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굴과 용둠벙」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7301268
한자 龍窟-龍-
영어공식명칭 Yonggulgwa Yongdumbeong
이칭/별칭 용굴과 용둠벙 전설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
유형 작품/설화
지역 전라남도 해남군 북일면 운전리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한은선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채록|수집|조사 시기/일시 2016년 07월 17일 - 「용굴과 용둠벙」 전라남도 해남군 북일면 운전리에서 김운태에게 채록
수록|간행 시기/일시 2017년 - 「용굴과 용둠벙」 해남군에서 펴낸 『설화로 꽃피는 땅끝해남』 상권에 수록
관련 지명 용굴 - 전라남도 해남군 북일면 운전리 지도보기
채록지 운전리 - 전라남도 해남군 북일면 운전리 지도보기
성격 자연 전설
주요 등장 인물 용|장수
모티프 유형 용|승천 좌절|삼산면의 물이 좋은 이유

[정의]

전라남도 해남군 북일면 운전리에 있는 용굴과 관련하여 전해 오는 이야기.

[개설]

「용굴과 용둠벙」용굴에서 용이 나와 승천하려는 모습을 본 장수가 용에게 화살을 쏘아 승천하지 못하고 용둠벙으로 들어가 버렸다는 이야기이다.

[채록/수집 상황]

「용굴과 용둠벙」은 2016년 7월 17일 북일면 운전리에서 채록하였으며, 구술자는 김운태[남]이다. 2017년 해남군에서 펴낸 『설화로 꽃피는 땅끝해남』 상권에 수록되어 있다.

[내용]

옛날에 해남군 북일면 운전리에는 용이 살고 있는 굴이 있었다. 사람들은 용이 살고 있는 굴이라 하여 ‘용굴’이라 불렀으며, 용굴 주변을 ‘용둠벙’이라 하였다. 어느 날 용이 굴에서 나와 하늘로 올라가려고 하는 것을 완도(莞島) 숙진봉에 있던 한 장수가 우연히 보게 되었다. 장수는 승천하려는 용을 향해 화살을 쏘았다. 화살에 맞은 용은 깜짝 놀라 하늘로 올라가지 못하고 용둠벙으로 들어가 버렸다. 용둠벙의 물은 매우 맑고 깨끗한데, 물이 북일면이 아니라 삼산면 쪽으로 흐른다. 북일면 주민들은 지금도 “용이 만약 북일면 쪽으로 빠져나왔으면 북일이 물이 좋을 텐데 용이 삼산면 쪽으로 빠져나가서 그쪽 물이 좋다.”라고 아쉬워하고 있다.

[모티프 분석]

「용굴과 용둠벙」의 모티프는 ‘용’, ‘승천 좌절’, ‘삼산면의 물이 좋은 이유’ 등이다. 설화에서 용은 ‘비를 내려주는 존재’ 또는 ‘물의 풍요를 결정하는 존재’로서 물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물을 관장하는 대상으로 상징화된다. 「용굴과 용둠벙」은 용둠벙의 좋은 물이 자신들의 마을로 흘렀으면 하는 북일면 주민들의 아쉬움과 바람이 투영된 설화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