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0500524
한자 民俗
영어음역 minsok
영어의미역 folk
분야 생활·민속/민속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전라남도 진도군
집필자 지춘상

[정의]

민간에서 전승되고 있는 습속.

[개설]

민속은 민중들의 삶속에 일상적, 집단적, 유형적으로 되풀이되어 누적된 지식, 기술, 행위 등의 총체적인 문화현상이라고 일컬어지고 있다. 따라서 민속은 공간적, 역사적, 시간적 조건에 의해 형상화된 민(民)의 생활양식이라고 할 수 있다.

[특징]

진도는 공간적으로 한국의 남해(南海)에 위치하고 있는 도서(島嶼)로서 천혜의 자연경관과 비옥한 농토가 많아 고려시대부터 ‘기름진 고을’이라는 의미의 ‘옥주(玉州)’라고 불렸다.

고려 명종김극기(金克己)가 “멀고 아득한 신선(神仙) 사는 곳과 같은 이 땅은 서울로부터 얼마나 되는고. 하늘이 이 선경으로 하여금 청유(淸幽)를 점유(占有)케 하였구나. 고역(孤域)은 산등성을 삼키고 험준한 데에 걸친 것 같고, 즐비한 집들은 벼랑에 붙어서 물결을 베개한 것 같구나.”라고 읊고, 조선시대 효종 때의 사람 신규(申奎)는 “국중(國中)에서 뛰어난 경치 좋은 곳이다.”라고 노래한 것도 이와 같은 이유 때문일 것이다

그러나 진도는 이러한 천혜의 공간적 조건을 갖추고 있으면서도 역사적으로는 많은 시련을 겪은 고난의 섬이기도 하다. 그것은 삼별초(三別抄)의 대몽항쟁(對蒙抗爭)으로 기록된 사실(史實)에서 극명하게 드러난다. 당시 무인정권의 전위부대요 몽고에 대한 항쟁세력의 중심부에 있었던 것이 삼별초인데, 무인정권이 타도되고 몽고와 강화가 성립되자 이에 불만을 품은 배중손(裵仲孫)을 중심으로 한 세력들이 왕족(王族) 승화후 온(承化侯 溫)을 국왕으로 추대하고 개경의 정부와 대립하는 새로운 항몽정권을 수립하였다. 이들은 1270년 8월 항구적인 근거지로 개경과 거리가 먼 진도로 남하하여 해상왕국을 이룩하였다. 이들이 진도를 본거지로 택한 것은 개경에서 원거리에 있을 뿐 아니라 서남도서 중에서 가장 크고 비옥한 농토가 많아서 경제적인 자생기반이 어느 정도 가능할 것이라는 계략에서였다. 그러나 이듬해 5월 김방경(金方慶)이 몽고군과 함께 쳐들어옴으로써 삼별초는 그 중심인물을 거의 잃고, 그 나머지 무리가 김통정(金通精) 지휘 하에 탐라(耽羅)로 패퇴함으로써 진도는 전란에서 벗어날 수 있었다.

조선시대로 들어서면서 진도는 한(恨)이 서린 유배지(流配地)와 임진왜란의 전승지라는 명암(明暗)의 이중성(二重性)을 지니게 된다. 진도에 유배자의 신분으로 처음 들어온 사람은 고려시대 인종 때의 이자겸(李資謙)의 난에 연루된 이자겸의 부하 공의(公義)이다. 이것을 시작으로 정중부(鄭仲夫)의 무신란 때 의종(毅宗)의 태자(太子) 기(祈)가 귀양을 왔다.

조선시대에서는 선조(宣祖)의 제1자인 임해군(臨海君), 제7자인 인성군(仁城君) 등의 왕족들이 유배생활을 했고, 민·관으로는 광해군 때 전라병사 이광영(李光英)을 비롯해서 수많은 인사들이 귀향살이를 했다. 근세에는 진도 문화에 적잖은 영향을 끼친 정만조(鄭萬朝)가 고종 33년에 유배되어 12년간 적거하면서 유교문화 창달에 많은 공헌을 했다.

