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병
-
개항기 청도 출신의 의병. 구성립은 1869년(고종 6) 지금의 경상북도 청도군 청도읍에서 출생하였다. 윤만파가 거느리는 의병 부대의 소모장으로, 1908년 4월경 청도군 운문면을 중심으로 경주·울산·경산 일원에서 활동하였다. 정미의병 시기 청도 지역에는 윤만파(尹萬坡)와 최한룡(崔翰龍)이 독자적인 의병 부대를 이끌고 활동하였으며, 그 외 박용운(朴龍雲)과 박문선(朴文善)은 산남...
-
개항기 청도 출신의 의병. 박문선은 조선 말 지금의 경상북도 청도군(淸道郡)에서 출생하였다. 1906년 3월 산남 의진에 참여하여 중군장 박용운(朴龍雲)과 함께 청도를 비롯하여 영천·창녕 등지에서 활동하였다. 본관은 밀양(密陽). 박문선(朴文善)[?∼?]은 1906년 3월 산남 의진에 참여하여 중군장 박용운과 함께 청도·영천·창녕 등지에서 활동하였다. 산남 의진은 1906년 3월부...
-
개항기 청도 출신의 의병. 박용운은 조선 말 지금의 경상북도 청도군에서 출생하였다. 1906년 3월 산남 의진의 중군장으로 청도·영천·창녕 등지에서 활동하였다. 본관은 밀양(密陽). 박용운(朴龍雲)[?∼?]은 참봉으로, 산남 의진의 중군장이 되어 청도를 비롯하여 영천·창녕 등지에서 활동하였다. 산남 의진은 1906년 3월부터 1908년 7월까지 경상북도 영천과 영덕·청송군 일대에서...
-
개항기 청도 출신의 의병. 윤만파는 조선 말 지금의 경상북도 청도군 운문면 공암리(孔岩里)에서 출생하였다. 윤만파는 정미의병 시기에 독자적인 의병 부대를 거느린 의병장으로 활동하였다. 청도군 운문면을 중심으로 하여 경주군 산내면 일원과 울산·경산 등지에서 일본군과 맞서 싸웠다. 고종이 강제 퇴위를 당하고 군대가 해산되자 전국에서 의병들이 나라를 지키고자 떨쳐 일어났는데, 이들을 정...
독립운동가
-
근대 독립운동을 전개한 청도 지역 인물. 청도 지역에는 비교적 많은 독립운동가들을 배출하였다. 지금까지 독립 유공자로 포상을 받은 사람은 54명 정도이지만, 아직 포상을 받지 못한 독립운동가들도 다수 있다. 그중에는 1919년 만세 운동에 참여하였던 사람들이 가장 많고, 그 외에 국내에서 독립을 위해 힘을 쓴 사람, 국외로 망명하여 상해 대한민국 임시 정부와 만주 독립운동 단체에서...
-
일제 강점기 청도 출신의 독립운동가. 강성봉은 1873년(고종 10) 지금의 경상북도 청도군 운문면 신원리(新院里)에서 출생하여 1951년 사망하였다. 1919년 3월 19일 청도군 운문면에서 발생한 일제 경찰 구타 의거에 참가하여 징역 1년의 옥고를 치렀다. 청도군 운문면에서는 1919년 3월 18일 김상구(金相久)·김종태(金鍾台)·김진효(金鎭孝)·손기현(孫琪鉉) 등에 의해서 만...
-
일제 강점기 청도 출신의 독립운동가. 강수영은 경상북도 청도군 이서면 서원리 출신으로 1919년 3·1 운동 이후 만주로 망명하여 대한 독립단(大韓獨立團) 감찰과 대한 통군부에서 활동하였으며, 통의부의 결성에 참여하고 검무원으로 일했다. 1920년대 중반 귀국하여 진주와 마산 등지에서 활발하게 사회 운동을 펼쳤다. 본관은 진주(晉州). 강수영(姜壽永)[1889∼?]은 1919년 3...
-
일제 강점기 청도 출신의 독립 운동가. 강재식은 1895년(고종 32) 지금의 경상북도 청도군 운문면 신원리(新院里)에서 출생하여 1963년 사망하였다. 1919년 3월 18일 청도군 운문면 만세 운동에 참가하였다. 1919년 3월 18일 전개된 운문면 만세 운동은 문명 학교 졸업생 및 교사들이 주도하였다. 당시 문명 학교 졸업생 김상구(金相久)와 김종태(金鍾台)는 3월 1일 광무...
-
일제 강점기 청도 출신의 독립운동가. 김도곤(金道坤)[1890-1947]은 1890년(고종 27) 지금의 경상북도 청도군 청도읍 내호리(內湖里)에서 태어나 1947년 사망하였다. 1919년 5월 7일 청도읍 일본인 구타 의거에 참여하였다. 1919년 5월 7일 대성면[현 청도읍] 유호리 김달선(金達先)의 집에 머물던 3인의 일본인 충전작태(充田作太)·산구호웅(山口虎雄)·수야희삼랑(...
-
일제 강점기 청도 출신의 독립운동가. 김동주는 1891년(고종 28) 지금의 경상북도 청도군 운문면 신원리(新院里)에서 출생하여 1929년 사망하였다. 1919년 3월 19일 청도군 운문면 일제 경찰 구타 의거에 참가하였다. 청도군 운문면에서는 1919년 3월 18일 김상구(金相久)·김종태(金鍾台)·김진효(金鎭孝)·손기현(孫琪鉉) 등에 의해서 만세 운동이 일어났다. 3월 19일 오...
