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000146
한자 陵山里
영어공식명칭 Neungsan-ri
이칭/별칭 능뫼,능메,능미,능산
분야 지리/인문 지리
유형 지명/행정 지명과 마을
지역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 능산리지도보기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김지영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개설 시기/일시 1914년연표보기 - 충청남도 부여군 현내면 능산리 개설
변천 시기/일시 1917년 - 충청남도 부여군 현내면 능산리에서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면 능산리로 개편
변천 시기/일시 1960년 -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면 능산리에서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 능산리로 개편
성격 법정리
면적 4.24㎦
가구수 238가구
인구[남/여] 353명[남 192명|여 161명]

[정의]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에 속하는 법정리.

[명칭 유래]

능산리(陵山里)는 백제의 왕릉이 있었기 때문에 붙은 지명이다. 능뫼, 능메, 능미 또는 능산이라고 하였다.

[형성 및 변천]

백제 소부리[사비] 지역으로 통일 신라 시대에는 671년(문무왕 11) 소부리주[사비주], 686년(신문왕 6) 소부리군, 경덕왕 때 부여군 지역이었다. 고려 시대에는 부여군과 부여현 지역이었다. 조선 시대 부여현 대방면(大方面), 조선 말에는 부여군 대방면 지역이었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부여군 대방면 능산리와 체마리(遞馬里), 산막리(山莫里)와 오산리(烏山里), 군석리(君石里)의 일부를 병합하여 충청남도 부여군 현내면 능산리로 개설되었다. 1917년 현내면이 부여면으로 개칭되어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면 능산리로 개편되었다. 1960년 부여면이 부여읍으로 승격되어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 능산리로 개편되었다.

[자연환경]

남서쪽 끝에 필서봉, 남쪽에 조석산이, 북동쪽에 오석산이 있다. 서쪽에서 동남쪽으로 왕포천이 흐르고 있다.

[현황]

능산리는 충청남도 부여군 북서부에 있는 부여읍의 22개 법정리 가운데 하나이며, 능산리부여읍의 중앙에 위치한다. 동쪽으로 초촌면 신암리석성면 정각리, 서쪽으로 가탑리, 남쪽으로 염창리, 북쪽으로 용정리와 접하여 있다. 행정리로는 능산1리와 능산2리가 있다. 자연 마을로는 능뫼, 소라, 오살미 등이 있다.

2023년 5월 현재 면적은 4.24㎦이며, 인구는 238가구, 353명[남자 192명, 여자 161명]이다. 마을 내부에는 왕릉로, 청마로, 오산로가 있으며, 국도 제4호능산리의 중심을 지나고 있다.

주요 문화유산은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에 등재된 부여 왕릉원 외에도 부여 능산리 사지, 능안골 고분군이 있다. 능산리 사지에서 발견된 백제 금동대향로창왕명석조사리감은 국보로 지정되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