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0900431 |
---|---|
한자 | 竹亭崔有慶墓域 |
영어음역 | Choe Yugyeong Myoyeok |
영어의미역 | The Boundaries of a Grave of Choe Yugyeong |
분야 |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
유형 | 유적/능묘 |
지역 |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공세동 산1-1[고매로131번길 17-7] |
시대 | 조선/조선 전기 |
집필자 | 이인영 |
문화재 지정 일시 | 2003년 4월 21일 - 죽정최유경묘역 경기도 문화재자료 제120호 지정 |
---|---|
문화재 지정 일시 | 2021년 11월 19일 - 죽정최유경묘역 경기도 문화재자료 재지정 |
성격 | 분묘 |
양식 | 방형봉토분|쌍분 |
건립시기/일시 | 조선 전기|조선 중기 |
관련인물 | 최유경 |
소재지 주소 |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공세동 산1-1[고매로131번길 17-7] |
소유자 | 전주최씨 평도공 종중 |
문화재 지정 번호 | 경기도 문화재자료 |
[정의]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공세동에 있는 최유경을 비롯한 조선 전기부터 중기까지의 전주최씨 묘역.
[개설]
최유경(崔有慶)[1343~1413]은 조선 초기의 문신으로 자는 경지(慶之), 호는 죽정(竹亭), 본관은 전주이다. 고려 공민왕 때 태어나 1392년 이성계를 도와 개국원종공신이 되었고, 1393년 축성도감이 되어 한양성을 축성하였다.
최유경은 태조 이성계의 위화도회군을 반대하여 벼슬길에 나가지 않았으나 이성계가 “사역충 생역충(死亦忠, 生亦忠)이요 진역충 퇴역충(進亦忠 退亦忠)이라 하였으니 경이 충의지신임을 자부하거든 천의(天意)의 향배를 따라 과인을 도와 달라”고 간곡하게 요청하자 이를 뿌리치지 못하고 출사하였다. 이후 여러 관직을 거쳤고 71세를 일기로 타계하였다. 태종 때 청백리로 녹선(祿選)되었고, 청주시 송천서원과 전주시 예산서원에 제향되었다.
[형태]
최유경의 묘 봉분 하단에는 방형의 호석이 있으며, 부인의 묘 역시 남편의 신분에 따라 격식을 갖춘 방형분이다. 크기는 길이 좌우 4.4m, 전후 5.4m, 높이 1.7m에 이르며 묘 한가운데에 원수(圓首)의 묘표가 있다.
묘표 앞으로 상석과 향로석, 장명등이 있고, 동자석과 문관석 등 묘전석이 정렬되어 있다. 최유경의 묘 앞으로 아들인 최사강(崔士康)의 묘가 있으며 이 분묘 역시 방형의 쌍분이다. 최유경의 손녀가 각각 함령군(咸寧君)과 금성대군(錦城大君)에게 출가하여 왕가의 외척이 됨으로써 각별히 예장된 분묘임을 알 수 있다. 맨 하단에는 원형 봉토분인 최유경의 8세손 최노첨의 묘가 있다.
[금석문]
최유경의 묘표에는 “정헌대부 참찬 의정부사 증시 평도공 최공유경지묘(正憲大夫 參贊 議政府事 贈諡 平度公 崔公有慶之墓) 일선군부인 김씨(一善郡夫人 金氏) 상락군부인 김씨(上洛郡夫人 金氏) 고성현부인 이씨(固城縣夫人 李氏)”라고 새겨져 있고, 왼쪽에 있는 부인의 묘 앞에는 “고성현부인 이씨지묘(固城縣夫人 李氏之墓)”라고 기록되어 있다.
[의의와 평가]
죽정최유경묘역은 조선 초기부터 병자호란에 걸친 시기의 분묘 양식이 복합되어 있어 조선시대 분묘의 변천사를 알 수 있는 문화재이다. 죽정최유경묘역은 용인시 향토유적 제33호로 지정되었다가 2003년 4월 21일 경기도 문화재자료 제120호로 격상되었다.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청 고시에 의해 문화재 지정번호가 폐지되어 경기도 문화재자료로 재지정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