-
일제 강점기 청도 출신의 독립운동가. 김병준은 1885년(고종 22) 지금의 경상북도 청도군 운문면 신원리(新院里)에서 출생하여 1954년 사망하였다. 1919년 3월 19일 청도군 운문면 일제 경찰 구타 의거에 참가하였다. 청도군 운문면에서는 1919년 3월 18일 김상구(金相久)·김종태(金鍾台)·김진효(金鎭孝)·손기현(孫琪鉉) 등에 의해서 만세 운동이 일어났다. 3월 19일 오...
-
경상북도 청도군 운문면 신원리에서 빨치산에 항거한 반공 투사. 김병찬은 빨치산이 자주 출몰하여 마을 주민들을 괴롭히고 식량과 가축을 약탈하는 것에 분노하여 운문 지서에 토벌을 요청하였다. 그러나 신고한 사실이 빨치산에게 알려져 그들에게 잡혀서 경찰과 함께 싸우기를 강요당하였으나 끝까지 버티다가 죽음을 당하였다. 산동 지역에 위치한 청도군 운문면은 운문산(雲門山)에 둘러싸인 산지이기...
-
일제 강점기 청도 출신의 독립운동가. 김병형은 1894년(고종 31) 지금의 경상북도 청도군 운문면 신원리(新院里)에서 출생하여 1941년 사망하였다. 1919년 3월 19일 청도군 운문면 일제 경찰 구타 의거에 참가하였다. 청도군 운문면에서는 1919년 3월 18일에 김상구(金相久)·김종태(金鍾台)·김진효(金鎭孝)·손기현(孫琪鉉) 등에 의해서 만세 운동이 일어났다. 3월 19일...
-
일제 강점기 청도 출신의 독립운동가. 김보곤은 1891년(고종 28) 지금의 경상북도 청도군 청도읍 내호리(內湖里)에서 출생하여 1924년 사망하였다. 1919년 3월 14일 유호리 유천 시장에서 전개된 만세 운동을 주도하였다. 김보곤(金寶坤)[1891∼1923]은 1919년 3월 14일 대성면[현 청도읍] 유호리 유천 시장에서 일어난 만세 운동을 주도하였다. 그는 당시 내호리에서...
-
일제 강점기에 활동한 청도 출신의 독립운동가. 김상구는 1899년(광무 3) 지금의 경상북도 청도군 운문면 신원리(新院里)에서 출생하여 1971년 사망하였다. 1919년 3월 18일 청도군 운문면 만세 운동에 참가하였다. 1919년 3월 18일 전개된 운문면 만세 운동은 문명 학교(文明學校) 졸업생 및 교사들이 주동하였다. 당시 문명 학교 졸업생 김상구(金相久)[1899∼1971]...
-
일제 강점기 청도 출신의 독립운동가. 김영곤은 1889년(고종 26) 지금의 경상북도 청도군 청도읍 내호리(內湖里)에서 출생하여 1943년 사망하였다. 1919년 5월 7일 청도읍 일본인 구타 의거에 참여하였다. 1919년 5월 7일 대성면[현 청도읍] 유호리 김달선(金達先)의 집에 머물던 일본인 충전작태(充田作太)·산구호웅(山口虎雄)·수야희삼랑(水野喜三郞)은 밖에서 놀고 있는 아...
-
일제 강점기 청도 출신의 독립운동가. 김용덕은 1924년 지금의 경상북도 청도군 청도읍 내호리(內湖里) 259번지에서 출생하였다. 1941년 항일 비밀 결사인 동진회(東進會)에 가담하여 농민회와 소년 독성회를 조직하여 회원으로 활동하였다. 김용덕(金龍德)[1924∼?]은 1941년 1월 27일 음력설을 맞이하여 청도군 청도면 유호동 출신의 20대 청년 이형우(李亨雨)[보성 전문학교...
-
일제 강점기 청도 출신의 독립운동가. 김원진은 경상북도 청도군 이서면 양원동 391번지에서 출생하였다. 1943년 일본군에 징병되었다가 탈출하여 1944년 1월 중국군에 입대하였다. 1945년 11월부터 광복군에 근무하다가 귀국하였다. 김원진(金元鎭)[1926∼?]은 1943년 육군 지원병으로 강제 징용되어 훈련소에 입소하였다가 탈출하여 1944년 1월 10일 중국 37사단 보병...
-
일제 강점기 청도 출신의 독립운동가. 김유덕은 1898년(광무 2) 대구에서 미곡상을 경영하여 대지주가 되었다. 달성 친목회(達城親睦會)와 조선 국권 회복단(朝鮮國權恢復團) 등 독립운동 단체에 가입하여 독립운동을 전개하였다. 김유덕(金裕德)[1898∼?]은 지금의 경상북도 청도군 화양읍 송금리(松金里) 출신으로 대구에서 미곡상을 경영하고 있던 대지주였다. 1908년 조직된 달성 친...
-
일제 강점기 청도 출신의 독립운동가. 김의명은 1924년 지금의 경상북도 청도군 각남면(角南面) 사동 1063번지에서 출생하여 1950년 사망하였다. 1943년 대한민국 임시 정부 한국광복군(韓國光復軍)으로 활동하였다. 김의명(金義明)[1924∼1950]은 1937년 풍각 공립 보통학교(豊角公立普通學校)를 졸업하고, 1937년 3월부터 1941년 9월까지 서울과 대구에 있는 운수...
-
일제 강점기 청도 출신의 독립운동가. 김의택은 1862년(철종 13) 지금의 경상북도 청도군 운문면 신원리(新院里)에서 출생하여 1942년 사망하였다. 1919년 3월 19일 청도군 운문면 일제 경찰 구타 의거에 참가하였다. 청도군 운문면에서는 1919년 3월 18일 김종태(金鍾台)·김상구(金相久)·손기현(孫琪鉉)·김진효(金鎭孝) 등의 주도에 의해 만세 운동이 일어났다. 3월 19...