이와 같은 역사적 조건이 진도의 문화와 민속에 지대한 영향을 미쳐 오늘날 진도만의 고유한 전승문화를 만들어냈다고 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진도의 민속문화는 고려의 수도인 개경과 조선의 수도이면서 정치·문화의 중심지였던 한양과 거리가 먼 외딴섬이라는 공간적인 조건 때문에 프랑스의 질리에롱(Gillieron)이 ‘방언주권설(方言周圈說)’에서 말한 것처럼 정치, 문화의 중심지에서 먼 거리에 위치하는 곳에 고어(古語)가 많이 남아 있다거나, 일본의 와카모리 다로[和歌森太郞]가 “옛날의 중앙문화지대를 중심으로 보다 원방(遠方)과 외측(外側) 먼 지역에 고풍(古風)의 유습(遺習)이 많이 남아 있다.”는 말과 같이 옛 풍속이 그 어느 지역보다 많이 남아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여러 가지 역사적인 조건이 개입되어 이룩된 문화가 시간의 흐름에 따라 접변현상(接變現象)을 일으켜 오늘날 나름대로의 특성을 지닌 채 전승되고 있음도 확인할 수 있다.

[현황]

1. 풍속

진도에는 다른 지역과 달리 옛 풍속이 많이 전승되고 있다. 그 대표적인 사례들을 거론하면 첫째, 진도군 임회면을 중심으로 전승되고 있는 ‘분할제사’가 있으며 둘째, 역신(疫神)을 비롯한 돌림병이 창궐할 것이라는 해[年]의 정초에 마을의 여인네들이 월경이 묻은 속곳을 깃발삼아 앞세우고, 금속성 소리가 나는 물건들을 들고 치면서 마을을 돌아다니는 액막이 ‘도깨비굿’이 있다. 셋째, 오랜 역사성을 지니고 그 예술성과 학술성이 검증된 전통적인 남도 세습무속의 정체성과 굿성을 추론할 수 있는 ‘진도 씻김굿’과 다른 곳에서는 거의 볼 수 없는 ‘곽머리씻김굿’이 있다. 넷째, 출상 전야에 신청(神廳)의 단골들이 망자의 극락환생을 축원하면서 상주들의 애상(哀傷)을 위무(慰撫)하는 ‘다시래기’가 있다. 다섯째, 오늘날에는 거의 인멸(湮滅) 상태에 놓여 있으나 얼마전까지만 해도 촌로들이 조선시대 인조 때의 화폐인 ‘상평통보(常平通寶)’ 스물일곱 닢을 가지고 배면(背面)의 숫자에 따라 숫자노래를 부르면서 상대방의 패를 죽이는 것을 내기하는 ‘살(殺)+내기’의 ‘살랭이놀이’가 있다. 여섯째, 정식으로 작명(作名)하기 전에 부르는 호명을 들 수 있다. 남아일 경우 장남은 ‘큰놈’, 차남은 ‘작은놈’, 3남은 ‘시바’, 4남은 ‘니바’, 5남은 ‘오바’라 부르고 숫자 끝에 ‘바’를 붙이는 것과, 여아일 경우 장녀는 ‘큰년’, 차녀는 ‘작은년’ 또는 ‘간데년’, 3녀는 ‘시다니’, 4녀는 ‘니다니’, 5녀는 ‘오다니’라고 끝에 ‘다니’를 단다. 다시 말해 사내는 ‘바’, 여아는 ‘다니’를 붙여 부르는 호칭법은 다른 지역에 없는 특이한 현상이다. 남아의 ‘바’는 ‘코보’·‘울보’·‘잠보’·‘흥보’ 등과 같은 의미로 남자를 지칭하는 어미요, 여아의 ‘다니’는 ‘복단이’·‘옥단이’·‘향단이’·‘곱단이’의 어미와 같은 계열의 고어(古語)일 것이다.

이와 함께 혼례 시 신랑의 함속에 예단과 함께 아들을 많이 낳아 가통을 번성케 하라는 의미로 넣는 ‘고추’, 한번 시집오면 장수하여 시댁의 귀신이 되라는 ‘미영씨(목화씨)’, 시집오면 간장·된장을 잘 담아 그것으로써 음식을 잘 만들어 시댁식구의 건강을 책임져 달라며 ‘메주’를 넣는 것은 원초적인 가족들의 희원을 혼례의 시점에 다짐시키는 민속사례로서 다른 곳에서는 찾아볼 수 없는 옛 풍속의 행위전승이다.

