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초봄에 동백꽃 피거들랑 선운사에 다녀오시지요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2800002
한자 初-冬柏-禪雲寺-
영어의미역 Camellia Flowers Blooms in Early Spring, Go to Seonunsa Temple
분야 종교/불교,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기획)
지역 전라북도 고창군 아산면 삼인리 500[선운사로 250]지도보기
집필자 김상휘

[개설]

동백(冬柏)[Camellia japonica]은 차나무과[Theaceae]에 속하는 상록 교목이다. 때때로 줄기 밑동에서 많은 가지들이 나와 관목처럼 자라기도 한다. 수피(樹皮)는 회색빛이 도는 갈색이며 미끈하다. 잎은 가죽처럼 두껍고 어긋나며, 앞면은 광택이 나는 짙은 초록색이나 뒷면은 노란색이 섞여 있는 초록색이다. 잎 가장 자리에는 끝이 뭉툭한 톱니들이 있다.

꽃은 빨간색이며, 겨울에 1송이씩 잎겨드랑이나 가지 끝에 핀다. 꽃잎은 5~7장이지만 꽃잎의 아래쪽은 서로 감싸고 있으며, 꽃받침 잎은 5장이다. 수술은 많고 기둥처럼 동그랗게 모여 있다. 수술대는 흰색, 꽃밥은 노란색이다. 암술대는 3갈래로 갈라졌다. 열매는 삭과(果)로, 가을에 구형(球形)으로 익으며 3갈래로 벌어지는데 그 속에는 진한 갈색의 씨가 들어 있다. 꽃의 밑에서 화밀(花蜜)이 많이 나오며, 동박새가 이것을 먹는 틈에 꽃가루받이가 일어나므로 대표적인 조매화(鳥媒花)이다. 한국·일본·타이완·중국 등지에 분포한다.

대나무·소나무·매화나무를 세한삼우(歲寒三友)라 하듯이 다른 식물이 모두 지고 난 겨울에 피는 동백꽃을 추운 겨울에도 정답게 만날 수 있는 친구에 빗대어 세한지우(歲寒之友)라고 부르기도 한다. 분재(盆栽)로도 널리 활용되고 있는데, 생장 속도는 느리지만 그늘지고 물이 잘 빠지는 곳에서 잘 자라고 줄기에서 가지가 나오므로 가지치기를 많이 해도 잘 견딘다. 공해나 소금기에도 강하다.

옛날에는 동백나무 씨에서 기름을 짜서 등잔기름·머릿기름 또는 약용으로 쓰기도 했다. 이밖에 혼례식 상에서 동백나무를 대나무와 함께 자기 항아리에 꽂아 부부가 함께 오래 살기를 기원하기도 했다.

[동백꽃으로 유명한 여행지]

한국에서는 제주도 및 중부 이남의 바닷가에서만 볼 수 있는데 바닷가를 따라 서해안 어청도까지, 동쪽으로는 울릉도까지 올라와 자란다. 특히 울산광역시 온산읍 방도리에 있는 목도(目島)에는 동백나무가 울창하게 자라고 있어 동백섬이라고 부르기도 하는데, 이 섬의 상록수림은 천연기념물 제65호로 지정되어 있다. 인천광역시 옹진군 백령면 대청리의 동백나무숲은 동백나무의 북한계선으로 천연기념물 제66호로, 전라남도 강진군 도암면 만덕리의 백련사 동백나무숲은 제151호로, 충청남도 서천군 서면 마량리의 동백나무숲은 제169호로 각기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다. 전라남도 여수시의 오동도 또한 동백나무숲으로 잘 알려져 있다. 그 중에서도 전라북도 고창군 아산면 삼인리 500번지[선운사로 250] 선운사(禪雲寺)의 6백 년 이상 된 3천여 그루 동백나무숲[천연기념물 제184호]은 관광객이 가장 많이 찾는 곳이기도 하다.

