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101529
한자 民間信仰
분야 생활·민속/민속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충청남도 서산시
집필자 임승범

[정의]

충청남도 서산 지역의 민간에서 오래 전부터 믿어져 내려온 신앙.

[개설]

민간 신앙은 일반 종교처럼 교리나 교단이 체계화된 것이 아니라 일반 민중들의 생활 속에서 예전부터 전승되어 오는 신앙을 말한다. 민간 신앙은 다른 어떠한 기존의 종교보다도 오랜 역사성을 지니며, 대다수 사람들의 일상생활과 깊은 관계를 맺고 있다. 민간 신앙은 인간 본연의 종교 욕구를 토대로 하여 그들을 둘러싼 자연 및 인문 환경, 역사 과정에 조응하면서 지역민들의 종교적 삶에 용해되어 있다. 이러한 민간 신앙은 크게 마을 신앙과 가정 신앙을 비롯하여 무속 신앙까지 포함하고 있다.

[마을 신앙]

마을 신앙은 기본적으로 마을의 주신을 비롯한 여러 신령들을 좌정시키고 그들로부터 마을의 안녕과 행복을 보장받기 위해 비롯되었으며, 이는 상당신·하당신에 대한 신앙과 그 의례로 구성된다. 서산 지역에서는 대체로 음력 정월 열나흘날 밤에 동제를 지내는 사례가 많다. 이 지역에서는 주로 산신과 서낭신을 모신다. 해안 마을에서는 임경업 장군을 모시고 풍어와 안녕을 기원하기도 한다.

충청남도 서산시 고북면 사기리에서는 마을 당산에서 당제를 지냈다. 제일은 섣달 그믐날부터 시작해서 정월 초하루까지 지냈다. 제물은 돼지머리, 포, 탕, 산적, 삼색실과, 술 등이며 마을에서 부정하지 않은 사람 10인을 선출하여 지냈다.

충청남도 서산시 대산면 독곶리에서는 황금산에서 당제를 지낸다. 당제에 모시는 신은 산신과 임경업 장군, 박활량 등이다. 과거부터 황금산을 건드리거나 소홀히 하면 배사고가 나고 동네가 불안해진다고 하여 정성으로 당제를 지내 왔다. 독곶리 황금산 당제는 과거에 마을 어민들의 풍어와 안녕을 기원하던 제의였으나 이제는 대산면의 주요 제사로 변모하게 되었다.

충청남도 서산시 부석면 창리에서도 당제를 지내 오고 있다. 창리에 있는 당은 ‘영신당(迎神堂)’이기 때문에 창리의 당제를 ‘영신당제’라고도 부른다. 창리 영신당에 모신 신격은 수당, 지터당, 임경업 장군, 부인, 손님, 수배 등이다. 당은 마을 뒤 야산의 중턱에 자리 잡고 있으며, 마을의 평안과 풍어를 기원하기 위해서 해마다 정월 초사흗날 제사를 지내고 있다. 창리의 제관은 마을에서 생기복덕을 보아 깨끗한 사람을 선출한다. 제의는 만신들이 진행한다. 제물로는 수소 한 마리와 쌀, 술, 삼색실과 등을 장만한다. 제의 순서는 마을 회관에서 풍어놀이를 하고, 이어서 거리제, 당제, 영신당 산신제, 장군굿, 대감굿, 각시굿, 도당대감굿, 그물팔이, 오방굿, 용왕굿 등의 순서로 진행된다.

[가정 신앙]

가정 신앙은 한 가정에서 여러 신령을 좌정시키고 그들에 대한 종교 의례를 거행함으로써 집안을 여러 신령의 보호와 축복을 받고자 하는 신앙 체계이다. 서산 지역도 다른 지역과 마찬가지로 안방 또는 마루에 성주를 모시고, 삼신을 안방에 좌정시킨다. 또한 부엌에는 조왕, 뒤란에는 지신을 모신다. 이밖에 뚝제, 수문제, 섬제 등를 지내는 가정도 있다.