이외에도 많은 사례들이 있는데, 이는 진도가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정치·문화의 중심지인 서울에서 먼 거리의 외딴 섬이라 외부세계와의 인적교류가 비교적 빈번하지 못한 공간적 조건 때문일 것이다.

특히 분할제사(分割祭祀)는 진도와 제주도에서만 전승되고 있는 제례양식으로서 오랜 민속전승의 하나이다. 분할제사는 장남이 망부(亡父)의 기제(忌祭)를 모시고, 차남이 망모(亡母)의 기제를 분담하여 모시는 것으로, 제주에서는 명절의 차례[茶禮〕를 3남과 4남 등이 분할제사하고 있다. 이 같은 유형의 관례는 최재석(崔在錫)에 의하면 17세기 중엽까지 양반층에서 행하는 제사양식으로 장자봉사(長子奉祀)와 제자녀윤회봉사(諸子女輪回奉祀) 및 제자분할제사(諸子分割祭祀)로 행해오다가 18세기에 윤회, 장자봉사를 거쳐 오늘날의 ‘장자단독봉사(長子單獨奉祀)’로 정착되었다고 한다. 이 같은 민속전승, 즉 분할제사는 일본의 ‘분패제사(分牌祭祀)’, 다시 말해 망부의 제사는 형이, 망모의 제사는 동생이 맡고, 양친의 장송(葬送), 연기(年忌) 등은 위패(位牌)를 나누어 본가(本家)와 분가(分家) 간에 분담하는 습속(習俗)과 유사해서 흥미롭다.

2. 가족적 공동체성

진도 민속에서는 다른 지역에서는 확인할 수 없는 가족적 공동체성이 있다.

진도의 장례행렬은 다른 지역과 달리 상여 앞에 두 줄의 무명베를 늘어메고 이를 마을의 여인네들이 잡고서 묘지까지 선도하고, 만가의 설소리도 꽹과리·북·장고·피리의 반주 속에 씻김굿의 가락과 거의 같은 노래를 부르고 간다. 물론 이 경우 호상이거나 부자의 장례로서 신청(神廳)의 단골들이 중심이 되기 때문에 만가의 소리제가 바로 무가의 일부다. 그러나 다른 지역에서는 부녀자들이 마을 앞 노제(路祭)가 끝나면 모두 되돌아서는데, 진도에서는 묘지까지의 운상행렬에 동참하고 다구질까지 한다는 것은 공동체성의 발현이라고 할 수가 있다. 모내기를 할 때는 남녀가 같이 논에 들어가서 모를 찌고 모를 심고 논을 멘다. 이 때 들노래도 남녀가 허물없이 주고받는다. 남녀 구별없이 오직 하나의 공동체일 뿐이다.

이와 같은 현상은 진도가 섬이기 때문에 외지와의 접촉이 어느 정도 제한되고, 혼인권도 역내혼(域內婚)이 대부분이어서 친인척의 혈연관계가 겹쳐지기 때문으로 보인다. 모두가 한 가족같이 느끼는 동질성이 허물없는 인간관계를 형성한 것이 아닐까 여겨지는 대목이다.

이 같은 추론은 비교적 이농현상(離農現象)이 적었던 1976년의 진도군민의 성씨 통계를 통해서도 확인이 가능하다. 500호 이상의 성씨가 다섯 개로 그 호수가 9,129호에 이르고, 300호 이상은 8개 성씨에 호수가 3,249호, 100호 이상은 20개 성씨에 3,095호로 전체가 15,473호에 이른다. 겹사돈 인척관계가 폭넓게 분포되고 있다는 반증이라고 하겠다.

3. 비교민속학적 특징

진도는 외래문화의 접점으로서 비교민속학의 연구대상이 되는 민속이 많이 전승되고 있다. 그 대표적인 사례들을 들어보면 다음과 같다.

