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5100936
한자 迎日鄭氏
분야 성씨·인물/성씨·세거지
유형 성씨/성씨
지역 경상북도 영천시
집필자 전민욱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입향지 영일 정씨 - 경상북도 영천시 도동
세거|집성지 영일 정씨 - 경상북도 영천시 자양면 삼귀리 지도보기
세거|집성지 영일 정씨 - 경상북도 영천시 자양면 성곡리 지도보기
세거|집성지 영일 정씨 - 경상북도 영천시 임고면 선원리 지도보기
세거|집성지 영일 정씨 - 경상북도 영천시 임고면 삼매리 지도보기
세거|집성지 영일 정씨 - 경상북도 영천시 북안면 도천리 지도보기
세거|집성지 영일 정씨 - 경상북도 영천시 화북면 자천리 지도보기
세거|집성지 영일 정씨 - 경상북도 영천시 화북면 횡계리 지도보기
세거|집성지 영일 정씨 - 경상북도 영천시 대전리
세거|집성지 영일 정씨 - 경상북도 영천시 녹전동
세거|집성지 영일 정씨 - 경상북도 영천시 오미동
성씨 시조 정습명
입향 시조 정광후

[정의]

정습명(鄭襲明)을 시조로 하며 정광후(鄭光厚)를 입향조로 하는 경상북도 영천 지역의 세거 성씨.

[연원]

영일 정씨(迎日鄭氏)는 고려 한림학사(翰林學士)이며 추밀원지주사(樞密院知奏事) 정습명(鄭襲明)을 시조로 하며, 가선대부(嘉善大夫) 공조판서(工曹判書)를 역임한 정광후(鄭光厚)가 영천 지역에 입향하였다.

[입향 경위]

정광후는 고려 때 문과에 급제한 후 가선대부(嘉善大夫) 공조판서(工曹判書)를 역임하고 스승을 배반하고 헐뜯기를 일삼는 정도전(鄭道傳) 등의 행위를 못 마땅하게 생각하여 글을 남겨 세상길이 험악함을 개탄하며 벼슬을 버리고 돌아온 아버지 정인언(鄭仁彦)와 함께 영천 전촌(錢村)[현 영천시 도동] 마을로 내려왔다. 농사를 지으며 어버이를 봉양하고, 글을 좋아하여 자제를 훈육하며 임천을 즐겼다.

[현황]

