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5600111 |
---|---|
한자 | 水萬里 |
분야 | 지리/인문 지리 |
유형 | 지명/행정 지명과 마을 |
지역 | 전라남도 화순군 화순읍 수만리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박경환 |
개설 시기/일시 | 1914년 - 전라남도 화순군 동면 수만리 개설 |
---|---|
변천 시기/일시 | 1973년 7월 1일 - 전라남도 화순군 동면 수만리에서 전라남도 화순군 화순읍 수만리로 개편 |
전 구간 | 수만리 - 전라남도 화순군 화순읍 수만리 |
성격 | 법정리 |
면적 | 9.3㎢ |
가구수 | 141가구 |
인구[남,여] | 262명[남자 132명, 여자 130명] |
[정의]
전라남도 화순군 화순읍에 속하는 법정리.
[개설]
화순군 화순읍 수만리는 물촌[水村]·새터[新村]·만수·중지 등 4개 자연 마을로 이루어져 있다. 녹색 농촌 체험 마을로 지정된 수만리 들국화 마을은 광주광역시에 인접한 입지적 조건, 천혜의 자연환경, 친환경 약초 재배, 흑염소 농장 등을 관광 산업과 연계한 자연 생태 우수 마을로 유명하다.
[명칭 유래]
수만리의 지명은 물촌 마을의 수(水)자와 만수 마을의 만(萬)자를 각각 취하여 만든 것이다. 물촌 마을은 물이 풍부하고 차가워 물찬내[水冷川]라고 부르다가 후에 물촌이라고 하였고 이를 한자로 표기하면서 수촌(水村)이 되었다. 만수동 마을의 뜻은 마을에 마르지 않는 석간수가 있는데 이 샘을 만수샘이라 하였으며 마을 이름도 만수동(萬水洞)이라 하였다고 전한다.
새터 마을은 새로 형성된 마을이라는 뜻이며 이를 한자로 신기라 표기하였다. 중지 마을은 원래 가운데 마을[중마실]이라 불렀는데, ‘가운데 뜸’이라 부른 것을 뜸[마을]을 뜻 지(旨)자로 표기하여 중지라 부르게 된 것이다.
[형성 및 변천]
1759년 『여지도서』에는 광주목(光州牧) 지한면(池閑面), 1789년 『호구 총수』에는 화순현(和順縣) 동면(東面) 수냉천리(水冷川里), 광주목 서면(西面) 중지촌(中旨村), 1867년 『대동지지』에는 화순현 서면, 지한면(池漢面), 1895년에는 나주부(羅州府) 화순군(和順郡) 동면(西面), 1896년에는 전라남도 화순군 동면, 광주군 지한면, 1908년에는 능주군(綾州郡) 원화순방 동면, 『1912년 지방 행정 구역 명칭 일람』에는 능주군 동면 수촌(水村)·신기리(新基里), 광주군 지한면(池漢面) 중지리(中旨里)·강태리(江台里)로 기록되어 있다. 1914년 행정 구역 개편시 화순군(和順郡) 동면 수만리[만수동·신기리·수촌·광주군 지한면 중지리 강태리]로 개편되었다. 1973년 7월 1일 행정 구역 변경으로 동면에서 화순읍으로 행정 구역이 변경되어 화순읍 수만리가 되었다.
[자연환경]
수만리는 서쪽에 만연산[668m], 북쪽에 무등산[1,187m], 동쪽에 안양산[853m] 등 사방이 산으로 둘러 싸여 있는 지역이다. 물촌 마을은 동쪽으로는 대동산, 서쪽으로는 만연산, 남쪽으로는 안산, 북쪽으로는 안양산이 있으며, 마을의 방향은 남쪽을 향하고 있다. 새터 마을은 동쪽으로는 둔병재, 서쪽으로는 만연산, 남쪽으로는 연화봉, 북쪽으로는 무등산이 있으며 마을의 방향은 남쪽을 향하고 있다. 중지 마을은 동쪽으로는 안양산, 서쪽으로는 무지개재, 남쪽으로는 만연산, 북쪽으로는 무등산이 있으며 마을의 방향은 남쪽을 향하고 있다.
[현황]
수만리는 화순읍의 동쪽에 있는 법정리이다. 2011년 12월 기준으로 면적은 9.3㎢에 141가구, 남자 132명, 여자 130명으로 총 262명의 주민이 거주하고 있다. 동쪽으로 이서면 안심리, 서쪽으로 광주광역시 동구, 남쪽으로 화순읍 동구리, 북쪽으로 이서면 영평리와 이웃하고 있다. 주요 산업은 벼농사이며 주산물은 벼, 특산물은 한약초·한봉·흑염소이다.
화순 읍내에서 갈두리를 연결하는 군도 7호선이 마을의 중앙을 지나며, 화순군 동면을 연결하는 군도 9호선이 시작하는 지점이기도 하다. 유물 및 유적으로는 불무간 터, 방앗간 터, 마을 터, 주막 터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