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금기어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601956
한자 禁忌語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언어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집필자 강영봉

[정의]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에서 전해 내려오는 피하거나 금기시 되는 말과 행동.

[개설]

금기어는 종교적·도덕적인 이유로 사용을 금지하거나 꺼리는 언어 표현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사람이나 사물을 더러운 것, 또는 신성한 것이라 하여 이에 접근하거나 행동을 금하는 소극적인 의례 관행의 성격을 지닌다.

결국 금기어는 사회적·심리적 관행의 산물이라 할 수 있다. 나아가 금기어는 어떤 사물이나 현상에 대하여 공포심이나 경외를 느껴 그 대상으로부터 벗어나려 할 때, 사회 생활이나 일상 생활에서 얻은 교훈으로 작용하기도 한다.

금기어는 과학적이거나 합리적인 것이라기보다 정신 의학적 측면에서 볼 때 음미할 가치를 지니는 경우가 많다.

[내용]

1. 형식

금기어의 언어 형식은 ‘~하지 마라. ~하면 좋지 않다. ~하면 나쁘다. ~하면 불행하다’ 등의 의미 구조로 되어 있다.

2. 표현

금기어의 표현은 공포의 대상을 기피하고자 하는 호칭 금기, 불쾌한 연상을 일으키거나 도덕적으로 꺼려지는 대상에 대하여 간접적이고도 우아한 표현으로 바꾸어 부르는 완곡 어법(婉曲語法), 그리고 다분히 현학적(衒學的)이고 예의적인 표현법 등 크게 세 가지로 나뉜다.

3. 사례

아침과 밤에 관한 내용으로 서귀포 지역에서는 다음과 같은 금기어들이 있다.

o밤 꿈 본 말 하지 마라.

o밤길 걸을 때 뒤돌아보지 마라.

o밤에 거울 보지 마라.

o밤에 귀지 내지 마라.

o밤에 다리미 남 빌려주지 마라.

o밤에 머리 감지 마라.

o밤에 방 쓸지 마라.

o밤에 불 장난 마라.

o밤에 손톱, 발톱 깎지 마라.

o밤에 쥐구멍 옴파지 마라.

o밤에 집에서 휘파람 부지 마라.

o아침에 노래하지 마라.

o아침에 바늘 팔지 마라.

o아침에 신 엎어 놓지 마라.

o아침에 외상 안 준다.

o한 대야에서 둘이 세수하지 마라.

[의의와 평가]

금기어는 역사적·문화적 산물로서 서귀포시의 전통에 근거한 것이 많다. 그러나 오늘날에는 농경이나 어로 등 전통적인 생활 양식이 많이 변했으므로 금기어의 사용도 점차 사라져 가고 있다.

금기어는 서귀포시의 전통 문화를 보여 주는 한 단면이라는 점에서 전승과 보존, 그리고 연구가 필요하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