입향 이후 인물을 향지(鄕誌) 『영양지(永陽誌)』를 중심으로 하여 살펴보면, 입향조인 정광후를 비롯하여, 포은(圃隱) 정몽주, 교도(敎導) 정문예(鄭文裔), 문과(文科)로 사성(司成)인 정종소(鄭從韶), 문과(文科)로 학유(學諭)인 정지소(鄭至韶), 문과(文科)로 좌랑(佐郞)인 정치소(鄭致韶), 도사(都事) 정희손(鄭希孫), 문과(文科)로 지평(持平)인 정이휘(鄭以揮), 문과(文科)로 교리(校理)인 정이교(鄭以僑), 사마(司馬) 정이상(鄭以常), 증(贈) 좌통례(左通禮) 정강(鄭矼), 찰방(察訪) 정차성(鄭次誠), 현감(縣監) 정인개(鄭仁槩), 생원(生員) 정거(鄭琚), 퇴계(退溪) 문인(門人)으로 학행으로 이름난 정윤량(鄭允良), 증(贈) 예조판서(禮曹判書) 정운한(鄭雲翰), 참봉(參奉) 정윤온(鄭允溫), 증(贈) 병조판서(兵曹判書) 정세아(鄭世雅), 주부(主簿) 정담(鄭湛), 증(贈) 통훈대부(通訓大夫) 정도준(鄭道俊), 참봉(參奉) 정언침(鄭彦琛), 선무원종공신(宣武原從功臣)으로 훈련원정(訓練院正)인 정응서(鄭應瑞), 임진왜란 때 순절하고 증(贈) 이조참판(吏曹參判)인 정의번(鄭宜藩), 임진왜란 때 순절하여 증(贈) 공조정랑(工曹正郞)인 정석남(鄭碩男), 무과(武科)로 부호군(副護軍)인 정수번(鄭守藩), 선무원종공신(宣武原從功臣)으로 훈련원판관(訓練院判官)인 정광윤(鄭光胤), 증(贈) 병조참판(兵曹參判) 정희윤(鄭熙胤), 문과(文科)로 정랑(正郞)인 정삼변(鄭三變), 참봉(參奉) 정종윤(鄭宗胤), 학행으로 입암서원(立巖書院)에 배향된 정사상(鄭四象)정사진(鄭四震), 생원(生員) 정사물(鄭四勿), 임진왜란 전공으로 증(贈) 좌승지(左承旨)인 정인헌(鄭仁獻), 임진왜란에 창의한 정천리(鄭千里), 문과(文科)로 목사(牧使)인 정호인(鄭好仁), 해남현감(海南縣監) 정호례(鄭好禮), 부사(府使) 정신도(鄭信道), 진도군수(珍島郡守) 정형도(鄭亨道), 진사(進士) 정취도(鄭就道), 훈도(訓導) 정미도(鄭味道), 사마(司馬) 정흥현(鄭興賢), 문과(文科)로 지평(持平)인 정승명(鄭承明), 무과(武科)로 만호(萬戶)인 정시창(鄭時昌), 무과(武科)로 대호군(大護軍)인 정시심(鄭時諶), 무과(武科)로 사과(司果)인 정시우(鄭時羽), 종사랑(從仕郞) 정시걸(鄭時傑), 찰방(察訪) 정극양(鄭克讓), 수직(壽職) 가선대부(嘉善大夫) 정석박(鄭碩博), 문과(文科)로 형조참의(刑曹參議)인 정중기(鄭重器), 문과(文科)로 승지(承旨)인 정간(鄭榦), 도사(都事) 정택양(鄭宅陽), 수직(壽職) 첨추부사(僉樞府使) 정학렴(鄭學濂), 통정대부(通政大夫) 정박휴(鄭博休), 문과(文科)로 부정자(副正字)인 정유영(鄭裕榮), 무과(武科)로 현감(縣監)인 정유목(鄭裕睦), 증(贈) 성균관교관(成均館敎官) 정하중(鄭夏中), 생원(生員) 정하영(鄭夏永), 수직(壽職) 통정대부(通政大夫) 정치범(鄭致範), 진사(進士) 정진국(鄭鎭國), 구한말 산남의진(山南義陣) 대장 정환직(鄭煥直), 진사(進士) 정치문(鄭致文), 무과(武科)로 부사과(副司果)인 정학손(鄭學遜), 진사(進士) 정연목(鄭淵穆), 구한말 산남의진(山南義陣) 대장 정용기(鄭鏞基), 수직(壽職) 통정대부(通政大夫) 정치승(鄭致承), 참봉(參奉) 정진호(鄭鎭浩), 참봉(參奉) 정학기(鄭學基), 수직(壽職) 가선대부(嘉善大夫) 정운현(鄭雲賢), 수직(壽職) 가선대부(嘉善大夫) 정용희(鄭鎔禧), 수직(壽職) 가선대부(嘉善大夫) 정대형(鄭岱亨), 수직(壽職) 통정대부(通政大夫) 정유건(鄭裕健), 수직(壽職) 가선대부(嘉善大夫) 정천무(鄭天武), 수직(壽職) 통정대부(通政大夫) 정진채(鄭眞埰), 군자감정(軍資監正) 정두인(鄭斗仁), 참봉(參奉) 정원아(鄭元雅), 수직(壽職) 통정대부(通政大夫) 정정석(鄭正碩), 도정(都正) 정봉채(鄭鳳埰), 통정대부(通政大夫) 정치윤(鄭致閏), 도정(都正) 정용석(鄭鎔錫), 학행이 뛰어난 인물로는 정호의(鄭好義)정호신(鄭好信), 정호문(鄭好問), 정흥우(鄭興宇), 정사명(鄭嗣明), 정헌도(鄭憲道), 정시연(鄭時衍), 정시간(鄭時衎), 정시찬(鄭時贊), 정석교(鄭碩僑), 생원(生員) 정석주(鄭碩冑), 무과(武科)로 선전관(宣傳官)인 정석조(鄭碩祖), 정석현(鄭碩玄), 정석달(鄭碩達), 정석구(鄭碩耈), 정만양(鄭萬陽), 정규양(鄭葵陽), 정섭양(鄭燮陽), 정석임(鄭碩臨), 정중록(鄭重祿), 정몽양(鄭夢陽), 정중주(鄭重周), 정중직(鄭重稷), 정중호(鄭重鎬), 정중기(鄭重岐), 정일진(鄭一鎭), 정일전(鄭一銓), 정일감(鄭一鑑), 정일찬(鄭一鑽), 정일약(鄭一鑰), 정일창(鄭一錩), 정하준(鄭夏濬), 정벌(鄭橃), 정하호(鄭夏濩), 정하위(鄭夏緯), 정하준(鄭夏浚), 정하원(鄭夏源), 정하로(鄭夏潞), 정이휴(鄭履休), 정원휴(鄭元休), 정원휴(鄭遠休), 정하묵(鄭夏默), 정백휴(鄭伯休), 정복휴(鄭復休), 정봉휴(鄭鳳休), 정기휴(鄭耆休), 정유성(鄭裕成), 정도휴(鄭道休), 정적휴(鄭迪休), 정진휴(鄭進休), 정진휴(鄭震休), 정방휴(鄭邦休), 정창휴(鄭昌休), 정인휴(鄭寅休), 정유승(鄭裕升), 정유조(鄭裕祖), 정치주(鄭致澍), 정치익(鄭致翼), 정유직(鄭裕稷), 정유우(鄭裕櫌), 정치장(鄭致章), 정치화(鄭致華), 정치관(鄭致寬), 정치수(鄭致秀), 정치건(鄭致建), 정희규(鄭熺奎), 정유학(鄭裕鶴), 정진태(鄭鎭泰), 정치구(鄭致九), 정진동(鄭鎭東), 정연도(鄭淵道), 정진하(鄭鎭夏), 정연박(鄭淵博), 정만휴(鄭㻴休), 정연달(鄭淵達), 정용우(鄭鏞禹), 정치엽(鄭致燁), 정치우(鄭致于), 정치수(鄭致綬), 정사중(鄭思重), 효행이 뛰어난 인물로는 정치구(鄭致久)와 정수업(鄭守業), 정치헌(鄭致軒) 등이 있다.

