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1900909 |
---|---|
한자 | 金祖淳 |
영어음역 | Gim Josun |
이칭/별칭 | 낙순(洛淳),사원(士源),풍고(楓皐),충문(忠文),영안부원군(永安府院君) |
분야 | 역사/전통 시대,성씨·인물/전통 시대 인물 |
유형 | 인물/문무 관인 |
지역 | 충청북도 충주시 |
시대 | 조선/조선 후기 |
집필자 | 이성호 |
조선 후기 충주목사를 역임한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초명은 낙순(洛淳), 자는 사원(士源), 호는 풍고(楓皐)이다. 영의정 김창집(金昌集)의 4대손으로, 부사 김이중(金履中)의 아들이고, 순조(純祖)의 장인이다.
1785년(정조 9) 약관에 정시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1788년 규장각대교로 있을 때 시·벽파(時·僻派) 싸움에 중립을 지키며 당쟁을 없앨 것을 주장하였다. 1789년 동지겸사은사의 서장관으로 청나라에 다녀왔고, 이어 이조참의·검교·직각을 거쳐 1800년 보덕에 제수되었다. 순조 즉위 후 부제학·행호군(行護軍)·병조판서·이조판서·선혜청제조 등 여러 요직이 제수되었으나 항상 조심하는 태도로 사양하였다.
1802년에 대제학을 거쳐 딸이 순조의 비 순원왕후(純元王后)로 봉해지자 영돈령부사(領敦寧府使)로 영안부원군(永安府院君)에 봉해지고, 이후 훈련대장·호위대장·금위대장·양관 대제학 등을 지냈다. 그 뒤 실권 있는 직책은 맡지 않고 제조직과 영돈령부사로 있다가 죽었다. 어릴 때부터 기량과 식견이 뛰어났으며 성격이 곧고 밝아서 정조의 사랑을 받고 왕세자의 보도(輔導)를 맡았고, 국구(國舅)가 된 뒤로는 왕을 보필하여 군덕(君德)을 함양시키는 일에 진력하였다.
요직이 제수될 때마다 사양하는 것으로 보아 자신이 권세를 누리기 위해 노력한 인물이 아니었음을 알 수 있다. 시벽 당파에 몰리지 않으려는 노력과 세도의 풍을 형성하지 않으려는 노력이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김조순을 둘러싼 척족 세력들은 후대에 안동김씨 세도정치의 기반을 조성하였다.
『풍고집(楓皐集)』이 전한다.
시호는 충문(忠文)이며 양주의 석실서원과 여주의 현암서원에 제향되었다. 충주목사로 재직 중에 선정하고 애민선치했다고 하여 철(鐵)로 만든 ‘행목사김공조순영세불망비(行牧使金公祖淳永世不忘碑)’가 1839년(현종 5)에 충주시 충인동에 세워졌으나 시가지 정비 시 파손되어 사라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