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000848
한자 李景述
영어공식명칭 Lee Kyungsul
이칭/별칭 비승(丕承),봉촌(鳳村)
분야 역사/전통 시대
유형 인물/문인·학자
지역 충청남도 부여군
시대 조선/조선 전기
집필자 안승환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출생 시기/일시 1570년연표보기 - 이경술 출생
활동 시기/일시 1621년 - 이경술 석성향교 재건 추진
몰년 시기/일시 1640년연표보기 - 이경술 사망
추모 시기/일시 1899년 - 이경술 『석성문행록』간행
출생지 석성현 - 충청남도 부여군 석성면 지도보기
거주|이주지 석성현 - 충청남도 부여군 석성면
묘소|단소 백야라촌 -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 현북리 지도보기
성격 문인
성별 남성
본관 함평(咸平)
대표 관직|경력 통덕랑

[정의]

조선 후기 부여 출신의 문인.

[가계]

이경술(李景述)[1570~1640]의 본관은 함평(咸平)이며, 자는 비승(丕承), 호는 봉촌(鳳村)이다. 아버지는 선무랑 이돈(李惇)이다.

[활동 사항]

이경술은 1570년(선조 3) 부여 석성현[현 충청남도 부여군 석성면]에서 출생하였다. 이경술임진왜란석성향교가 불길에 휩싸이자 전석규(田錫圭) 등과 함께 대성전에 들어가 오성(五聖)과 제현(諸賢)들의 위패를 모시고 나와 산 위로 옮겨 안치하였다고 한다. 임진왜란 이후 이경술전석규석성현의 사림과 초가집 몇 칸을 건립하고 위패를 봉안하였다.

위패를 모신 초가집이 수십 년이 지나면서 허물어져 배향할 장소가 없게 되었다. 1621년(광해군 13)에 석성현감 윤겸선(尹兼善)이 석성향교를 중건할 뜻을 세우자 이경술전석규, 이경정(李景鼎), 전석구(田錫龜) 등과 함께 적극적으로 협조하였다. 1621년에 착공한 석성향교는 대성전, 명륜당 동재·서재, 내삼문·외삼문을 3년 만인 1623년(광해군 15)에 완공하였다.

이경술은 1640년 사망하였다. 1899년(고종 36)에는 이경술을 비롯하여 석성향교의 중건에 큰 역할을 하였던 이들의 행적을 기록한 『석성문행록』이 간행되기도 하였다.

[학문과 저술]

이경술은 김장생의 문하에서 김집, 송시열, 송준길 등과 함께 학문을 익혔다. 문행(文行)으로 세상에 저명하였다고 전한다.

[묘소]

이경술의 묘소는 부여군 부여읍 현북리 백야라촌 우록 갑좌(甲坐)에 있다.

[상훈과 추모]

이경술석성현 사림에 의하여 봉호의 향현사(鄕賢祠)에 제향되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