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2801440 |
---|---|
한자 | 高敞農樂 |
영어음역 | Gochang Nongak |
영어의미역 | The Farmers' Music of Gochang |
분야 | 문화·교육/언론·출판 |
유형 | 문헌/단행본 |
지역 | 전라북도 고창군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이명훈 |
성격 | 농악 연구서 |
---|---|
저자 | 고창문화원 |
간행자 | 고창문화원 |
저술연도/일시 | 2007년 |
간행연도/일시 | 2009년 |
권수 | 1권 |
책수 | 1책 |
가로 | 17.5㎝ |
세로 | 22.5㎝ |
표제 | 황토빛가락 쪽빛 몸짓 『고창농악』 |
간행처 | 나무한그루 |
[정의]
고창문화원에서 전라북도 고창군 지역에서 전해 오는 고창농악의 역사와 내용에 대해 기록으로 남긴 책
[개설]
1998년 전라북도 무형문화재 제7-6호로 지정된 고창농악의 내용을 집대성하였다.
[편찬/발간 경위]
1985년 고창문화원 산하에 고창농악단이 창설되면서 고창농악은 많은 활동을 하게 된다. 그리하여 일제 강점기과 새마을운동으로 인해 단절되었던 무형의 전통 문화 예술인 고창농악이 되살아나기 시작했다. 당시 고창농악단원들의 평균 연령은 60~70대로서, 이들은 과거에 행해졌던 고창농악의 여러 종류들을 복원해 내는 데 큰 역할들을 하였다.
이에 고창문화원에서는 1990년부터 고창농악단원들을 중심으로 면담 조사를 시작하였으며, 1998년부터는 고창군의 각 마을을 돌아다니면서 마을굿을 조사하게 되었다. 그리하여 2009년 고창군과 한국문화예술위원회의 지원을 받아, 그동안 10여 년에 걸쳐 10여 명이 조사 작업을 하였으며 2년여에 걸쳐 5명의 집필진이 참여한 『고창농악』을 간행하게 되었다.
[형태]
1권 1책으로, 총 536쪽이다. 표제는 ‘황토빛 가락 쪽빛 몸짓 『고창농악』’이다. 크기는 가로가 17.5㎝, 세로는 22.5㎝이다.
[구성/내용]
3장 35절로 항목을 구분하였다. 주요 내용을 보면, 제1장은 ‘고창농악의 전승 배경-영무장농악과 고창농악’, ‘고창농악의 전승과 세습무계 집단’, ‘고창농악 명인들의 계보와 사사 관계’, ‘고창농악보존회의 설립과 주요 명인들의 농악’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2장은 ‘고창농악의 치배 구성 및 소품 제작-치배 구성과 복색, 소품 제작’, 제3장은 ‘고창농악의 연행 내용-문굿, 당산굿, 샘굿, 줄굿과 줄다리기, 매굿, 풍장굿, 꽃대림굿, 주장맥이, 판굿’으로 구성하여 고창농악을 집대성하였다.
[의의와 평가]
『고창농악』은 면담에서부터 집필까지 연구자와 현장 연행자들이 공동으로 진행한 연구서이다. 수차례에 걸친 면담 과정에서 한 차례도 빠지지 않고 공동 조사를 진행했고, 집필 과정에서도 지속적인 논의를 통해 내용을 수정하였다. 삽화와 채보, 사진 작업도 연구자와 연행자가 했기 때문에 현장감이 살아 있다. 이는 20여 년 동안 고창농악보존회의 활동을 통해서 쌓아진 결과이자 구술로 전해진 부분까지 포함하여 고창농악 100년의 대기록으로서, 전국은 물론 후세에까지 무형의 문화유산을 기록으로 전할 수 있게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