영일 정씨의 영천 세거지는 시 전역에 걸쳐있는데, 크게 나누면 자양면삼귀리성곡리, 임고면선원리삼매리, 북안면도천리, 화북면자천리횡계리, 영천 시내의 대전리와 녹전동, 오미동의 삼귀마을을 꼽을 수 있다.

[관련 유적]

경상북도 영천시 금호읍 원제리정광후(鄭光厚)의 배위인 익양군부인(益陽郡夫人) 이씨의 묘재인 당산재(唐山齋)가 있고, 경상북도 영천시 청통면 계지리정치소(鄭致韶)의 묘재인 지강재(芝岡齋)가 있다.

경상북도 영천시 임고면에는 양항리에 정운관(鄭云灌)의 묘재인 계현재(啓賢齋), 정몽주(鄭夢周)임고 서원(臨皐書院)이 있고, 선원리영천 정용준 가옥(永川鄭容俊家屋), 정세아(鄭世雅)정의번(鄭宜藩)환구세덕사(環丘世德祠), 정의번정호례(鄭好禮)의 충이당(忠怡堂), 정석달(鄭碩達)함계 정사(涵溪精舍), 정천휴(鄭川休)의 경괴재(景槐齋), 정백휴(鄭伯休)동연정(東淵亭), 정중보(鄭重簠)의 송원재(松源齋), 정치구(鄭致龜)학파정(鶴坡亭), 정하준(鄭夏浚)환고 정사(環皐精舍)가 있다.