[도솔산 선운사와 동백나무]

선운산(禪雲山)전라북도 고창군 심원면아산면 경계에 있는 산으로, 높이 336m이다. 도솔산(兜率山)이라고도 했으나, 유명한 거찰 선운사가 있어 선운산이라 불리고 있다. 주위에 소요산(逍遙山)[444.2m], 황학산(黃鶴山)[109m] 등이 있다. 서쪽과 북쪽으로는 서해곰소만[줄포만]이 있으며, ‘호남의 내금강’이라고도 한다. 산마루는 비교적 급경사를 이루며, 동쪽에서 발원하는 하천은 주진천[인천강]에 유입하여 곰소만[줄포만]으로 흘러든다. 1979년 12월 이 일대 43.7㎢가 선운산 도립공원(禪雲山道立公園)으로 지정되었다. 입구에서 약 4㎞에 걸쳐 동백나무숲이 펼쳐져 있으며, 봄에는 꽃 병풍을 이룬 계곡의 아름다움이 절경을 이룬다.

특히 대웅전 뒤에는 수령 약 500년, 높이가 평균 6m인 동백나무들이 3~4월에 붉고 탐스러운 동백꽃이 피면 역시 장관이다. 약 2,000그루가 군락을 이루는 선운사 동백 숲의 조성 연대는 알 수가 없고 산불로부터 사찰을 지키기 위해 심었다고 한다. 선운사 동백은 가장 늦게 피는데 보통 3월말에서부터 4월말 사이에 꽃을 피운다. 5,000여 평에 이르는 선운사 동백숲은 천연기념물 제184호로 지정하여 보호하고 있다.

[선운사 구석구석 둘러보기]

남동쪽 사면에 있는 선운사는 대한불교 조계종 제24교구 본사이다. 경내에는 선운사 대웅전[보물 제290호]·선운사 금동보살좌상[보물 제279호]·선운사 지장보살좌상[보물 제280호]·선운사 석씨원류(禪雲寺釋氏源流)[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14호] 등 보물 3점, 도 지정 문화재 8점 및 비지정 문화재 30여 점이 있다. 또한 절 입구에는 미당 서정주「선운사 동구」 시비(詩碑)가 있다. 선운사에서 서쪽으로 1㎞ 정도 떨어진 곳에 선운사 참당암 대웅전[보물 제803호]이 있다.

선운사에서 도솔암에 오르는 길목에 있는 진흥굴(眞興窟)은 좌변굴(左邊窟)이라고도 하며, 신라 진흥왕이 왕위를 버리고 중생 구제를 위해 도솔왕비와 중애공주를 데리고 입산·수도한 곳이라는 「선운산 진흥굴의 유래」이야기가 전승되고 있다.

도솔암선운사 남서쪽 약 2.5㎞ 지점에 있으며, 깊은 계곡과 울창한 소나무·대나무 숲, 절벽 등으로 둘러싸여 있다. 암자 앞에는 높이 20m가 넘는 천인암(千因巖)이라는 절벽이 있으며, 서쪽 암벽 위에는 상도솔암(上兜率庵)이라고도 하는 내원암(內院庵)이 있다. 그 밑의 절벽에는 미륵장륙마애불(彌勒丈六磨崖佛)이 조각되어 있는데, 머리 위에는 거대한 공중누각을 만들어 보호했던 흔적이 남아 있다.

용문굴(龍門窟)은 기출굴(起出窟)이라고도 하는데, 검단선사가 절을 짓기 위해서 도솔암 서쪽 용태에 살고 있던 용을 몰아낼 때에 용이 가로 놓인 바위를 뚫고 나간 구멍이라 하며, 그 터[址]가 내원암 남쪽에 남아 있다. 또한 검단선사가 인근의 도적들을 개과천선시키고 천일염 제조법을 가르쳐 새로운 삶을 열어주었고, 마을 사람들은 검단선사의 은혜에 보답하기 위해 매년 봄과 가을 두 차례씩 선운사에 소금을 바쳤다는 「검당마을과 염정」이라는 설화가 전해지고 있다.

그밖에도 봉수암(鳳首巖)·선학암(仙鶴巖)·수리봉 등이 절경을 이루며, 이름 없는 동굴이 곳곳에 있다. 또한 선운사에서 계곡을 따라 올라가면 청소년 수련원인 ‘자연의 집’이 있으며, 낙조대(落照臺)에서 바라보는 서해의 일몰 광경이 장관이다. 자연의 집→ 구황봉→ 연기교→ 소요사선운사로 이어지는 등산로가 있다. 5월에는 문화예술제인 ‘동백제’가 선운사 경내에서 열리며, 매년 10월에는 민속축제인 ‘성 밟기 모양성제(牟陽城祭)’가 열린다. 호텔 등의 숙박 시설과 식당·상가 등 각종 위락·편의 시설이 있다. 정읍시와 고창에서 선운사까지 버스가 운행된다.

