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7800294 |
---|---|
한자 | 一八七二年地方地圖鐵原九坊之圖 |
영어공식명칭 | District Maps in 1872 Cheorwongubangjido |
분야 | 지리/인문 지리,문화유산/기록 유산 |
유형 | 문헌/문서 |
지역 | 강원도 철원군 |
시대 | 근대/개항기 |
집필자 | 나종현 |
[정의]
1872년 작성된 『1872년 지방지도』에 수록된 강원도 철원 지역의 지도.
[개설]
「철원구방지도(鐵原九坊之圖)」는 『1872년 지방지도(1872年地方地圖)』 에 수록된 철원 지역의 지도로서, 현재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에 소장되어 있다.
[제작 발급 경위]
『1872년 지방지도』 「철원구방지도」는 1871년(고종 8) 여러 읍의 지도(地圖)를 작성하여 바치라는 명령에 의해 1872년 작성된 지도이다. 19세기 서구 열강과의 접촉에 따라 조선은 국방 강화의 필요성을 절감하였다. 당시 집권자였던 흥선대원군은 각 지방의 실정을 상세히 파악하기 위하여 1871년 전국에 읍지 편찬을 명령하는 한편, 전국 각 지방의 지도 또한 그려 올리게 하였다. 이 지도들은 각 도별로 작성되었고, 「철원구방지도」는 강원도지도(江原道地圖)에 수록되어 있다. 「철원구방지도」가 작성될 당시 철원부사(鐵原府使)로 재임하고 있었던 인물은 홍언석(洪彦錫)이다. 홍언석은 1870년(고종 7) 8월 2일 부임하여 1872년 10월 3일 파직되었다. 『1872년 지방지도』에 수록된 여러 지도들이 대체로 1872년 3월에서 6월까지 작성되었던 것으로 파악되므로, 홍언석이 「철원구방지도」의 작성을 담당하였던 것으로 추정된다.
[형태]
「철원구방지도」는 당시 철원의 행정구역, 지형, 도로, 시설 등을 표현한 회화식 지도이다.
[구성/내용]
「철원구방지도」에는 구방지도(九坊之圖)라는 명칭과 어울리게 북면(北面), 어운동면(於云洞面), 서변면(西邊面), 동변면(東邊面), 송내면(松內面), 갈말면(乫末面), 관인면(寬仁面), 신서면(新西面), 무장면(畝長面) 등 아홉 개의 행정구역이 표시되어 있다. 북쪽 방향을 위에 두고 그렸으며, 북쪽에 ‘자(子)’, 남쪽에 ‘오(午)’를 써서 방위를 표시하였다. 철원 지역의 산줄기와 물줄기도 표현되어 있는데, 대체로 산으로 둘러싸여 있으며 북쪽 일부에 평야가 펼쳐져 있는 지형을 잘 표현하였다. 산줄기는 구불구불한 청색 선, 물줄기는 청색 직선으로 표시하여 구분하였다. 주변 지역으로 통하는 도로망은 적색 선으로 표현하였다. 주요 교통로에는 주변 군현까지의 거리가 기록되어 있다. 지역 내의 시설과 유적 또한 상세히 기록하였는데, 태봉의 궁예가 건설한 태봉국 철원성의 위치 또한 ‘궁왕고도(弓王古都)’로 표현한 것이 눈에 띈다.
[의의와 평가]
『1872년 지방지도』 「철원구방지도」는 19세기 후반에 그려진 철원 지역의 대표적인 지도로서, 당시 철원 지역의 현황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