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5001130
한자 吳伯周
이칭/별칭 국경(國卿)
분야 종교/유교,성씨·인물/전통 시대 인물
유형 인물/효자·열녀
지역 경기도 포천시 어룡동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전병무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출생 시기/일시 1643년 - 오백주 출생
활동 시기/일시 1665년 - 오백주 무과 급제, 어영군교 제수
활동 시기/일시 1671년 - 오백주 혜산 첨사 제수
활동 시기/일시 1681년 - 오백주 곽산 군수 제수
활동 시기/일시 1712년 - 오백주 서북 첨사 제수
활동 시기/일시 1716년 - 오백주 노강 첨사 제수
몰년 시기/일시 1719년 - 오백주 사망
활동 시기/일시 1719년 - 오백주 자헌대부 가자
추모 시기/일시 1723년 - 오백주 정려
묘소|단소 오백주 묘 - 경기도 포천시 어룡동
정려문 오백주 선생 효자 정문 - 경기도 포천시 어룡동
성격 효자
성별
본관 보성(寶城)

[정의]

조선 후기 포천 출신의 효자.

[가계]

본관은 보성(寶城). 자는 국경(國卿). 할아버지는 증직 공조참의 오경춘(吳慶春)이고, 아버지는 증직 한성부 우윤 오만(吳晩)이다. 어머니는 청주 양씨 양수기(楊壽起)의 딸이고, 부인은 단양 우씨 우신달(禹信達)의 딸이다. 자식은 3남매를 두었고, 아들은 오상호(吳相虎)이다.

[활동 사항]

오백주(吳伯周)는 지금의 경기도 포천시 어룡동에서 태어났다. 어린 시절부터 기골이 장대하고 활을 잘 쏘아, 사냥하여 잡은 짐승으로 부모를 봉양하였다. 1659년(효종 10) 무과에 응시하여 두 곳에서 으뜸을 차지하였는데, 당시 시험관인 대장군 유혁연(柳赫然)이 뛰어난 활 솜씨 특히 기사(騎射) 능력에 감탄하여, 자기 막부에 두고 훈련시켰다.

어느 해 겨울 아버지가 위독하다는 급보를 받고 집에 돌아와 병간호에 온 정성을 다하였다. 온갖 약을 구하여 정성으로 올렸으나 아버지의 병환은 차도가 없었는데, 어떤 사람이 “이 병은 산삼과 석밀(石蜜)이 아니면 치료할 수 없다.”고 하였다. 눈이 쌓인 추운 겨울에 산삼이나 석밀을 구한다는 것은 불가능한 일이었지만, 오백주는 포기하지 않고 매일같이 깊은 산속을 헤매며 산삼과 석밀을 구하고 또 구하였다.

그러던 어느 날 밤 꿈에 신령이 나타나, 어느 곳을 지나 어느 산 고개에 가보면 큰 바위가 있을 것이고 그 바위 근처에 가서 찾아보면 산삼과 석밀을 얻을 수 있을 것이라고 가르쳐 주었다. 그곳을 찾아가 보니 큰 바위 위에 사나운 호랑이가 지키고 앉아 있었다. 오백주는 침착하고 신중한 어조로 호랑이에게 “아무리 짐승이라 하지만 나의 일을 방해할 수 있겠는가. 아버님 병환을 고치기 위하여 이곳에 약을 구하러 왔는데 방해 말라. 네가 나를 잡아먹고 싶으면 내가 약을 구하여 아버님 병환을 고치게 한 후 나를 잡아먹으라.”고 하였다. 그러자 홀연히 호랑이가 사라졌다.

오백주가 산삼과 석밀을 구하게 해 달라고 기도하니 어디선가 벌 소리가 들려와 소리 나는 곳을 찾았다. 바위 틈 조그만 구멍으로 벌이 들어가는 것을 보고 그곳에서 석밀을 파냈다. 또 그 앞을 자세히 살펴보니 산삼의 마른 줄기가 보여 산삼을 캤다. 이것을 가지고 돌아와 아버지께 드렸더니 병환이 나았다고 한다.

오백주는 1665년(현종 6) 마침내 무과에 합격하여 어영(御營) 군교에 임명되었다. 1667년 현종이 각 군영에 명하여 무예에 뛰어난 자들을 추천하여 시험을 보도록 하였는데, 기사와 승마에서 뛰어난 솜씨를 발휘하여 금품을 하사받고 별군직에 뽑혔다. 1670년 첨지가 되었고 품계가 가선대부에 올랐으며, 1671년(숙종 1) 혜산 첨사로 나갔다. 1675년 할머니의 상을 당하여 고향에 돌아왔다가 다시 이산 군수로 나갔다. 1681년부터 1705년까지 곽산 군수, 개천 군수, 상원 군수, 구성 도호부사, 고원 군수 등 지방관을 역임하였다. 1712년 서북 첨사, 1716년 노강 첨사 등을 지냈고, 얼마 후 기로소에 들었다.

오백주가 서북에 있을 때 어떤 사람이 연로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지방에서 고생하는 연유를 묻자 오백주는, “내가 두터운 국록을 먹고 이러한 지위에 오르는 은혜를 입었는데, 나이 80에 이르도록 갚지 못하여 이를 보답할 길을 찾는 것”이라고 대답하였다. 1719년 자헌대부로 가자(加資)되었고, 그해 가을 관직에서 물러나 고향으로 돌아와 죽었다.

훗날 이 고장 사람들은 오백주가 찾아갔던 바위를 범 바위 또는 효자 바위라 불렀고, 오백주가 이 바위에서 빌어 산삼과 석밀을 얻었다 하여 축석(祝石)이라 하였으며, 축석이 있는 곳으로 의정부와 포천을 잇는 이 고개를 축석령(祝石嶺)이라 불렀다 한다.

[묘소]

묘소는 경기도 포천시 어룡동에 있다.

[상훈과 추모]

1723년(경종 3) 오백주의 효행을 기려 효자 정려가 내려졌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