-
일제 강점기 청도 출신의 독립운동가. 김인제는 한교회(韓僑會)와 흥업단(興業團)의 단원으로 1920년 11월 국내에 잠입하여 1922년 2월까지 대구와 밀양·양산 등지를 거점으로 동지를 포섭하고 군자금을 모집하는 등의 활동을 전개하였다. 김인제(金仁濟)[1899∼?]는 1899년경 경상북도 청도군에서 태어나 중국 요녕성[봉천성] 환인현(桓仁縣) 육도하자(六道河子)에 거주하였다. 1...
-
일제 강점기 청도 출신의 독립운동가. 김재화는 1897년(광무 1) 지금의 경상북도 청도군 운문면 신원리(新院里)에서 출생하여 1952년 사망하였다. 1919년 3월 18일 청도군 운문면 만세 운동에 참가하였다. 1919년 3월 18일 전개된 운문면 만세 운동은 문명 학교(文明學校) 졸업생 및 교사들이 주동하였다. 당시 문명 학교 졸업생 김상구(金相久)는 김종태(金鍾台)와 함께 3...
-
일제 강점기 청도 출신의 유학자이자 독립운동가. 김정기는 1885년(고종 22) 지금의 경상북도 청도군 매전면 용산리 용연동에서 출생하여 1946년에 사망하였다. 1919년 곽종석(郭鍾錫) 등 유림 137명이 참여한 파리장서[제1차 유림단 의거]에 서명하였다. 김정기(金定基)[1885∼1946]는 1909년 10월 소눌(小訥) 노상직(盧相稷)의 문하에서 수학하다가 1911년 스승...
-
일제 강점기 청도 출신의 독립운동가. 김종윤은 1925년 지금의 경상북도 청도군 청도읍 내호리 170번지에서 출생하여 만주 봉천으로 건너가 친형 김찬규와 함께 독립운동을 전개하였다. 1941년 고향에서 조직된 항일 비밀 결사 동진회(東進會)에 가담하여 항일 투쟁을 전개하다가 체포되어 1944년 2월 10일 인천 소년 형무소에서 순국하였다. 김종윤(金鍾允)[1925∼1944]은 유천...
-
일제 강점기 청도 출신의 독립운동가. 김종태는 1897년(광무 1) 지금의 경상북도 청도군 운문면 신원리(新院里)에서 출생하여 1949년 사망하였다. 1919년 3월 18일 청도군 운문면 만세 운동에 참가하였다. 1919년 3월 18일 전개된 운문면 만세 운동은 문명 학교(文明學校) 졸업생 및 교사들이 주동하였다. 당시 문명 학교 졸업생 김종태(金鍾台)[1897∼1949]는 김상구...
-
일제 강점기 청도 출신의 독립운동가. 김주한은 1875년(고종 12) 지금의 경상북도 청도군 운문면 신원리(新院里)에서 출생하여 1947년 사망하였다. 1919년 3월 19일 청도군 운문면 일제 경찰 구타 의거에 참가하였다. 청도군 운문면에서는 1919년 3월 18일 김상구(金相久)·김종태(金鍾台)·김진효(金鎭孝)·손기현(孫琪鉉) 등에 의해서 만세 운동이 일어났다. 이에 3월 19...
-
일제 강점기 청도 출신의 독립운동가. 김진효는 1887년(고종 24) 지금의 경상북도 청도군 운문면 공암리에서 출생하여 1979년 사망하였다. 1919년 3월 18일 청도군 운문면 만세 운동을 주도하였다. 김진효(金鎭孝)[1887∼1979]는 휘문 의숙을 졸업한 후 김우곤의 권유로 1906년 설립된 사립 문명 학교 교사로 취임하여 근무하던 중 1919년 운문면 만세 운동을 주도하였...
-
일제 강점기 청도 출신의 독립운동가. 김한구는 1889년(고종 26) 지금의 경상북도 청도군 운문면 신원리(新院里)에서 출생하여 1924년 사망하였다. 1919년 3월 19일 청도군 운문면 일제 경찰 구타 의거에 참가하였다. 청도군 운문면에서는 1919년 3월 18일 김상구(金相久)·김종태(金鍾台)·김진효(金鎭孝)·손기현(孫琪鉉) 등에 의해서 만세 운동이 일어났다. 이에 3월 19...
-
일제 강점기 청도 출신의 독립운동가. 김해득은 1924년 지금의 경상북도 청도군 각북면 우산리 158번지에서 출생하였다. 1944년 중국 중경 대한민국 임시 정부에서 한국광복군(韓國光復軍)으로 활동하였다. 김해득(金海得)[1924∼?]은 1943년 10월 중순 일제에 강제로 징집되어 평양 42부대에 입대한 후, 중국 남경 지구로 출정하여 현지에서 군사 교육을 받고 제6213부대에...
-
일제 강점기 청도 출신의 독립운동가. 박근이는 1908년 지금의 경상북도 청도군 청도읍 고수리(高樹里)에서 출생하였다. 1931년 11월 19일 군용 열차 전복 의거에 참여하였다. 박근이(朴根伊)[1908∼?]의 원적은 청도군 종도면[현 매전면] 덕산리 721번지이고, 본적은 청도군 대성면 고수리 312번지이다. 박근이는 청도 토박이로 아버지 박대백(朴大伯)과 어머니 김연손(金年孫...