삼매리에는 영천 매산 고택 및 산수정, 정구휴(鄭龜休)의 향양정(向陽亭), 정봉휴(鄭鳳休)의 산천정(山泉亭)이 있다. 또 우항리포은 정몽주 유허비각(圃隱 鄭夢周 遺墟碑閣), 정사상(鄭四象)의 모우정(慕愚亭)이 있으며, 고천리에 정경치(鄭卿緇)의 고천재(古川齋)가 있다.

경상북도 영천시 화산면 당지리에 정호현(鄭好賢)의 지암정(芝菴亭)이 있고, 경상북도 영천시 화북면 횡계리정만양(鄭萬陽)·정규양(鄭葵陽)횡계 서당(橫溪書堂)·옥간정(玉磵亭)·모고헌(慕古軒)이 있으며, 경상북도 영천시 화남면에는 사천리정억 정려각(鄭嶷旌閭閣), 안천리정응서(鄭應瑞)의 능산재(陵山齋), 정극양(鄭克讓)의 봉능재(鳳陵齋), 정치우(鄭致于)의 한암정(漢巖亭)이 있다.

경상북도 영천시 자양면에는 성곡리정세아(鄭世雅)강호정(江湖亭)·오회공 종택(五懷公宗宅), 문중 묘재인 하천재 부 비각(夏泉齋 附 碑閣), 정중호 등 4형제의 사의당(四宜堂), 정호신(鄭好信)삼휴정(三休亭), 정석현(鄭碩玄)오회당(五懷堂), 정시희(鄭時喜)의 묘재인 부영재(富榮齋)가 있고, 용산리정석임(鄭碩臨)의 용강정(龍岡亭), 정진성(鄭鎭聖)의 인구 초당(仁丘草堂), 신방리정석달(鄭碩達)의 묘재인 추원당(追遠堂), 정시간(鄭時衎)취성당(醉醒堂), 삼귀리에 정중주(鄭重周)의 묘재인 구성재(龜聖齋), 정중교(鄭重喬)의 묘재인 성산재(聖山齋), 정하로(鄭夏潞)의 송암정(松巖亭), 정중교(鄭重喬)의 추모당(追慕堂), 정진소(鄭鎭韶)확은정(確隱亭), 충효리정환직(鄭煥直)·정용기(鄭鏞基) 부자의 충효재(忠孝齋)가 있다.

경상북도 영천시 고경면에는 초일리정호신(鄭好信)의 묘재인 초곡재(楚谷齋), 전사리에 정선용(鄭善鏞)·정순용(鄭舜鏞) 형제의 백천정(百川亭), 삼포리정하영(鄭夏永)의 담옹정(淡翁亭)이 있다.

경상북도 영천시 북안면에는 도천리정담(鄭湛)의 징사 복재 정선생 기적비(徵士復齋鄭先生紀績碑), 서당리정굉(鄭硡)·정강(鄭矼) 형제의 묘재인 금오재(金鰲齋), 고지리에 정헌도(鄭憲道)·정미도(鄭味道) 형제의 가천정(柯泉亭), 원당리에 정인언(鄭仁彦)의 경진헌(敬眞軒), 정광후(鄭光厚)의 묘재인 원당재(元堂齋)가 있다.

경상북도 영천시 녹전동정수번(鄭守藩)의 위사재(衛社齋), 정호의(鄭好義)정정정(亭亭亭), 정대임(鄭大任)복양정(復陽亭)·창대종택(昌臺宗宅)정대임 유허비(鄭大任遺墟碑), 정간(鄭榦)북계영당(北溪影堂)이 있으며, 오미동정문예(鄭文裔)의 묘재인 삼귀재(三歸齋), 창구동정환직(鄭煥直)·정용기(鄭鏞基) 부자의 산남의진비(山南義陣碑), 과전동정대임(鄭大任)창대서원(昌臺書院), 대전동호수종택(湖叟宗宅), 정호인(鄭好仁)양계정사(暘溪精舍), 정호문(鄭好問)의 어봉정(魚峯亭), 정치구(鄭致九)·정치억(鄭致億)·정치건(鄭致健)·정치순(鄭致淳) 5형제의 오체정(五棣亭)이 남아 있다.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