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5200456 |
---|---|
한자 | 科擧及第者 |
이칭/별칭 | 급제자 |
분야 | 역사/전통 시대 |
유형 |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
지역 | 경상북도 의성군 |
시대 | 조선/조선 |
집필자 | 백지국 |
[정의]
경상북도 의성 지역의 조선 시대 과거 급제자.
[개설]
조선 시대 관료는 과거(科擧)와 음서(蔭敍), 천거(薦擧) 등의 방식을 통해 선발되었다. 과거는 고려의 제도를 답습하여 대과(大科)[문과(文科)·무과(武科)], 소과(小科)[사마시(司馬試), 생원(生員)·진사(進士)], 잡과(雜科) 등으로 나뉘며, 능력을 통해 인재를 선발하는 방식이다. 음서는 조상의 음덕(蔭德)에 따라 그 자손을 관료로 서용하는 것으로 가문에 의해 인재를 등용하는 제도이다. 천거는 3품 이상의 관료들이 3년마다 3인을 추천하여 서용하는 것으로, 개인의 덕행이나 학문적·정치적 능력을 기준으로 관리를 선발하는 제도이다. 고려의 경우 과거보다는 음서에 비중을 두고 관료를 선발하였다면 조선의 경우 음서보다는 과거를 중심으로 관료를 선발하여 국정을 운영하였다.
과거는 3년에 한 번 열리는 식년시(式年試)인 정기시(定期試)와 수시로 열린 증광시(增廣試)·별시(別試)·알성시(謁聖試)·정시(庭試)·춘당대시(春塘臺試) 등 부정기시(不定期試)가 있다. 식년시와 증광시는 소과·문과·무과·잡과가 모두 열렸으나, 별시·알성시·정시·춘당대시는 문과와 무과만이 열렸다.
[조선 시대 의성 지역 과거 급제자]
지금의 의성 지역은 조선 시대의 의성현(義城縣), 비안현(比安縣), 상주목(尙州牧)의 속현인 단밀현(丹密縣), 보주(甫州)[예천]의 속현인 다인현(多仁縣), 용궁현(龍宮縣)의 일부분[안사면(安寺面) 일대]이 해당한다.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에는 의성현을 비롯한 비안현, 단밀현의 과거 급제자의 명단이 기록되어 있다. 의성현의 경우 김순(金淳)·김말(金末) 2명으로, 김순의 벼슬은 지중추원사(知中樞院事)에 이르렀고, 김말(金末)은 판중추부사(判中樞府事)에 이르렀다고 한다. 비안현과 단밀현은 각각 1명으로, 비안현의 경우 태종 때 과거에 급제하여 이조 참의 가선 대부 안동 대도호부사(吏曹 參議 嘉善大夫 安東 大都護府使)에 이른 박서생(朴瑞生), 단밀현의 경우 태종 때 문과에 급제하여 예문관 대제학(藝文館 大提學)에 이른 박안신(朴安臣)이 있다. 이후의 과거 급제자에 대한 자료는 『여지도서(輿地圖書)』·『교남지(嶠南誌)』·『의성승감(義城勝鑑)』 등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의성 지역 문과 급제자]
『여지도서』·『교남지』·『의성승감』 등의 기록으로 파악되는 의성 지역 문과 급제자는 총 69명이다. 이 중 의성현에 기록된 문과 급제자는 47명, 비안현에 기록에 기록된 문과 급제자는 8명, 단밀현에 기록된 문과 급제자는 1명이며, 『의성승감』에만 기록되어 있으며 출신지를 알 수 없는 문과 급제자가 13명이다.
시기별로는 선조 연간에 가장 많은 10명의 합격자를 배출하였고, 그 다음으로 인조 연간 9명, 정조 연간 7명, 중종·숙종 연간 6명, 태종 연간 4명, 세조·성종·영조·고종 연간 3명, 세종·명종·효종 연간 2명, 연산군·인종·경종·헌종 연간 각 1명 순이었다. 연대를 알 수 없는 인물은 5명이다.
가문별로는 안동 김씨 가문이 12명으로 가장 많았고, 그 다음으로 아주 신씨 11명, 영천 이씨 8명, 함양 박씨 4명, 의성 김씨·영양 남씨 각 3명, 경주 김씨·밀양 박씨·파평 윤씨·영일 정씨 각 2명, 능성 구씨·광산 김씨·나주 김씨·선산 김씨·경주 노씨·비안 박씨·상산 박씨·초계 변씨·해주 오씨·양성 이씨·풍천 임씨·청주 정씨·의성 정씨·나주 정씨·창녕 조씨·창원 황씨 각 1명이었고, 그 외에 본관을 알 수 없는 박씨·장씨·정씨가 각 1명 순이었다.
웹사이트 플러그인 제거 작업으로 인하여 플래시 플러그인 기반의 도표, 도면 등의
멀티미디어 콘텐츠 서비스를 잠정 중단합니다.
표준형식으로 변환 및 서비스가 가능한 멀티미디어 데이터는 순차적으로 변환 및 제공 예정입니다.
