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0500586 |
---|---|
한자 | 朴鐘基 |
영어음역 | Park Jonggi |
분야 | 문화·교육/문화·예술,성씨·인물/근현대 인물 |
유형 | 인물/예술인 |
지역 | 전라남도 진도군 의신면 |
시대 | 근대/일제 강점기 |
집필자 | 이윤선 |
성격 | 예술인|음악가 |
---|---|
출신지 | 전라남도 진도군 의신면 |
성별 | 남 |
생년 | 1879년 |
몰년 | 1939년 |
본관 | 밀양 |
[정의]
전라남도 진도군 출신의 민속예술인.
[개설]
박종기는 대금산조의 시조로 거론되는 진도의 대표적인 전통악기 연주가이다. 1879년 전라남도 진도군 의신면에서 태어난 뒤 진도읍에서 살다가 20세를 전후로 삼막리로 이사하였다. 어려서부터 대금과 통소를 배웠고, 공력을 쌓아 삼현육각과 산조에 능하였는데, 대금산조의 경우 천하 명인으로 이름을 떨쳤다.
박종기의 아버지 박덕인(朴德寅)[일명 朴基順]은 무정 정만조가 『은파유필』에 그 재주를 기록할 정도로 당대에 뛰어난 대표적인 진도의 예인이었다. 50세가 되던 1897년에 아들 박종기를 낳았는데, 종기가 다섯 살 되던 해에 몸이 약한 부인 김씨가 죽자 어린 종기를 데리고 3년간 매일 30리나 되는 부인의 묘를 찾았다고 한다.
바로 이 기간에 박종기는 아버지로부터 여러 예능을 이어받았을 것으로 보이는데, 이후 박종기는 스스로 여귀산(임회면)의 황죽(黃竹)을 이용하여 직접 대금을 만들었다고 전한다.
[활동사항]
박종기는 20세를 넘기고 5촌 조카인 박동준(朴東俊)의 주선으로 서울에 올라와 활동을 시작했다. 1906년에 처음으로 유명인사들 앞에서 이화중선·임방울 등 명창과 함께 대금(大笒:젓대)을 연주하였다.
1930년대 판소리가락을 엮어 음악성이 매우 뛰어난 대금산조(大笒散調)를 만들었는데, 이러한 박종기의 가락을 ‘소리더늠 대금산조’라고 부른다. 이 가락은 한주환(韓周煥)·이생강 등에게 전수되었고, 권부자(權富子)가 배워 연주한 것이 채록되어 악보화 된 뒤에 교육용으로 사용되고 있다. 1933년에 창립된 조선성악연구회에 가입해 남도음악을 연구하고 후진양성에도 힘썼다.
[의의와 평가]
박종기는 한때 조선성악연구회에서 활동하였고 유성기 음반도 취입하였다. 그의 문하에서 한주환이 공부한 바 있는데, 한주환의 제자 이생강과 서용석 등이 오늘날 대금산조를 잇고 있어서 박종기를 대금산조의 시조로 꼽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