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40001853
한자 大邱 月城洞 -
이칭/별칭 대구 월성동 지석묘군,월배 지역 유적,월배 지역 고인돌[지석묘군]
분야 역사/전통 시대
유형 유적/고분
지역 대구광역시 달서구 월성동
시대 선사/청동기
집필자 민선례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조성 시기/일시 청동기시대 - 대구 월성동 고인돌 조성
발굴 조사 시기/일시 1983년 - 대구 월성동 고인돌 조사
발굴 조사 시기/일시 1990년 - 대구 월성동 고인돌 조사
발굴 조사 시기/일시 2015년 9월 2일~9월 9일 - 대구 월성동 고인돌Ⅰ 세종문화재연구원에서 발굴 조사
보수|복원 시기/일시 2015년 10월~11월 - 대구 월성동 고인돌 이전·복원
소재지 대구 월성동 고인돌 - 대구광역시 달서구 상원로 171[월성동 1257-3]|월성동 1284-7|월서로 59-6[월성동 1302]|월배로33길 71[월성동 1321-1]|진천로18길 95[월성동 1321-2]지도보기
성격 고분
양식 고인돌|돌널무덤

[정의]

대구광역시 달서구 월성동에 있었던 청동기시대 고인돌.

[개설]

대구 월성동(大邱 月城洞) 고인돌은 주변의 상인동·대천동·진천동 고인돌과 함께 월배 지역에 있었던 대표적인 고인돌이다. 대구 월성동 고인돌은 1983년 조사 때 4개 구역에서 확인되었으나, 1990년 조사 때는 민가 주변에 있던 대구 월성동 고인돌Ⅰ 이외에는 도시화로 모두 파괴되어 사라졌다.

[위치]

대구 월성동 고인돌Ⅰ은 행정구역상 대구광역시 달서구 월성동 1257-3번지의 집 담장에 붙어 있었는데, 현재 월성자이아파트~조암로 간 도로에 해당된다. 대구 월성동 고인돌Ⅱ[월성동 1284-7]는 대구 월성동 고인돌Ⅰ이 있는 소로를 따라 300m 정도 떨어진 곳에 있으며, 현재 태왕아너스월성아파트의 남서쪽에 있는 상가건물이 해당된다.

대구 월성동 고인돌Ⅲ[월성동 1302]은 대구 월성동 고인돌Ⅱ의 남서쪽으로 220m 정도 떨어져 있었고, 대구 월성동 고인돌Ⅳ[월성동 1321-1·1321-2번지]은 대구 월성동 고인돌Ⅲ의 남서쪽으로 70m 정도 떨어져 있었다. 대구 월성동 고인돌 Ⅲ·Ⅳ는 현재 월배역더샵아파트의 북서쪽에 인접한 상가건물들이 해당된다.

[발굴 조사 경위 및 결과]

2015년 9월 2일부터 9월 9일까지 대구 월성동 고인돌Ⅰ이 포함된 대구 월성아파트~조암로 간 도로건설부지 내 유적에 대한 발굴 조사를 세종문화재연구원에서 실시하였다. 시굴 조사에서 2호 고인돌은 원래의 위치에서 따로 떨어지게 되어 1호 고인돌을 중심으로 주변에 대한 조사를 실시하여 고인돌 1기와 돌널무덤 1기가 조사되었다.

[형태]

대구 월성동 고인돌Ⅰ의 1호의 덮개돌 크기는 길이 214㎝, 너비 186㎝, 높이 84㎝이며, 무게는 9톤이다. 덮개돌 아래에서 길이 201㎝, 너비 126㎝, 깊이 35㎝의 벽석을 돌덧널[석곽]처럼 쌓은 돌널무덤이 확인되었다. 대구 월성동 고인돌의 남쪽으로 5.5m 정도 떨어져 239×52×18~50㎝ 크기의 돌덧널형 돌널무덤 1기가 조사되었다. 2호 덮개돌 크기는 길이 163㎝, 높이 47㎝이며, 재질은 화강암이다.

[출토 유물]

대구 월성동 고인돌에서 출토된 유물은 없고, 대구 월성동 고인돌Ⅰ 주변에서 조사된 돌널무덤의 주검받침[시상석(屍床石)] 위에서 관옥 24점, 북서 장벽 쪽 조사 과정에서 석촉편 1점이 출토되었다. 이후 돌널무덤을 해체하는 과정에서 주검받침 아래에서 관옥 5점이 추가로 출토되었다.

[현황]

대구 월성동 고인돌Ⅰ의 1호 고인돌과 주변의 돌널무덤은 2015년 10월부터 11월까지 한샘공원[대구광역시 달서구 대천동 353-3번지]에 이전·복원이 진행되어 안내판이 설치되는 등 지역사회 교육자료로 확용되고 있지만, 다른 고인돌은 이전에 도시화가 진행되면서 대부분 파괴되었다.

[의의와 평가]

대구 월성동 고인돌은 고인돌 주변에서 확인된 무덤의 수는 소량이지만, 주로 청동기시대 취락유적이 조사된 월성동에서 무덤 유적이 조사된 것에 의의가 있고, 월배 지역에서 확인되는 고인돌 가운데 드물게 덮개돌 아래에서 무덤을 확인할 수 있었다.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