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광여도』 「전라도 무주부」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6500246
한자 廣輿圖全羅道茂朱府
영어공식명칭 Gwangyeodo Jeollado Mujubu
분야 지리/인문 지리
유형 유물/서화류
지역 전라북도 무주군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한상호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현 소장처 규장각 한국학 연구원 - 서울특별시 관악구 관악로 1[신림동 산56-1]
성격 고지도

[정의]

조선 후기에 제작된 『광여도』에 수록되어 있는 무주부 지도.

[개설]

19세기에 이르러 국가가 기호식 지도를 정책 과정에 활용하기 시작하면서 기존의 회화식 지도는 그 비중이 감소하게 되었다. 더불어 국가의 통제력이 약화되면서 회화식 지도가 민간으로 유출된 것으로 보인다. 『광여도(廣輿圖)』는 이러한 당시 상황을 배경으로 『해동 지도(海東地圖)』와 같은 회화식 지도가 민간으로 흘러들면서 만들어진 것으로 보인다. 『광여도』는 규장각 한국학 연구원에 소장되어 있다.

[형태 및 구성]

『광여도』는 총 7책의 회화식 전국 군현 지도책으로 크기는 28.6×36.8㎝이다. 각 도별 지도 및 군현별 지도, 군사 요충지 지도가 수록되어 있으며, 세계 지도, 외국 지도, 요계 관방도(遼葪關防圖), 조선 전도 등도 수록되어 있다. 군현 지도에는 제1책 경기도, 제2책 충청도, 제3책 전라도, 제4책 경상 좌도, 제5책 경상 우도, 제6책 평안도 및 황해도, 제7책 강원도 및 함경도가 해당되며, 제3책인 전라도 편에서 무주부의 지도와 주기를 확인할 수 있다.

제3책 『광여도』「전라도 무주부」에는 관내 행정 구역으로 북면(北面), 서면(西面), 풍서면(豊西面), 신동면(身東面), 풍동면(豊東面), 유야면(柳野面), 상곡면(裳谷面), 풍남면(豊南面), 횡천면(橫川面), 일안면(一安面), 이안면(二安面)의 위치가 표시되어 있다. 객사(客舍), 향교(鄕校), 주자 영당(朱子影堂), 죽계 서원(竹溪書院) 등 주요 시설들과 함께 오대 사고(五大史庫) 중의 하나였던 적상산 사고(史庫)가 표시되어 있다. 창고는 북창(北倉), 서창(西倉), 풍창(豊倉), 안성 사창(安城社倉)이 표시되어 있다. 전체적인 지형이 북동쪽으로 치우쳐 있고 실제 지형과 상당히 왜곡되어 있다. 자연 지형을 보면 산줄기와 강줄기가 배치되어 있지만 구체적인 것이 아니라 추상적인 위치에 그려 놓았고, 주로 주요 시설 및 건물들에 대한 정보를 담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무주부 주기의 주요 사항을 보면 민호 5,660호, 녹봉을 받은 관원의 수, 밭[田] 2,018결, 논[畓] 1,346결, 산성 둘레 5,533파(把), 창고 수 등이 기록되어 있다. 또한 동쪽 거창(居昌), 서쪽 금산(錦山), 남쪽 장수(長水), 북쪽 옥천(沃川)까지의 거리와 함께 각 11개 면까지의 거리를 기록하고 있다.

[특징]

『광여도』의 형식면에서 보이는 특징은 지도와 설명문이 분리되어 있다는 점이다. 도면과 별도로 쓴 설명문에는 호구, 전결, 부세, 군정 등 군현의 사회 경제적 사정을 알려주는 항목들이 주로 설명되고 있다. 이러한 항목들로부터 조선 후기 무주부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