리하여 군정 당국은 도(道), 부(府), 군(郡), 읍(邑), 면(面)에 각각 행정 고문회를 설치하도록 권장했다. 행정을 집행하는 기관을 협찬하는 기구에 불과하지만, 지역 주민의 다양한 의견을 시정에 반영시키는 데 공식적으로 역할을 담당할 수 있었다. 도, 부의 행정 고문회 구성은 군정 당국에 의한 관선 고문과 주민들의 선거에 의한 민선 고문으로 구성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