1. 성주

성주는 대체로 안방 윗목에 좌정한다. 대청이 있는 집에는 대청 상량 밑에 성주를 모시거나, 신체가 없더라도 성주가 그곳에 있다고 여긴다. 성주는 반구형으로 생겼으며 법사나 보살 등 무속인이 성주 받는 고사를 한 후에 흰 종이를 말아서 만든다. 성주를 받는 절차는 안택과 같다. 부엌에서 조왕경을 읽고 안방에서 성주경을 왼 다음에 성주대가름을 통해 성주의 의사를 확인하고 받아 모신다.

2. 지신제

서산 지역의 대부분 가정에서는 과거에는 정초에 지신제를 지냈다. 집 뒤란에 지신이 있다고 여겨서 정월 열 나흗날 저녁에 제를 지낸다. 만약 정초에 날을 따로 잡아서 지낼 경우에는 돼지날[亥日]이 좋다. 지신제를 지내는 날 새벽에 대문 앞에 황토를 펴서 부정한 사람의 출입을 금한다. 지신제는 밤 11시 경 인적이 없을 때 한다. 제물은 뒤란 장독대 앞에 짚을 열십자로 깔고 그 위에 차린다. 지신제를 지낼 때에는 팥 시루와 청수만 놓고 절을 한다.

3. 가을베끼

가을에 한 해 수확을 하고 나면 시루떡을 해서 성주 등 집안의 여러 신령 앞에 두었다가 고사를 지내고 이웃과 나누어 먹는다. 이를 서산 지역에서는 ‘가을베끼’라고 부른다. 가을 농사를 잘 지었으므로 함께 고생한 이웃 주민들과 나눠 먹기 위해서 떡을 하는 것이다. 가을 시루는 팥 시루로 찐다. 조왕에서 시루를 찌고 나면 이를 성주 앞에 가져다 놓는다. 그리고 접시에 떡을 담아서 조왕, 장광, 대문, 굴뚝 등 집안 여러 곳에 놓고 신령을 위한다.

4. 동토잡기

사람이 갑자기 아프면 동토가 난 것으로 여긴다. 집안에 물건을 잘못 들이거나 멀쩡한 나무를 잘못 베면 그것이 탈이 되어 병의 원인이 된다고 생각한다. 그러면 메밀로 죽을 쑤어 동토가 난 곳이라고 여겨지는 곳에 붓는다. 다른 방법으로는 법사 혹은 동토를 잘 잡는 사람이 복숭아 나뭇가지로 동토가 난 곳을 두드리며 주문 또는 경문을 왼다.

[무속 신앙]

서산 지역을 비롯한 충청남도의 무속은 다른 지역의 무속과 달리 ‘앉은굿’이 주류를 이룬다. 이는 법사가 의관을 정제하고 독경을 함으로써 단골의 문제를 옥황상제와 신장으로 하여금 해결하도록 하는 것이다.

앉은굿은 독경에 의해 집안의 신령들을 위무하여 가택을 평안하게 하고, 때로는 귀신을 쫓아 병을 낫게 하는 제액 초복을 위한 굿을 주로 한다. 특히, 환자 치료를 위해서 귀신을 쫓는 ‘병경’ 의례를 베풀 경우 종이를 칼로 파서 제작하는 ‘설위’와 ‘팔문금쇄진’ 등이 환자의 방에 펼쳐진다. 또 법사는 마당에 환자를 앉히고 그를 젖은 이불로 덮고서 그 위에 불길을 끼얹는다. 이를 환자의 몸 바깥으로 귀신을 쫓아내는 ‘화전치기’라고 부른다.

앉은굿 법사는 신과 의사소통을 위해서 대에 신을 접신하여 신의 의사를 살핀다. 과거에는 마을 주민들 중에 대를 잘 잡는 이가 있어서 그에게 의뢰하였지만 이제는 대잡이가 거의 소멸되어서 법사 혹은 법사를 따라온 보살이 대를 대신 잡는 경우가 흔해졌다.

충청남도 서산 지역은 앉은굿이 무속의 기층을 이루고 있지만, 6·25 전쟁 이후 황해도 피난민이 대거 이주해 옴에 따라 이들에 의한 황해도식 굿도 많이 행해지고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