-
일제 강점기 청도 출신의 독립운동가. 박기수는 1924년 경상북도 청도군 풍각면 덕양리 1157번지에서 출생하였다. 1944년 일제에 의해 강제 징용되어, 1944년 9월 초 중국 호남성 형산까지 갔으나 일본군을 탈출하여 1944년 9월 광복군에 입대하였다. 1945년 4월 광복군 제1 지대 제3 구대에 입대하여 중국군과의 합동 작전에 참여하였다. 본관은 밀양(密陽). 일제에 의해...
-
일제 강점기 청도 출신의 독립운동가. 박기현은 1925년 경상북도 청도군 금천면 오봉동 292번지에서 출생하여 1996년 사망하였다. 1945년 일제의 징집 훈련 반대를 주동하였다. 박기현(朴琪鉉)[1925∼1996]은 향리에서 한학을 공부한 후 농업에 종사하였다. 1945년 2월경 금천면 금천 공립 보통학교에서 일본군의 징집 훈련을 받던 중, 일본군에게 도움을 주지 말자고 주민...
-
일제 강점기 청도 출신의 독립운동가. 박대호는 1895년 경상북도 청도군 화양면 고평리에서 출생하여 1947년 사망하였다. 1913년 3월 중국 요녕성 환인현(桓仁縣)으로 이주하여 1922년 통의부(統義府), 1923년 의군부(義軍府) 등의 독립운동 단체에서 활동하다가 1932년부터 조선 혁명군에 참여하여 주요 간부로 활동하였다. 본관은 밀양(密陽). 박대호(朴大浩)[1895∼19...
-
일제 강점기 청도 출신의 독립운동가. 박상노는 지금의 경상북도 청도군 청도읍 사촌리에서 출생하여 청도읍 내호리 259번지에 거주하였다. 1941년 2월 독립운동 단체 동진회(東進會)를 조직하여 활동하였다. 박상노(朴相老)[1925∼?]는 1938년 3월 밀양 상동 보통학교를 졸업한 후, 고향에서 정미소를 경영하고 있었다. 1941년 1월 27일 청도읍 유호리 출신의 허남귤(許南橘)...
-
일제 강점기 청도 출신의 의병. 박수길은 1879년(고종 16) 지금의 경상북도 청도군에서 출생하여 경남 일대에서 의병장으로 활약하다 1908년 순국하였다. 일제는 1907년 헤이그 특사 사건을 빌미로 광무 황제를 강제로 퇴위시키고, ‘정미 7조약(丁未七條約)’을 체결하여 한국 군대를 강제로 해산시켰다. 이에 해산 군인들이 대거 의병 대열에 참여함으로써 의병 항쟁은 전국적으로 확대...
-
경상북도 청도군 매전면 남양 2리에서 빨치산에 항거한 반공 투사. 박순형은 청도군 매전면 남양 2리의 민보 단장으로, 1949년 음력 4월 28일 마을 뒷산에 수상한 사람이 숨어 있다는 이야기를 듣고 민보 단원 및 마을 청년들과 함께 생포하여 매전 지서에 인계하였다. 그러나 이 일이 발생한 지 한 달 뒤 국군 복장으로 위장한 빨치산들이 마을에 들어와 주민들을 향해 총과 칼로 보복할...
-
일제 강점기 청도 출신의 독립운동가. 박영호는 1913년 경상북도 청도군 화양면 고평리에서 출생하여 조선 혁명군 부사령관인 형 박대호(朴大浩)를 따라 1931년 조선 혁명군에 참여하여 활동하다가 1935년 중국 관전현(寬甸縣)에서 순국하였다. 본관은 밀양(密陽)이다. 박영호(朴永浩)[1913∼1935]는 조선 혁명군 부사령관이었던 형 박대호(朴大浩)를 따라 1931년 조선 혁명군에...
-
일제 강점기 청도 출신의 독립운동가. 박재영은 1878년(고종 15) 지금의 경상북도 청도군 운문면 대천리(大川里)에서 출생하여 1944년 사망하였다. 1919년 3월 18일 청도군 운문면 만세 운동에 참가하였다. 1919년 3월 18일 전개된 운문면 만세 운동은 문명 학교(文明學校) 졸업생 및 교사들이 주동하였다. 당시 문명 학교 졸업생 김상구(金相久)는 김종태(金鍾台)와 함께...
-
경상북도 청도군 각남면 사리에서 빨치산에 항거한 반공 투사. 박재환은 청도군 각남면 사리 마을의 경비 단장으로 있었는데, 1949년 7월 초순 순찰 도중 빨치산 2명을 만나 격투를 벌여 부상을 입혔으나 잡지 못하였다. 그 후 1950년 3월 9일 밤 9시경 국군 복장을 한 빨치산들이 마을에 나타나 경비원 전원을 박재환의 집에 집결시킨 뒤 무차별 총격을 가하고 집에 불을 질러 총 1...
-
일제 강점기에 활동한 청도 출신의 독립운동가. 박정근은 1923년 지금의 경상북도 청도군 청도읍 내호리(內湖里) 259번지에서 출생하였다. 1941년 항일 비밀 결사인 동진회(東進會)에 가담하여 농민회와 소년 독성회(少年獨成會)를 조직하여 회원으로 활동하였다. 박정근(朴丁根)[1923∼?]은 1941년 1월 27일 음력설을 맞이하여 청도군 청도면 유호동 출신의 20대 청년 이형우(...