[의성 지역 무과 급제자]
『교남지』·『의성승감』에 기재된 무과 급제자는 총 38명이다. 의성현에 기록된 급제자가 13명, 비안현에 기록된 급제자가 8명, 미상 17명이 파악되었다. 시기별로 살펴보면 선조 연간에 5명의 합격자를 배출하고, 그 다음으로 효종·숙종 연간 4명, 세조·인조 연간 3명, 영조·철종 연간 2명, 세종·성종·연산군·인종·명종·현종·경종·정조·고종 연간에 1명 순이었다.
가문별로는 순천 장씨가 5명으로 가장 많았다. 그 다음으로 함양 박씨 4명, 영양 남씨 3명, 광산 김씨·비안 박씨·아주 신씨 2명, 청풍 김씨·경주 김씨·전주 김씨·진주 강씨·일직 손씨·해주 오씨·단양 우씨·성산 이씨·영천 이씨·아산 장씨·용궁 전씨·동래 정씨 1명 순이다. 그밖에 본관을 알 수 없는 성씨가 오씨 2명, 박씨·성씨·손씨·송씨 1명으로 총 6명이다.
웹사이트 플러그인 제거 작업으로 인하여 플래시 플러그인 기반의 도표, 도면 등의
멀티미디어 콘텐츠 서비스를 잠정 중단합니다.
표준형식으로 변환 및 서비스가 가능한 멀티미디어 데이터는 순차적으로 변환 및 제공 예정입니다.
[의성 지역 사마시 급제자]
의성 지역의 사마시[생원·진사] 합격자는 『교남지』에 총 86명이 기록되어 있다. 이 중에서 의성현에서는 생원 26명, 진사 48명, 사마 1명 등 총 75명의 합격자가 배출되었고, 비안현에서는 생원 3명, 진사 7명의 총 10명, 단밀현에서는 생원 1명이 배출되었다.
반면 『의성승감』에는 총 132명의 합격자가 기록되어 있다. 생원이 39명, 진사 92명, 기재되어 있지 않은 인물이 1명이다. 그런데 생원 14명, 진사 44명 총 59명이 의성·비안·단밀 등 출신지를 밝히고 있지 않아 이들을 행정 구역별로 나누어 파악할 수 없다. 『교남지』와 『의성승감』의 기록을 보완하여 파악한 사마시 합격자는 생원 43명, 진사 101명으로 총 144명이다.
시기별로 보면 성종·인조 연간이 13명으로 가장 많은 합격자를 배출하였다. 그 다음으로는 영조 연간 12명, 고종 연간 11명, 정조·순조 연간 10명, 숙종 연간 9명, 중종 연간 7명, 현종 연간 6명, 명종 연간 5명, 연산군·효종 연간 3명, 세종·광해군 연간 2명, 태조·단종·예종·헌종·철종 연간 1명 순이다. 또한 연대를 알 수 없는 자가 33명이다.
가문별로는 안동 김씨가 27명으로 가장 많은 합격자를 배출하였다. 그 다음으로 아주 신씨 22명, 영천 이씨 13명, 함양 박씨 10명, 광산 김씨 8명, 선산 김씨 5명, 반남 박씨·파평 윤씨·영일 정씨 3명, 경주 김씨·김해 김씨·영양 남씨·달성 서씨·해주 오씨·의령 옥씨·경주 이씨·광주 이씨·순천 장씨·나주 정씨 2명, 신천 강씨·나주 김씨·의성 김씨·경주 노씨·풍산 유씨·밀양 박씨·상산 박씨·순천 박씨·초계 박씨·남원 양씨·고창 오씨·벽진 이씨·성주 이씨·전주 이씨·풍천 임씨 1명 순이었다. 그밖에 본관을 알 수 없는 박씨 4명, 이씨 2명, 서씨·오씨 1명, 총 8명이 있다.
웹사이트 플러그인 제거 작업으로 인하여 플래시 플러그인 기반의 도표, 도면 등의
멀티미디어 콘텐츠 서비스를 잠정 중단합니다.
표준형식으로 변환 및 서비스가 가능한 멀티미디어 데이터는 순차적으로 변환 및 제공 예정입니다.
[의성 지역 음사]
음사의 경우 『교남지』 의성현조에 기록되어 있는 인물이 24명, 비안현조에 기록되어 있는 인물이 22명으로, 총 46명이다. 『의성승감』에는 87명이 기록되어 있다. 이들 기록에서 10명은 양쪽에 중복 기재되어 있으므로, 이를 최종적으로 123명의 음사가 파악된다. 다만 앞에서와 달리 음사의 경우 자료의 한계로 인해 시대별·가문별 분석은 어렵다. 한편 『교남지』 의성현조에는 천거의 한 방식인 유일천거(遺逸薦擧)[일거(逸擧)]로 관료로 선발된 신재(申在)와 김종덕(金宗德) 등이 기록되어 있기도 하다.
웹사이트 플러그인 제거 작업으로 인하여 플래시 플러그인 기반의 도표, 도면 등의
멀티미디어 콘텐츠 서비스를 잠정 중단합니다.
표준형식으로 변환 및 서비스가 가능한 멀티미디어 데이터는 순차적으로 변환 및 제공 예정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