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2801606
한자 秋夕
영어음역 Chuseok
영어의미역 Chuseok Festival
이칭/별칭 한가위,가위,가우,가배
분야 생활·민속/민속
유형 의례/평생 의례와 세시 풍속
지역 전라북도 고창군
집필자 임세경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세시 풍속
의례시기/일시 음력 8월 15일

[정의]

전라북도 고창 지역에서 음력 8월 15일에 지내는 명절.

[개설]

추석은 음력 8월 보름으로 ‘한가위’, ‘가위’, ‘가우’, ‘가배’ 등으로 불리기도 한다. “더도 덜도 말고 이날만 같아라.”라는 말과 같이 가장 풍성한 시기에 지내는 명절이다. 추석에는 조상을 위하는 차례를 지내고, 성묘를 간다. 추석 음식으로는 송편을 만들어 먹는다. 송편은 추석의 대표적인 음식이다. 그 해 수확한 쌀로 송편을 빚고 온갖 과일을 장만하여 조상을 위하는 차례를 지낸다. 이때 장만하는 음식은 어느 명절보다 풍성하다. 또한 햇곡식을 베어다 ‘오리심리[추석을 전후하여 잘 익은 벼나 수수, 조 이삭을 한 줌 가량 베어다가 묶어서 방문 위나 기둥에 걸어두거나, 음식을 장만하여 고사를 지내는가 하면, 햇곡식을 베어다가 쪄서 말린 후 방아를 찧어 그 쌀로 밥을 지어 조상께 제사지내고, 샘, 당산, 마당, 곳간 등에 놓기도 하는 일]’를 한다.

[연원 및 변천]

추석에 관련된 민속은 신라 시대에서도 찾아진다. 『삼국사기(三國史記)』에 의하면 신라 3대 왕인 유리왕 때 가배가 있었다. 즉 7월 16일부터 궁정에서 두 패로 여자들을 나누고 왕녀의 관장 아래 길쌈을 한다. 그리하여 8월 15일이 되면 심사하여 진 쪽에서 이긴 쪽을 대접하도록 했다. 이 가배 행사가 가위라는 말로 변화를 일으켜 지금에 이르게 되었다. 조선 시대에도 농가에서는 추석을 일 년 중 가장 큰 명절로 여겼다. 『동국세시기(東國歲時記)』에 추석을 설명하기를, “황계(黃鷄)에 백주(白酒), 송편, 무시루떡, 인절미, 밤단자, 토란단자로 이웃 모두가 먹고 취하여 즐겁게 놀았다.”고 전한다.

[절차]

고창군 성내면에서는 차례를 지낼 때 이른 나락을 훑어 솥에서 쪄서 말려 찧은 올개쌀[올해의 쌀]로 오리심리를 한다. 올개쌀은 샘이나 곳간 등에 받쳐 놓거나, 볏짚 째로 방문이나 기둥 위에 걸어 두기도 한다. 송편은 모시 잎 송편을 빚는데, 모시 잎을 따다 찧어서 쌀가루와 섞어 빚는 것이다. 그리고 성묘를 다녀와서는 널뛰기, 그네뛰기, 강강술래, 풍장 등을 하며 논다.

고창군 고창읍에서는 추석에 올개쌀과 모시송편으로 차례를 모시고 성묘를 다닌다. 올개쌀은 이른 나락으로 만든 찐쌀이다. 처음에 수확한 쌀을 조상에게 올린다는 의미로 올개쌀로 메를 지어 차례를 지내는 것이다. 모시 잎 송편은 모시 잎을 찧어서 쌀가루와 섞어 만든 송편이다. 지금도 추석에 나락을 훑어다 오리심리를 하는 집이 있다. 고창군 성송면에서는 각 가정마다 이른 나락을 훑어서 만든 올개쌀과 모시 잎을 찧어서 빚은 모시송편으로 오리심리를 지내고 성묘를 다닌다.

[생활민속적 관련사항]

추석날 비가 내리면 흉년이 든다고 한다. 특히 다음 해에 보리농사를 망치게 된다는 속신이 전한다. 비가 오지 않고 구름이 짙게 끼어 있어도 농사에 좋지 않다고 한다. 고창 지역에서 추석날에 행해지는 민속놀이를 살펴보면 여자들은 널뛰기·그네뛰기·강강술래 등을 하고, 남자들은 씨름·윷놀이·풍장 등을 즐긴다. 강강술래는 수십 명의 부녀자들이 밝은 달밤에 손에 손을 잡고 둥글게 원을 돌아 춤을 추며 노는 것이다.

강강술래는 임진왜란 때 이순신 장군이 적군을 속이기 위해서 만들었다고 전해지기도 하지만, 민속놀이로 그 이전부터 놀아져 온 것이다. 강강술래는 주로 둥근 원을 그리며 추는 춤이다. 그 모습이 하늘에 떠 있는 달의 모습을 본뜬 것이라고 하고, 곡식이 꽉 차 있는 모습이라고도 한다. 또 강강술래를 하면서 고사리 꺾자, 덕석몰이, 청어 엮자, 문 열어라, 지와밟기, 남생아 놀아라 등의 놀이를 하기도 한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