-
일제 강점기 청도 출신의 독립운동가. 박정찬은 1867년(고종 4) 지금의 경상북도 청도군 운문면 대천리(大川里)에서 출생하여 1922년 사망하였다. 1919년 3월 18일 청도군 운문면 만세 운동에 참가하였다. 1919년 3월 18일 전개된 운문면 만세 운동은 문명 학교(文明學校) 졸업생 및 교사들이 주동하였다. 당시 문명 학교 졸업생 김상구(金相久)와 김종태(金鍾台)는 3월 1...
-
일제 강점기 청도 출신의 독립운동가. 박종락은 경상북도 청도군 각북면 우산리 181번지에서 출생하였다. 1944년 9월 일본군에 징병되었다가 1945년 1월 일본군을 탈출하여 1945년 대한민국 임시 정부의 광복군에 소속되어 활동하였다. 본관은 밀양. 청도군 각북면 우산리에 세거하던 박화조(朴和祚)의 후예이다. 박종락(朴鍾洛)[1924∼?]은 1937년 3월 풍각면 소재 풍각 공립...
-
일제 강점기 청도 출신의 독립운동가. 반양환은 경상북도 청도군 이서면 구라동 158번지에서 출생하였다. 1944년 9월 일본군에 징병되었다가 1945년 3월 윤봉갑·김해득과 함께 일본군을 탈출하여 1945년 대한민국 임시 정부의 광복군 총사령부에서 활동하였다. 본관은 기성(岐城). 청도군 이서면 구라동에 세거하던 반예(潘汭)의 후예이다. 반양환(潘良煥)[1924∼?]은 1944년...
-
일제 강점기 청도 출신의 독립운동가. 백영진은 1924년 지금의 경상북도 청도군 청도읍 내호리(內湖里) 516번지에서 출생하였다. 1941년 항일 비밀 결사인 동진회(東進會)에 가담하여 농민 친목회(農民親睦會)와 소년 독성회(少年獨成會)를 조직하여 회원으로 활동하였다. 백영진(白泳珍)[1924∼?]은 1941년 1월 청도군 청도면 유호동에서 조직된 동진회에 가담하여 회원으로 활동하...
-
일제 강점기 청도 출신의 독립운동가. 서정기(徐正基)[1903∼1924]는 1903년(광무 7) 지금의 경상북도 청도군 청도읍 유호리(楡湖里)에서 출생하여 1924년 사망하였다. 1919년 3월 14일 청도읍 유호리 유천 시장에서 전개된 만세 운동을 주도하였다. 1919년 3월 14일 청도읍 유호리 유천 시장에서 일어난 만세 운동은 당시 장로교회 조사(助事) 김보곤(金寶坤)에 의해...
-
일제 강점기 청도 출신의 독립운동가. 성삼백은 1896년(건양 1) 지금의 경상북도 청도군 청도읍 거연리(巨淵里)에서 출생하여 1987년 사망하였다. 1919년 4월 20일 청도읍 거연리에서 전개된 만세 운동을 주도하였다. 1919년 3·1 만세 운동이 전국 각지로 확산되어 가는 것을 접한 단산 서당(丹山書堂)의 학생 이승옥(李承玉)은 3월 31일 자기 집에서 태극기를 만들고, 그...
-
일제 강점기 청도 출신의 독립운동가. 손기달은 1912년 지금의 경상북도 청도군 금천면 방지리에서 출생하였다. 1933년 만주에서 독립운동에 투신하였으며, 1944년 중국 중경 대한민국 임시 정부에서 한국광복군(韓國光復軍)으로 활동하였다. 손기달(孫基達)[1912∼?]은 1933년 3월부터 만주 봉천성(奉天省) 철령시(鐵領市) 만주 조선 청년회와 한족회에 가담하여 김동숙(金東淑)...
-
일제 강점기 청도 출신의 독립운동가. 손기현은 1884년(고종 21) 지금의 경상북도 청도군 운문면 신원리(新院里)에서 출생하여 1946년 사망하였다. 1919년 3월 18일 청도군 운문면 만세 운동에 참가하였다. 1919년 3월 18일 전개된 운문면 만세 운동은 문명 학교(文明學校) 졸업생 및 교사들이 주동하였다. 당시 문명 학교 졸업생 김상구(金相久)는 김종태(金鍾台)와 함께...
-
일제 강점기 청도 출신의 독립운동가. 손한조는 1892년(고종 29) 지금의 경상북도 청도군 운문면 신원리(新院里)에서 출생하여 1953년에 사망하였다. 1919년 3월 18일 청도군 운문면 만세 운동에 참가하였다. 1919년 3월 18일 전개된 운문면 만세 운동은 문명 학교(文明學校) 졸업생 및 교사들이 주동하였다. 당시 문명 학교 졸업생 김상구(金相久)는 김종태(金鍾台)와 함께...
-
경상북도 청도군 운문면 신원리에서 빨치산에 항거한 반공 투사. 송장수는 운문사 부근에 거주하면서 일제 강점기 때부터 마을의 이장 일을 맡아 왔다. 해방이 되면서 마을이 혼란스러워지자 줄곧 마을 경비 단장을 맡아 반공 활동을 전개하다가 빨치산에 끌려가 죽음을 당하였다. 해방 이후 남조선 인민 유격대는 전국적으로 5개 유격 전구를 결성하였는데 당시 운문산(雲門山) 일대는 영남 유격 지...
-
일제 강점기에 활동한 청도 출신의 독립운동가. 윤병림은 1898년(광무 2) 지금의 경상북도 청도군 운문면 공암리(孔岩里)에서 출생하여 1923년 사망하였다. 1919년 3월 18일 청도군 운문면 만세 운동에 참가하였다. 1919년 3월 18일 전개된 운문면 만세 운동은 문명 학교(文明學校) 졸업생 및 교사들이 주동하였다. 당시 문명 학교 졸업생 김상구(金相久)와 김종태(金鍾台)는...
