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300596
한자 楊州梅谷里古宅
분야 생활·민속/생활,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적/건물
지역 경기도 양주시 남면 휴암로421번길 50-3[매곡리 282-3]
시대 근대/개항기
집필자 손광순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건립 시기/일시 1895년경 - 건립[건축 도중 명성황후 시해 사건이 일어났다는 증언을 토대로 추정]
훼철|철거 시기/일시 1932년~1933년경 - 일부 철거[사랑채와 별당채를 헐어 내어 종로에 상가를 지었다는 증언을 토대로 추정]
문화재 지정 일시 1984년 1월 14일연표보기 - 양주 매곡리 고택 국가민속문화재 제128호로 지정
문화재 지정 일시 2021년 11월 19일 - 양주 매곡리 고택 국가민속문화재 재지정
현 소재지 양주 매곡리 고택 - 경기도 양주시 남면 휴암로421번길 50-3[매곡리 282-3]지도보기
성격 전통 가옥|주거 건축
양식 목조 와가
소유자 백선현 외 5명
관리자 백선현
문화재 지정 번호 국가민속문화재

[정의]

경기도 양주시 남면 매곡리에 있는 개항기 전통 가옥.

[위치]

양주 매곡리 고택(楊州梅谷里古宅)은 양주시 남면 휴암로[매곡리 282-3번지]에 위치한다.

[변천]

전해져 오는 말에 의하면, 양주 매곡리 고택은 조선 말 정국이 혼란해지자 명성황후(明成皇后)[1851~1895]가 은신처로 삼기 위해 서울의 고옥(古屋)을 옮겨 지은 것이라고 한다. 명성황후의 경호원 김종원은 명성황후로부터 동대문 밖에 은신처를 준비하라는 명을 받고 장소를 물색하며 북상하던 중, 현재의 양주시 남면 매곡리에 이르러 지형의 안온함을 보고 가옥을 짓게 되었다고 한다. 또는 양주 매곡리 고택장희빈(張禧嬪)[?~1701]이 살았던 집이라고도 전해지며, 건립 당시 105칸의 규모였다고 한다.

한편, 양주 매곡리 고택에서 태어나고 자란 백수현(白壽鉉)에 의하면 철원 궁예 성터에서 고옥(古屋)을 헐어 와 지은 집으로 조선 시대와 관련된 부연은 나타나지 않는다고 한다. 그러나 석재의 크기나 가공 수법, 목재의 크기나 치목 수법 등이 궁궐 건축의 특징을 지니고 있어, 양주 매곡리 고택명성황후의 피난처로 지어졌다는 말을 뒷받침해 주고 있다.

1932년경 백수현의 조부 백남준이 이 가옥을 매입하려 하였으나 자금[1,300원]이 부족하여 사랑채와 별당채를 제외하고 안채와 행랑채만을 900원에 매입하였다고 한다. 이후 사랑채와 별당채는 종로의 상가를 짓는 용도로 헐려 초석만 남아 있으며, 하마비(下馬碑)가 있었는데 이 또한 사라졌다.

[형태]

전체적으로 ‘ㅁ’ 자형의 집이었으나 현재 사랑채와 별당채는 지대석만 남긴 채 헐리고 없으며, 튼 ‘口’ 자 모양인 살림채만 남아 있다. 외부 공간은 행랑채 앞의 사랑 마당, 집 안의 앞마당, 안채 뒤의 뒤뜰로 이루어졌다. 살림채는 ‘ㄴ’ 자형의 행랑채와 꼬리가 달린 ‘ㄱ’ 자형의 안채로 구성되어 있다. 안채는 일반적인 ‘ㄱ’ 자형 집과 같아서 부엌·안방을 세로로 두고 꺾어져서 대청·건넌방의 순으로 배치하였는데, 부엌 뒤에 가로로 광과 뒷방을 곁달고 있다. 이러한 평면 구성은 사대부 집에서나 가끔 볼 수 있는 특이한 양식이다. 보칸은 모두 한 칸 반으로 하였는데, 다만 뒷방 쪽만 단칸 크기로 만들었다. 도리간은 부엌·안방·대청이 2칸 길이이고, 기타는 단칸이다.

[현황]

양주 매곡리 고택은 1984년 1월 14일 국가민속문화재 제128호로 지정되었고,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청 고시에 의해 문화재 지정번호가 폐지되어 국가민속문화재로 재지정되었다. 백수현의 아들과 다섯 동생에게 소유권이 있으며, 현재 백수현의 동생인 백선현이 거주하며 관리하고 있다. 개인이 소유하여 살고 있다 보니 여러 가지 불편한 점[방열, 화장실, 부엌, 난방 등]이 많아 개조하면서 전통 가옥에 현대적인 요소들이 가미되어 고택의 예스러움이 많이 퇴색되었다.

국보 제1호인 숭례문(崇禮門)이 화재를 겪은 이후 고건축의 화재 소방 훈련을 실시하고 있다고 한다. 양주 매곡리 고택이 위치한 곳은 매곡리라고 불리는데, 매봉재에서 바라볼 때 좌청룡 우백호가 마치 매화나무 가지와 같이 생겼다 하여 명명된 것이라고 한다.

[의의와 평가]

양주 매곡리 고택을 보면 기둥 목재를 잇대어 지은 것이 확인되는데, 이는 고려 시대에는 건축물의 높이가 낮아 기둥 길이 또한 짧아 이를 높인 것이라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양주 매곡리 고택은 고려와 조선의 건축 기법이 접목되어 있는 건물로 높은 평가를 받고 있다. 또한 안방과 건넌방 사이에 방한을 위한 이중벽이 설치되어 있는 것과 더불어 여러 곳에서 궁궐 건축의 특징이 나타나는 점도 주목받고 있다. 현재 사랑채와 별당채가 남아 있지 않아 많은 아쉬움을 자아낸다.

[참고문헌]
[수정이력]
콘텐츠 수정이력
수정일 제목 내용
2018.06.26 문화재 용어 변경 현행화 중요 민속 문화재 -> 국가민속문화재
이용자 의견
박** 백인걸 묘소와 백수현 가옥의 중간지점에 백대현 ( 화합로 147번길 337 ) 가옥이 있습니다. 지붕기와는 시멘트로 된 청기와이나 주춧돌 기둥으로 보아 200~300년 된 건물로 보입니다. 집이 기울고 있으니 시급히 보수가 필요합니다.
  • 답변
  • 디지털양주문화대전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해당 사항은 관련 관리자에게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2016.09.24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