[초봄, 선운사에 가신 적이 있나요]

흥덕에서 군내 버스로 선운사를 갈 수 있다. 거리는 13㎞이며, 길에서 손을 드는 사람은 무조건 태워 주는 차이다. 급한 볼일이 있으면 잠시 기다려 주는 버스로 옛날 완행버스이다. 선운사 300미터 표시가 보인다. 미당 서정주 시인이 「선운사 동구」에서 이야기한 그 옛날의 동백여관과 막걸리 집은 보이지 않는다. 서정주「선운사 동구」라는 시에 등장하는 그 막걸리 집은 없어진 지가 벌써 몇 해가 지났다.

“선운사 골짜기로/ 선운사 동백꽃을 보러 갔더니/ 동백꽃은 아직 일러 피지 안했고/ 막걸리 집 여자의/ 육자배기 가락에 작년 것만 상기되어 남았습니다/ 그것도 목이 쉬어 남았습니다.”[「선운사 동구」 중에서]

이제는 옛날 추억은 없고, 그 넓은 주차장에 꽉 들어찬 관광버스와 상춘객으로 가득 찬 입구가 보인다. 한적하고 조용한 오래 전 흔적과는 달리 너무나 다른 모습에 잠시 옛날의 흑백 사진이 떠오른다. 선운사로 올라가는 길은 짧으나마 벚꽃 길이 있어 그나마 다행이다. 바람과 함께 하얀 꽃비가 내려 머리며 이마며 콧등이며 어깨에 내리는 꽃비, 계곡 물 위를 하얗게 덮은 벚꽃과 동백이 반겨 준다.

선운사 내부는 사람 반 동백 반이다. 석조에서 물 한 종지를 마시고 대웅전 뒤편의 동백 숲으로 갔다. 예전에는 오직 동백의 붉음과 동백 숲에 사는 새소리만 가득했던 곳이다. 꽃 하나가 떨어진다. 불과 찰나 같은 순간이지만 마음이 덜컥 내려앉는 기분이다. 눈을 감고 동백이 떨어지는 소리를 듣는다. ‘눈물처럼 후두둑 지는 꽃’이라고 노래 부른 송창식의 「선운사」 노래 가사가 와 닿는다.

“선운사에 가신 적이 있나요/ 바람 불어 서룬날에 말이에요./ 동백꽃을 보신 적이 있나요/ 눈물처럼 후두둑 지는 그 꽃 말이에요/ 나를 두고 가시려는 님아/ 선운사 동백숲으로 와요/ 떨어지는 꽃송이가 내 맘처럼 하도 슬퍼서/ 당신은 그만 당신은 그만/ 못 떠나실 거에요/ 선운사에 가신 적이 있나요/ 눈물처럼 동백꽃 지는 그 곳 말 이예요.”

동백나무 그늘에서 한참 하늘을 쳐다본다. 꽃과 잎 사이에 보이는 하늘은 마치 바다나 강처럼 동백을 싣고 떠 있는 것 같다. 그 바다나 강을 그리워하는 동백이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든다. 동백 숲 앞은 사람들로 가득 차 있다. 여수 오동도의 동백 이야기도 간간히 들리고, 동백의 내력을 이야기하는 사람들, 사진 찍기에 열중인 사람들, 그리고 금방 내려간다. 사람들은 수없이 바뀌지만 동백은 그대로 모든 걸 받아 주는 것 같다.

이제 선운사 동백 숲에서 내려갈 시간이다. 할 일이 하나 남아 있다. 그것은 막걸리에 파전을 먹는 일이다. 반가워라 선운사 막걸리. 걸쭉한 것 같지만 달지 않고 텁텁한 막걸리이다. 서정주「선운사 동구」에서 출연했던 육자배기 소리는 들을 수 없어도 초봄 선운사 행보는 참으로 몽환적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