-
일제 강점기 청도 출신의 독립운동가. 윤병일은 1898년 청도군 운문면 공암리(孔巖里) 735번지에서 출생하여 1974년 사망하였다. 1924년 1월 중국 북경에서 조직된 다물단(多勿團)에 가입하고, 군자금을 제공하는 등 독립운동을 전개하였다. 본관은 파평(坡坪). 아버지는 윤상렴(尹相濂)이다. 윤병일(尹炳馹)[1898∼1974]의 아버지 윤상렴(尹相濂)은 향리에서 한문을 공부하고...
-
일제 강점기 청도 출신의 독립 운동가. 윤병채는 경상북도 청도군 운문면 공암리 707번지에 출생하였다. 1919년 3·1 운동 때 운문면 독립 만세 운동에 참여하였고, 1924년 1월, 다물단의 단원 서동일(徐東日)에게 군자금을 제공하는 등 독립 운동을 전개하였다. 본관은 파평(坡坪) 충경공파. 윤병일(尹炳馹)의 동생이다. 1905년부터 1915년까지 아버지 성균관 진사 윤상일(尹...
-
일제 강점기 청도 출신의 독립운동가. 윤봉갑은 1924년 지금의 경상북도 청도군 이서면 서원리(書院里) 90번지에서 출생하여 1982년 사망하였다. 1943년 일제에게 강제 징집되었다가 탈출하여 1945년 중경 대한민국 임시 정부 한국광복군 총사령부 경위대(警衛隊)에 배속되어 활동하였다. 윤봉갑(尹奉甲)[1924∼1982]은 1943년 10월 일제에게 강제로 징집되어 중국 파견 일...
-
일제 강점기 청도 출신의 독립운동가. 윤영섭은 1865년 경상북도 청도군 운문면 공암동 746번지에서 출생하여 1946년 사망하였다. 1924년 1월 다물단(多勿團)의 단원 서동일(徐東日)에게 군자금을 제공하는 등 독립운동을 전개하였다. 본관은 파평(坡坪) 충경공파. 아버지는 윤익모(尹益模), 어머니는 이필향(李必香)이다. 윤병채(尹炳采)의 스승으로, 예안 군수를 역임하였다. 윤영...
-
일제 강점기 청도 출신의 독립운동가. 윤치언은 청도 출신이다. 대한민국 임시 정부의 도시찰 부장(道視察部長)으로 국내로 특파되어 진주 청년 친목회(晉州靑年親睦會) 회원들과 경남 일원에서 제2의 만세 운동을 도모하다가 체포되었다. 대한민국 임시 정부의 도시찰 부장 윤치언(尹致彦)[1892∼?]은 1920년 9월 20일경 국내로 특파되어 진주 청년 친목회 회원들과 경남 일원에서 제2의...
-
일제 강점기 청도 출신의 독립운동가. 이기윤은 1898년(광무 2) 지금의 경상북도 청도군에서 태어나 1938년 사망하였다. 1919년 3월 30일 대구 덕산 시장에서 만세 운동을 전개하였다. 이기윤(李起胤)[1898∼1938]은 1919년 당시 달성군(達城郡) 공산면(公山面) 도학동(道鶴洞)에 있는 동화사(桐華寺) 지방 학림(地方學林)의 학생이었다. 1919년 3·1 운동이 전국...
-
일제 강점기 청도 출신의 독립운동가. 이길우는 1925년 지금의 경상북도 청도군 청도읍 내호리(內湖里)에서 출생하여 1945년 사망하였다. 이길우는 1941년 항일 비밀 결사인 동진회(東進會)를 조직하고 총무로 활동하였다. 1937년 중일 전쟁 이후 일제의 폭압 정치와 대륙 침략전의 전시 체제가 한층 고조되고 있었다. 이에 1941년 1월 27일 청도읍 유호리의 이길우를 비롯한 2...
-
일제 강점기 청도 출신의 독립운동가. 이만희는 1900년(광무 4) 지금의 경상북도 청도군 청도읍 거연리(巨淵里)에서 출생하여 1954년 사망하였다. 1919년 4월 20일 청도읍 거연리에서 전개된 만세 운동을 주도하였다. 1919년 3·1 만세 운동이 전국 각지로 확산되어 가는 것을 접한 단산 서당(丹山書堂)의 학생 이승옥은 3월 31일 자기 집에서 태극기를 만들고, 그 위에다...
-
일제 강점기 청도 출신의 독립운동가. 이무수[1887∼1943]는 1887년(고종 24) 지금의 경상북도 청도군 청도읍 내호리(內湖里)에서 출생하여 1943년 사망하였다. 1919년 5월 7일 청도읍 유호리 일본인 구타 의거에 참여하였다. 1919년 5월 7일 대성면[현 청도읍] 유호리 김달선(金達先)의 집에 머물던 3인의 일본인 충전작태(充田作太)·산구호웅(山口虎雄)·수야희삼랑(...
-
일제 강점기에 활동한 청도 출신의 독립운동가. 이상학은 1925년 지금의 경상북도 청도군 청도읍 내호리(內湖里) 259번지에서 출생하였다. 1941년 항일 비밀 결사인 동진회(東進會)에 가담하여 농민회와 소년 독성회를 조직하여 회원으로 활동하였다. 이상학(李相鶴)[1925∼?]은 1941년 1월 27일 음력설을 맞이하여 청도군 청도면 유호동 출신의 20대 청년 이형우(李亨雨)[보성...
