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1902997 |
---|---|
영어의미역 | Sugokli rice-planting song |
이칭/별칭 | 「모노래」,「이앙가」 |
분야 |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문화유산/무형 유산 |
유형 | 작품/민요와 무가 |
지역 | 충청북도 충주시 산척면 영덕리 서곡마을 |
집필자 | 조순현 |
성격 | 민요|노동요|농업노동요 |
---|---|
토리 | 메나리토리 |
출현음 | 미|솔|라|도|레 |
기능구분 | 농업노동요 |
형식구분 | 선후창 |
박자구조 | 9/8박자 |
가창자/시연자 | 이석철[산척면 영덕리] |
충청북도 충주시 산척면 영덕리에서 모심기를 하면서 부르는 농업노동요.
「서곡리 모심기 노래」는 농민들이 논에서 모를 심으면서 부르는 벼농사 노래이다. 충주 지방에서는 모심기를 할 때에 「아라성」(모심는 노래), 「아라리」, 「아라송」, 「단월이야」 등을 부르는데, 산척면에서는 「얼러리 숭아」로 부르고 있다.
2002년 충주시에서 간행한 『충주의 구비문학』에 실려 있는데, 이는 1990년 이노영이 산척면 영덕리 서곡마을로 현지조사를 나가 이석철로부터 채록한 것이다.
충주 지방에서 전하고 있는 「서곡리 모심기 노래」는 한 사람이 메기면 여러 사람이 받는 선후창 형식이다.
심어주게 심어주게/ 오종종 줄모로 심어주게/ 리야 리야 얼러리야/ 얼리랑 어헐사/ 얼러리 얼러리 숭아// 여기꽂고 저기꽂고/ 삼백출 자리로 심어주게/ 리야 리야 얼러리야/ 얼리랑 어헐사/ 얼러리 얼러리 숭아// 풍년이 오네 풍년이 오네/ 이강산 삼천리에/ 풍년이 오네/ 리야 리야 얼러리야/ 얼리랑 어헐사/ 얼러리 얼러리 숭아.
현재 산척면 영덕리에서 이석철이 「얼러리 숭아」의 후렴 소리로 그 맥을 이어가고 있다.
농촌 인구의 노령화와 농촌의 기계화로 인해 노동에서 오는 피로를 줄이고 일의 능률을 극대화시키는 효과를 지니고 있는 「서곡리 모심기 노래」를 듣는 것도 점차 힘들어지고 있어서 안타깝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