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8601373
한자 正月大-
영어공식명칭 Jeongwol Daeboreum
이칭/별칭 상원,上元,큰보름
분야 생활·민속/민속
유형 의례/평생 의례와 세시 풍속
지역 경기도 화성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편성철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명절

[정의]

경기도 화성시에서 음력 정월 보름에 지내는 명절.

[개설]

정월대보름은 『삼국유사』에서 나오는 '사금갑조(射琴匣條)에서 그 유래를 찾을 만큼 오래된 풍속이다. 그외에도 『삼국사기』, 『동국세시기』등에서 대보름과 관련된 내용이 언급된다. 이날 농촌에서는 풍년, 어촌에서는 풍어를 기원하며 마을의 안녕, 가족들의 건강, 개인의 운수를 비는 행위들이 집중되어 있으며 많은 금기와 세찬들을 즐긴다. 설에 개인적인 의례가 집중된 반면 대보름에는 공동체적 의례와 속신이 발달되었다. 낮에는 풍물[두레]을 치며 지신밟기를 하고, 윷놀이 등을 즐기며 밤에는 보름달을 보며 소원을 빌었다. 또한 소에게 여물을 주거나, 당산나무의 싹이 난 방향 등을 보는등의 다양한 방법으로 한 해의 풍년을 점치고 기원한다. 개인의 액을 막기 위해 허재비[제웅]를 이용하고 가족의 건강을 위해 용왕에게 제물을 올린다. 마을사람들끼리 혹은 마을과 마을이 줄다리기를 하며 부럼을 깨고 오곡밥과 나물을 먹는다. 지역에 따라 설 보다 대보름을 더 큰 명절로 인식하는 경우도 있는데 송산면 천등리에서도 그러한 인식이 드러난다.

[생활 민속적 관련 사항]

경기도 화성시 마도면 고모2리에서는 웃말과 아랫말 이 줄다리기를 했다. 이장집에서 짚을 내놓으면 줄을 꼬고 마을공터에서 줄다리를 했으며 이때 풍물을 치며 놀았다. 매송면 원리 서원말에서는 줄다리기를 큰규모로 해서 주변 마을에서도 구경을 오기도 했다. 명고서원 터에서 줄을 들처메고 숫줄을 마을 위쪽으로 암줄은 아래쪽으로 내려가 마을을 한 바퀴 돌고 큰우물에서 만난다. 줄 위에는 신랑, 신부가 올라간다. 노인들이 올라가기도 하고, 13-15세 아이들이 올라가기도 한다. 숫줄이 이기면 쌀 풍년이 들고 암줄이 이기면 보리농사가 풍년이라 말한다. 송라리야목리에서도 두레패가 와서 같이 놀기도 했다. 동탄면 반송리[현 동탄동], 팔탄면 구장리에서도 암줄과 숫줄을 만들어 줄다리기를 했다.

모든 마을에서 오곡밥과 나물을 해먹으며 두레패가 집에 들어와 축원을 해주면 음식을 대접한다. 마도면 금당2리 금당골에서는 한 해 농사가 잘 되기를 기원하며 '볏섬떡'을 해먹었다. 모양은 송편과 비슷했는데 그것을 볏섬이라고 의미를 부여한 것이다.

송산면 쌍정리마도면 송정1리에서는 '농사시루'라 하여 씨루떡을 쪄서 논, 성주, 터주, 변소 등에 떡을 놓고 고사를 지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