-
일제 강점기 청도 출신의 독립운동가. 이승옥은 1900년(광무 4) 지금의 경상북도 청도군 청도읍 거연리(巨淵里)에서 출생하여 1983년 사망하였다. 1919년 4월 20일 청도읍 거연리에서 전개된 만세 운동을 주도하였으며, 1921년 이후 대한민국 임시 정부에 군자금을 송부하는 등 독립운동을 전개하였다. 이승옥(李承玉)[1900∼1983]은 단산 서당(丹山書堂)의 학생으로 전국...
-
일제 강점기 청도 출신의 독립운동가. 이용환[1899∼1946]은 1899년(광무 3) 지금의 경상북도 청도군 운문면 공암리(孔岩里)에서 출생하여 1946년 사망하였다. 1919년 3월 18일 청도군 운문면 만세 운동에 참가하였다. 1919년 3월 18일 전개된 운문면 만세 운동은 문명 학교(文明學校) 졸업생 및 교사들이 주동하였다. 당시 문명 학교 졸업생 김상구(金相久)는 김종태...
-
일제 강점기 청도 출신의 독립운동가. 이정희는 1881년(고종 18) 지금의 경상북도 청도군 매전면(梅田面) 명대(明臺)에서 출생하여 1955년 사망하였다. 1915년 광복회 고문, 1921년 조선 독립 후원 의용단 참여 등 광범위한 독립운동을 전개하였다. 이정희(李庭禧)[1881∼1955]는 대구 광명 학교(光明學校)에서 신학을 수학하였으며, 1909년 대구에서 박민동(朴民東)이...
-
일제 강점기에 활동한 청도 출신의 독립운동가. 이종악은 경상북도 청도군 매전면(梅田面) 장연리(長淵里) 366번지에서 출생하였다. 1941년 대구 사범학교 재학 중 비밀 결사 다혁당(茶革黨)을 결성하고 민족 독립의 역량을 확대시켜 독립을 쟁취하고자 하였다. 본관은 철성(鐵城). 1937년 대구 사범학교에 입학한 이종악(李鍾岳)[1923∼?]은 1941년 2월 15일에 최태석·권쾌복...
-
일제 강점기 청도 출신의 독립운동가. 이종학[1879∼1943]은 1879년(고종 16) 지금의 경상북도 청도군 청도읍 내호리(內湖里)에서 출생하여 1943년 사망하였다. 1919년 5월 7일 청도읍 유호리 일본인 구타 의거에 참여하였다. 1919년 5월 7일 대성면[현 청도읍] 유호리 김달선(金達先)의 집에 머물던 3인의 일본인 충전작태(充田作太)·산구호웅(山口虎雄)·수야희삼랑(...
-
일제 강점기 청도 지역에서 활동한 독립운동가. 장득원은 1897년(광무 1) 전라북도 정읍에서 태어나 지금의 경상북도 청도군 청도읍 유천리(楡川里)에서 거주하다가 1973년 사망하였다. 정읍을 중심으로 결성된 비밀 결사인 신인 동맹(神人同盟)에서 활동하였다. 장득원(張得遠)[1897∼1973]은 1938년 4월부터 정읍을 활동 무대로 하여 조직된 신인 동맹에 가담하여, 종교적 결합...
-
일제 강점기 청도 출신의 독립운동가. 전팔룡은 1911년 지금의 경상북도 청도군 청도읍 고수리(高樹里)에서 출생하여 1963년 사망하였다. 전팔룡은 1931년 11월 19일 군용 열차 전복 의거에 참여하였다. 전팔룡(全八龍)[1911∼1963]은 본적이 청도군 각남면(角南面) 화동(華洞) 358번지이며, 주소는 청도군 대성면 고수동 384번지로, 김기근(金基根)의 장남으로 태어났다...
-
일제 강점기 청도 출신의 독립운동가. 조차상은 1898년(광무 2) 지금의 경상북도 청도군(淸道郡) 청도읍(淸道邑) 유호리(楡湖里)에서 출생하여 1995년 사망하였다. 1919년 3월 14일 청도읍 유호리 유천 시장에서 전개된 만세 운동을 주도하였으며, 1924년 김진효 등과 함께 대한민국 임시 정부 군자금 모집에 관여하였고, 1941년 동진회를 조직하여 활동하였다. 1919년 3...
-
일제 강점기 청도 출신의 독립운동가. 최성희는 1891년(고종 28)에 지금의 경상북도 청도군 운문면 공암리(孔岩里)에서 출생하여 1978년 사망하였다. 1919년 3월 18일 청도군 운문면 만세 운동에 참가하였다. 1919년 3월 18일 전개된 운문면 만세 운동은 문명 학교(文明學校) 졸업생 및 교사들이 주동하였다. 당시 문명 학교 졸업생 김상구(金相久)와 김종태(金鍾台)는 19...
-
일제 강점기 청도 출신의 독립운동가. 최술근은 1896년 지금의 경상북도 청도군 청도읍 거연리(巨淵里)에서 출생하여 1978년 사망하였다. 1919년 4월 20일 청도읍 거연리에서 전개된 만세 운동을 주도하였다. 청도읍 거연리 만세 운동은 단산 서당(丹山書堂)의 학생이었던 이승옥에 의해 비롯되었다. 이승옥은 전국 각지로 만세 운동이 확산되어 가는 상황을 지켜보면서 1919년 3월...
-
일제 강점기 청도 출신의 독립운동가. 최운구는 1885년(고종 22) 지금의 경상북도 청도군 운문면 지촌리에서 출생하여 1942년 사망하였다. 1930년대 만주에서 조선 혁명군 총사령 양세봉 휘하에서 중대장으로 활약하였다. 최운구(崔雲龜)[1885∼1942]는 1932년 3월 11일 조선 혁명군 중대장으로서 총사령 양세봉(梁世奉), 참모장 김학규(金學奎), 중대장 조화선(趙化善)·...
