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옥중 의절 유시」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5901884
한자 獄中義節遺詩
이칭/별칭 옥중에서 절의를 읊은 유고시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문학
유형 작품/문학 작품
지역 전라북도 순창군 구림면|인계면 도룡리
시대 근대/개항기
집필자 손앵화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저자 생년 시기/일시 1875년 - 양춘영 출생
저자 몰년 시기/일시 1910년 - 양춘영 사망
배경 지역 전라북도 순창군 구림면
성격 한시
작가 양춘영(楊春泳)[1875~1910]

[정의]

개항기 순창 출신의 항일 의병장 양춘영이 옥중에서 남긴 한시.

[개설]

양춘영(楊春泳)[1875~1910]의 자는 윤숙(允淑), 호는 춘계(春溪), 본관은 남원(南原)이다. 전라북도 순창군 구림면 국화촌에서 양석민의 장남으로 태어났다. 순창군청 주사로 임용되어 관리를 지내다가 일제의 국권 침탈 야욕이 가시화되자 구국 운동에 전념하였다. 면암(勉庵) 최익현(崔益鉉)[1833~1906]이 일본 헌병에게 체포되어 대마도로 압송되자 항일 동지들을 규합하여 회문산을 근거지로 의병 활동을 하였다. 1909년(순종 3)에 김제군 월촌면 봉월리에서 일본 헌병대에 체포되어 이듬해 전주 감옥에서 교수형에 처해졌다. 1980년 독립장이 추서되었다.

[내용]

「옥중 의절 유시(獄中儀節遺詩)[옥중에서 절의를 읊은 유고시]」의 전문은 다음과 같다.

飛鳳折翼鳳爲鳳(비봉절익봉위봉)[나는 봉황은 날개가 부러졌어도 봉황이요]

伏龍失珠龍爲龍(복룡실주용위용)[엎드린 용은 여의주를 잃었어도 용이다]

爾之國之大忠(이지국지대충)[너희는 나라에 충성을 다하여]

今日之盛事(금일지성사)[오늘의 일을 이루었으나]

俄之國之不忠(아지국지불충)[우리는 나라에 충성을 다하지 못하여]

今日之落淚(금일지낙루)[오늘 눈물만 흐른다]

시의 앞부분에서는 일제의 폭압에 굽히지 않는 당당한 기개와 절의를 용과 봉황으로 빗대어 표현하였다. 뒷부분에서는 일제와 대한 제국을 각각 ‘너희’와 ‘우리’로 대비하여 나라를 빼앗긴 통한을 토로하였다.

[의의와 평가]

「옥중 의절 유시」양춘영이 전주 감옥에서 사형 집행을 앞두고 쓴 유작시로, 국권 회복의 뜻을 이루지 못하고 죽음을 맞는 데 대한 안타까움이 잘 드러나 있다. 항일 의병 동지들을 향해 우국충정(憂國衷情)의 마음을 다지고 국권 회복을 위해 더욱 분발할 것을 당부하는 메시지이기도 하다.

[참고문헌]
  • 『순창 향지』-절의 현사 편(순창 향지사, 2003)
  • 공훈 전자 사료관(http://e-gonghun.mpva.go.kr/)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