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1403406
한자 東人詩話
영어의미역 The Talk on Poetry Where Daeseongam Hermitage is Having
분야 종교/불교,문화유산/기록 유산
유형 문헌/단행본
지역 경상남도 양산시 하북면 용연리 9
시대 조선/조선 전기
집필자 조원영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문화재 지정 일시 2003년 9월 18일연표보기 - 동인시화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397호 지정
문화재 지정 일시 2011년 4월 29일연표보기 - 동인시화 보물 제1712호 지정
문화재 지정 일시 2021년 11월 19일 - 동인시화 보물 재지정
성격 시화집
관련인물 강희맹(姜希孟)|김수온(金守溫)|최숙정(崔淑精)|양성지(梁誠之)
저자 서거정
간행자 박시형(朴時衡)
간행연도/일시 1477년(성종 8)연표보기
권수 2권
책수 1책
가로 21.2㎝
세로 31㎝
소장처 대성암
소장처 주소 경상남도 양산시 하북면 용연리 9 지도보기
문화재 지정 번호 보물

[정의]

경상남도 양산시 하북면 용연리 대성암에 있는 조선 전기 목판본 시화집.

[개설]

양산 대성암 소장 동인시화서거정이 우리나라 시인과 그들의 작품을 대상으로 품평한 시화집으로, 1477년(성종 8)에 간행하였다. 주로 신라 때의 최치원, 박인범에서부터 이규보 등 고려 때의 시인을 많이 다루었고, 조선 전기 권근, 변계량 등의 시도 수록하였다. 비교 문학적인 방법으로 중국 당(唐)나라나 송(宋)나라 때의 작품과 비교하였는데, 우리나라의 작품이 전혀 손색이 없다고 주장하였다.

[형태]

닥종이[楮紙]에 목판본(木版本) 선장(線裝)으로 상, 하 2권 1책이며, 반곽의 크기는 31×21.2㎝이다. 책 앞부분에는 1474년(성종 5)에 쓴 사숙재 강희맹(姜希孟)의 서문과 1475년에 쓴 괴애 김수온(金守溫)의 서문이 있고, 책 끝부분에는 1477년에 쓴 소요재(逍遙齋) 최숙정(崔淑精)과 눌재 양성지(梁誠之)의 발문이 실려 있다. 간행 사업은 서거정의 문인인 최숙정이 주도했던 것으로 보이며, 양성지의 발문에 따르면 밀양부사 박시형(朴時衡)의 주관으로 밀양부에서 간행되었다고 한다.

[의의와 평가]

2003년 9월 18일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397호로 지정되었다가 문화재청으로부터 2011년 4월 29일자로 보물 제1712호로 승격되어 재지정되었다. 초간본의 완본이 전래되는 것이 희소하다는 점과 조선 전기 문학사 및 비평사, 출판사 연구에 귀중한 사료가 됨으로 국가지정문화재로 승격 지정한 것이다.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청 고시에 의해 문화재 지정번호가 폐지되어 보물로 재지정되었다.

[참고문헌]
[수정이력]
콘텐츠 수정이력
수정일 제목 내용
2011.04.29 메터 정보 및 본문 수정 1) 메터 정보 표준지역 경상남도 양산시 하북면 용연리 산9 ->표준지역 경상남도 양산시 하북면 용연리 9 지역 경상남도 양산시 하북면 용연리 산9 ->지역 경상남도 양산시 하북면 용연리 9 문화재 지정번호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397호 ->문화재 지정번호 보물 제1712호 문화재 지정일 2003년 9월 18일 ->문화재 지정일 2011년 4월 29일 2) 본문 [의의와 평가] 최초의 순수 시화집(詩話集)으로 문학사적 가치가 크며, 전문적인 비평서로 조선 비평 문학을 대표하는 귀중한 문헌이다. ->[의의와 평가] 2003년 9월 18일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397호로 지정되었다가 문화재청으로부터 2011년 4월 29일자로 보물 제1712호로 승격되어 재지정되었다. 초간본의 완본이 전래되는 것이 희소하다는 점과 조선 전기 문학사 및 비평사, 출판사 연구에 귀중한 사료가 됨으로 국가지정문화재로 승격 지정한 것이다.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