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001146
분야 종교/유교
유형 유적/건물
지역 충청남도 부여군 장암면 의자로 1211-8[정암리 산40-1]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장인성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건립 시기/일시 1965년연표보기 - 장암 무풍군 이총 사우 건립
이전 시기/일시 2006년 - 장암 무풍군 이총 사우 이건
문화재 지정 일시 2018년 10월 31일연표보기 - 장암 무풍군 이총 사우 및 유물 일괄 부여군 향토문화유산 제140호 지정
현 소재지 장암 무풍군 이총 사우 및 유물 일괄 - 충청남도 부여군 장암면 의자로 1211-8[정암리 산40-1]지도보기
성격 사당
양식 겹처마 맞배지붕[사당]|사주문[묘문]|맞배지붕[영모재]|솟을삼문[정문]
정면 칸수 1칸[사당]|3칸[영모재]
측면 칸수 2칸[사당]|3칸[영모재]
문화재 지정 번호 부여군 향토문화유산 제140호

[정의]

충청남도 부여군 장암면 정암리에 있는 무풍군 이총의 사당과 유물.

[개설]

장암 무풍군 이총 사우 및 유물 일괄(場岩 茂豊君 李摠 祠宇 및 遺物 一括)무풍군(茂豊君) 이총(李摠)[?~1504]을 모신 사우와 이총과 관련된 유물을 말한다. 이총은 태종의 증손으로 무풍부정(茂豊副正)에 제수되었다. 김종직(金宗直)의 문하에서 가르침을 받으며 김일손(金馹孫), 강경서(姜景敍) 등과 교유하였다. 1498년(연산군 4) 무오사화에 연루되어 유배되었다. 1504년(연산군 10) 갑자사화 때 효수형을 받고 아버지, 형제들과 함께 남해의 섬으로 귀양갔다가 2년 뒤 1506년(연산군 12) 함께 사사되었다. 이총을 포함한 일곱 명의 부자를 7공자라 한다. 장암 무풍군 이총 사우 및 유물 일괄은 2018년 10월 31일 부여군 향토문화유산 제140호로 지정되었다.

[위치]

장암 무풍군 이총 사우 및 유물 일괄은 충청남도 부여군 장암면 의자로 1211-8[정암리 산40-1]에 있다. 장암면행정복지센터에서 동쪽으로 약 2㎞ 정도 가서 국도 옆에 있다.

[변천]

장암 무풍군 이총 사우는 200년 전에는 현재의 위치보다 약간 위쪽에 있었다. 현재의 장암 무풍군 이총 사우는 1965년 건립되었고, 2006년 현재의 장소로 옮겨 세워졌다. 이건 당시 재실인 영모재(永慕齋)와 외삼문이 추가로 건립되었다.

[형태]

장암 무풍군 이총 사우는 사당, 묘문, 영모재, 정문으로 구성되어 있다. 사당은 정면 1칸, 측면 2칸으로 겹처마 맞배지붕 건물이고, 묘문은 사주문으로 되어 있다. 사당 아래에 건립된 영모재는 정면 3칸, 측면 3칸으로 맞배지붕 건물이고, 정문은 솟을삼문으로 되어 있다. 이총과 관련된 유물로는 교지 4점와 정려 현판 3점, 무풍군 이총이 직접 썼다는 간찰 1점이 있다.

[현황]

장암 무풍군 이총 사우에서는 매년 음력 6월 5일 기신제를 지내고, 음력 10월 2일 추향제를 지낸다.

[의의와 평가]

장암 무풍군 이총 사우 및 유물 일괄무풍군 이총의 절의와 전주 이씨 문중의 친목을 엿볼 수 있으며, 보관된 유물은 연대가 오래되어 역사적, 문화유산적 가치를 지닌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