-
일제 강점기 청도 출신의 독립운동가. 최익생(崔翼生)[1916∼?]은 1916년 지금의 경상북도 청도군 이서면 칠엽리에서 출생하였다. 밀양 공립 농업학교에 재학 중이던 1932년 5월 L회[조선 민족 사상 연구회]라는 비밀 결사를 조직하여 활동하였고, 1932년 10월 야학당을 설치하여 활동하다가 만주로 망명하여 독립운동을 전개하였다. 본관은 경주(慶州). 최익생은 밀양 공립 농업...
-
일제 강점기에 활동한 청도 출신의 독립운동가. 최태석은 1920년 지금의 경상북도 청도군 매전면 송원리(松院里) 173번지에서 출생하였다. 1941년 조직된 다혁당(茶革黨)에서 활동하였다. 최태석(崔泰碩)[1920∼1995]은 대구 사범학교에 재학 중인 1941년 2월 15일 밤 8시에 같은 학교 학생 문홍의(文洪義)·배학보(裴鶴甫)·최영백(崔榮百)·김효식(金孝植)·류흥수(柳興洙)...
-
일제 강점기 청도 출신의 독립운동가. 최태욱은 1892년(고종 29) 지금의 경상북도 청도군 화양읍 합천리(合川里)에서 출생하여 1984년 사망하였다. 1919년 백산 무역의 상무 취체역으로 있으면서 대한민국 임시 정부와 정의부에 군자금을 송부하였으며, 1919년 기미 육영회를 조직하는 등 독립운동을 전개하였다. 최태욱(崔泰旭)[1892∼1984]은 1903년까지 한학을 배웠으며,...
-
개항기 청도 출신의 의병장. 최한룡은 1849년(헌종 15) 지금의 경상북도 청도군 각남면 일곡리(日谷里)에서 출생하여 1917년 사망하였다. 1905년 을사 늑약에 분개하여 1906년 산남 의진(山南義陣)에 참여하였으며, 1907년 7월 청도에서 창의하였다. 최한룡(崔翰龍)[1849∼1917]은 1905년 을사 늑약에 분개하여 1906년 4월 산남 의진에 참여하였다. 이후 190...
-
일제 강점기 청도 출신의 독립운동가. 추진구는 1909년 지금의 경상북도 청도군 청도읍 고수리(高樹里)에서 출생하여 1974년 사망하였다. 1931년 11월 19일 군용 열차 전복 의거에 참여하였다. 추진구(秋振求)[1909∼1974]는 16세 무렵까지 집에서 농업에 종사하다가 남의 집 고용인으로 일하였으며, 22세가 되던 가을부터 청도 역전 앞에 있는 이영희 정미소에서 일했다....
-
일제 강점기 청도 출신의 독립운동가. 허곤도는 1884년(고종 21) 지금의 경상북도 청도군 청도읍 내호리(內湖里)에서 출생하여 1951년 사망하였다. 1919년 5월 7일 청도읍 일본인 구타 의거에 참여하였다. 1919년 5월 7일 대성면[현 청도읍] 유호리 김달선(金達先)의 집에 머물던 일본인 세 사람 충전작태(充田作太)·산구호웅(山口虎雄)·수야희삼랑(水野喜三郞)은 밖에서 놀고...
-
일제 강점기 청도 출신의 독립운동가. 허남귤은 1923년 지금의 경상북도 청도군 청도읍 내호리(內湖里) 206번지에서 출생하였다. 그는 1941년 항일 비밀 결사인 동진회(東進會)를 조직하고 회장으로 활동하다가 체포되어, 1945년 1월 8일 부산 형무소에서 순국하였다. 허남귤(許南橘)[1923∼1945]은 1941년 1월 27일 이길우를 비롯한 20대 청년들과 함께 박상노(朴相老...
-
일제 강점기 청도 출신의 독립운동가. 1921년 11월부터 워싱턴에서 열리는 태평양 평화 회의에 전국의 13도 지역 대표 367명이 연명 날인한 「한국 인민 치태평양회의서(韓國人民致太平洋會議書)」를 보냈는데, 홍재범은 이때 연루되어 체포되었다. 워싱턴 회의가 개최된 이후 한국 대표단은 한국 문제를 의제에 포함시켜 줄 것을 간청하는 진정서(陳情書)와 임시 정부의 독립 요구서(獨立要求...
-
일제 강점기 청도 출신의 독립운동가. 홍주일은 1876년 청도군 운문면 오진리(梧津里)에서 출생하여 1927년 사망하였다. 1908년 달성 친목회, 1915년 조선 국권 회복단, 1919년 3·1 운동에 참여하였고, 1921년 교남 학교(嶠南學校)를 설립하고 항일 사상을 고취하였다. 본관은 남양(南陽). 호는 해동(海東). 홍주일(洪宙一)[1876∼1927]은 31세에 일본 규슈[...
-
일제 강점기 청도 출신의 독립운동가. 홍해성은 1895년 청도군 운문면 오진리에서 출생하여 1949년 사망하였다. 1919년 3월 18일 청도군 운문면 만세 운동을 주도하였다. 본관은 남양(南陽). 홍해성(洪海性)[1895∼1949]은 1919년 3월 18일 운문면 만세 운동을 주도하였다. 운문면 만세 운동은 3월 1일 광무 황제(光武皇帝)의 국장을 참배하기 위하여 상경하였다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