진도는 육지와 달리 마을의 수호신에게 올리는 당산제보다 ‘거리제’가 동제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거리제는 말 그대로 마을의 안과 밖의 경계선인 입구 지점의 길거리에서 행해지는 제사요, 굿이다.

진도에는 덕병마을과 같이 장승이 서 있는 곳도 있으나, 길거리 제사, 곧 굿의 장소는 구체적인 표지물이 없이 마을사람들의 의식 속에 관념적으로 자리하고 있는 마을과 마을의 경계선 지점이다. 이 굿터는 마치 일본의 ‘미찌기리[道㘦り]’ 지점과 거의 흡사하다. 일본은 마을입구의 촌경(村境)에 ‘간조나와[勸請繩]·도조신[道祖神]·우부스나[産土神]·지소사마[地藏樣]’ 등이 서 있는데, 이것이 마을 안팎의 경계선이다. 경계선 안쪽은 사람이 사는 마을로서 위험한 귀신이나 인간이 침입하지 못하게 ‘지소사마’나 ‘도조신’이 항상 지켜주고 있는 평화와 안전이 보장된 신성한 공간이고, 바깥쪽은 ‘세껜[世間]’ 또는 ‘다비[ダビ]’라고 해서 신불(神佛)이 지켜주지 않는 위험한 곳이다. 그래서 이곳에서 ‘미찌기리’ 행사나 우리나라 달집태우기와 같은 ‘돈도야기’나 ‘사기쬬[左義長]’ 와 같은 축제를 한다. 이는 우리나라 육지의 장승제와도 흡사하나 장승제는 장승에게 올리는 제의요, 거리제는 ‘거리’, 즉 ‘길’의 한계와 단락을 의미하는 지점인 ‘거리’에서 마을 안의 안녕과 풍년을 축원하고, 마을 밖의 잡귀·잡신과 재액(災厄)을 막음하는 제의라는 점이 다르다.

진도에서는 모내기나 논매기를 할 때 우리나라 어느 곳에서도 그 유례를 찾아볼 수 없는 행위전승, 즉 머리에 담쟁이넝쿨이나 칡넝쿨을 감는다. 이는 일본 오키나와 지방의 ‘오월(五月) 우마찌[ウマチ]’, 즉 도작의례(稻作儀禮) 때 신제무당(神祭巫堂)인 ‘노로’, 즉 신녀(神女)가 신맞음을 의미하는 나뭇잎이나 풀넝쿨을 머리에 감는 것과 흡사하다.

또한 진도에서는 모내기를 할 때 여자들이 초관(草冠)을 쓰고 모를 찌고 심는데, 일본 신사(神社)에서 행하는 ‘온 다우에마쓰기[御田植祭]’에서도 처녀들이 모를 찌고 심어야 풍년이 든다는 의미에서 그렇게 한다.

이와 함께 앞에서도 언급한 바가 있지만 진도의 분할제사(分割祭祀)는 일본의 ‘분패제사(分牌祭祀)’와 유사하다.

이외에 진도에서는 일을 할 때 감물을 들인 바지를 입고 하는데, 이는 제주에서 여름철 일옷으로 감물들인 바지·저고리를 입는 것과 같다. 다만 진도에서는 바지에만 감물을 들여 입고 여자옷은 쪽물을 들인 치마를 입는 것이 다르다.

또한 진도에서는 쌍둥이를 낳으면 시어머니나 남편이 칙간지붕에 올라가 “누구 처는 쌍둥이를 낳았다네.”라고 외치거나, 또 “아무개는 강아지새끼를 낳았다네.” 하고 큰 소리로 외치는데, 이는 일본에서 산모의 남편이 지붕 위에 올라가 “우리집 안사람이 쌍둥이를 낳았다네.” 하고 외치는 것과 같다.

[의의와 평가]

진도의 민속은 외래민속과의 접점으로서 비교민속학연구에 많은 과제를 던져주고 있다. 진도는 한마디로 민속의 요람이요 보고로서, 우리 민속의 정체성을 밝혀 민족문화의 보편성과 특수성을 규명하는데 없어서는 안 되는 중요한 고장이라는 데 이의가 없을 것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