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0500311
한자 南漢山城-
영어음역 Namhansanseong Docheogiya
영어의미역 It's the Namhan Sanseong Bandit!
이칭/별칭 남원산성도척놀이,남원선선 도재기야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
유형 놀이/놀이
지역 전라남도 진도군 의신면
집필자 이윤선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민속놀이|집단가무
유래지 전라남도
유래시기 고대
노는시기 정월 대보름|한가위|칠월 백중

[정의]

전라남도 진도군 의신면에서 전승되어 오는 민속놀이.

[개설]

남한산성도척이야는 일종의 강강술래 여흥놀이 형식으로 구성된 민속놀이로서 남원산성도척놀이 혹은 남원선선도재기야라고도 한다.

남한산성도척이야 놀이를 재현한 허옥인에 의하면 ‘남한산성도척이야’는 ‘이 나라에 큰 도적이야’라는 뜻이라고 한다. 남한산성도척이야 놀이를 제보해 준 사람들로는 김영매(1898~1991, 의신면 옥대리)와 정태심(1901~?, 지산면 소포리), 김막금(1902~?, 지산면 소포리) 등이 있다.

[놀이방법]

정병호(문화재전문위원)가 조사한 남원선선도재기야의 구성은, ①긴 도척이야, ②짧은 도척이야, ③청조새맥임소리, ④콩동팥동, ⑤배돌기, ⑥행기돌기, ⑦실꾸리감기, ⑧노루씨름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허옥인이 재현한 남원산성도척이야의 놀이구성은 아래와 같다. 2005년 6월 2일 광주MBC에 출연하여 시연했던 절차에는 니루닐타령과 달걸이도척놀이 등이 추가되어 있다.

[짜임새]

① 늦은소리: 강강술래 형태로 손을 잡고 돈다.

② 결속몰이: 소라 형태의 원형으로 몰아 간다

③ 성돌나르기: 두 사람이 등을 맞대고 상호간에 졌다 놨다를 반복한다.

④ 실태감기: 두 사람씩 마주서서 팔을 잡고 안쪽으로 같이 돈다.

⑤ 배돌기: 두 사람이 상호 손을 깍지를 낀 상태에서 발을 맞대고 뒤로 버틴다.

⑥ 행기돌기: 두 사람이 손을 잡고 왼쪽으로 돈다.

⑦ 남생이놀이: 강강술래의 남생이놀이와 동일하다.

⑧ 노루씨름: 두 사람이 원 가운데서 구부린 채 어깨를 맞대고 노루싸움을 한다.

⑨ 애해세기: 오른편으로 4박자 왼편으로 4박자를 왔다갔다 반복한다.

⑩ 여물썰기: 원을 두 개로 쪼개면서 달팽이 모양으로 만든다.

⑪ 힘겨루기: 편을 나누어 앞사람 허리를 깍지를 낀 손으로 잡고 줄다리기를 한다.

⑫ 마무리 소리: 당초의 원형으로 돈다.

가사는 다음과 같다.

[가사]

동해 동천 달 떠온다/ 남원선선도재기야

남원선선도재기야

콩동 팥동

실꾸리 감자 명주꾸리 감자

남원선선도재기야

애헤세기 절내기

썰자 썰자 여물썰자

남원선선도재기야

[의의와 평가]

남원선선도재기야 혹은 남한산성도척이야 놀이는 그동안 노래로만 전승되어 채록되었다. 그러나 의신면 허옥인에 의해 그 구체적인 놀이방식이 조사되었으며, 그것을 바탕으로 재구성하게 된 것이 현재의 ‘남한산성도척이야’ 놀이이다.

그동안 진도군에서는 강강술래 여흥놀이로 다양한 놀이들이 놀아졌지만, 남힌산성도척이야 놀이가 발굴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남한산성도척이야는 강강술래 여흥놀이로서 뿐만 아니라 독립적인 연행장르로도 손색이 없을 만큼 종합성을 갖춘 놀이이자 새로 발굴된 진도의 민속이라는 점에서 그 의의가 매우 크다고 하겠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