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0500048 |
---|---|
한자 | -打令 |
영어음역 | Gaegori Taryeong |
영어의미역 | Frog Song |
분야 |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 |
유형 | 작품/민요와 무가 |
지역 | 전라남도 진도군 |
집필자 | 이윤선 |
[정의]
전라남도 진도군에서 행해지는 강강술래의 여흥놀이 중 하나.
[개설]
강강술래는 주로 진도를 비롯해 해남·완도·무안 등 전라남도 해안 일대에서 성행하던 민속놀이로서, 노래와 무용과 놀이가 혼합된 부녀자들만의 집단가무였다. 개고리타령은 강강술래에 포함되어 연행되는 여흥놀이에 해당한다.
다만, 문화재로 지정될 당시에는 개고리타령이 강강술래의 여흥놀이에 포함되어 있지 않았다. 개고리타령은 사당패들의 음악에 영향을 받은 경남토리로 알려져 있다. 진도의 토속민요가 아니라, 외부에서 유입된 민요라는 뜻이다.
[가사]
강강술래의 여흥놀이로 정착된 곡과 본래 독립된 노래로 전승되어 오던 가사가 약간 다르게 나타난다. 『진도민요집』1집에 나타난 개골타령도 가사가 두 가지로 나타난다. 다만, 장단의 구성이나 노래의 형식은 대동소이하다고 판단되지만, 절이나 마디의 구성은 서로 다르게 나타난다고 할 수 있다.
〈개골타령 1〉
개골 개골 개골을 찾을랴면
양말을 딸딸 걷고
미나리 방죽을 더듬세
잡었네 잡었네 개구리를 잡었네
청주 떳다 아랑주 떳다
솔마 끝에 내 잭기락
나무 접시 아당탕
개골 개골
방죽안에 왕개골 개골을 찾을라면
양짝 어깨를 딸딸걷고
미나리 방죽을 더듬세
〈개골타령 2〉
개골 되야지골 방주굴에 오리발
오리발을 차즈랴면
미나리 방죽을 더듬어라
한산산 세북소리 객귀수심을 도드난듯
간다 못간다. 낙누하는 처여야
내말 듣고서 따라 오너라
청산을 고금에 변함이 없어도
흐르는 물은 흘러가고 오지를 안네.
[내용]
현재 문화재로 지정되어 있는 진도·해남의 강강술래는 공연용으로 짜여져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 개고리타령을 넣기고 하고 빼기도 한다. 개고리타령이 빠진 순서를 보면 입장 인사, 긴강강술래, 중강강술래, 자진강강술래, 남생아 놀아라, 고사리 꺽자, 청어엮어 풀기, 덕석몰이, 기와밟기, 문열어라, 쥔쥐새끼놀이, 꼬리따기, 강강술래, 인사, 퇴장 등으로 구성된다.
그러나 이런 구성이 고정되어 있는 것은 아니어서 경우에 따라 몇 가지를 솎아내기도 하는데, 개고리타령 외에도 ‘가마등’ 등 다른 놀이를 끼워 넣거나 순서를 바꾸기도 한다. 이것이 현재 접하는 오늘날의 강강술래 놀이구성이라고 할 수 있다.
즉, 강강술래가 문화재로 지정되고 전국민속예술경연대회에서 대통령상을 수상하면서 표준화된 놀이구성인 셈이다. 실제로 1976년도(대통령상 수상)에 구성되었던 놀이 중에서 가마등, 도굿대당기기 등은 현재 연행되지 않고 있으며, 대신 개고리타령과 ‘손치기·발치기놀이’, 경우에 따라서는 ‘쟁기질놀이’가 가미되어 연행된다.
강강술래 여흥놀이에서의 개고리타령은 실제 미나리방죽에 들어가 개구리를 잡는 모양을 모사하는 안무와 더불어 노래를 합창하는 방식으로 연행되고 있다.
[의의와 평가]
개고리타령은 본래 진도로 유입된 사당패들의 노래에서 영향을 받았다고 알려져 있는데, 독자적으로 불리다가 강강술래의 여흥놀이로 편입되었다고 한다. 따라서 개고리타령은 외부의 노래를 수용하여 자기화하는 진도사람들의 민요창작 방식을 엿볼 수 있는 곡이라고 하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