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6501107 |
---|---|
한자 | 斜川里九億山神祭 |
영어공식명칭 | Gueok Religious ritual for the mountain Spirit in Sacheon-ri |
분야 | 생활·민속/민속 |
유형 | 의례/제 |
지역 | 전라북도 무주군 적상면 사천리 구억 마을 |
집필자 | 이상훈 |
중단 시기/일시 | 2003년 - 사천리 구억 산신제 중단 |
---|---|
의례 장소 | 산제당 - 전라북도 무주군 적상면 사천리 구억 마을 |
성격 | 마을 신앙|마을 제사 |
의례 시기/일시 | 음력 1월 3일 자시 |
신당/신체 | 산제당|위패 |
[정의]
전라북도 무주군 적상면 사천리 구억 마을에서 산신에게 지내던 마을 제사.
[개설]
사천리 구억 산신제는 음력 1월 3일 자시(子時)[밤 11시부터 오전 1시 사이]에 마을 뒷산 중턱에 자리한 산제당에서 마을의 안녕과 풍년을 기원하며 마을 공동으로 지냈던 제사이다.
[연원 및 변천]
무주군 적상면 사천리 구억 마을에서는 산제당에서 사천리 구억 산신제를 모셨으나 2003년 무렵에 중단되었다. 산신제를 서로 모시지 않으려 하고, 마을 사람들이 교회에 다니기 때문이다. 구억 마을에는 그동안 지낸 산신제의 세세한 내용을 기록한 「동중 산제기(洞中山祭記)」가 잘 보관되어 있다.
[신당/신체의 형태]
구억 마을 산제당은 마을 뒷산 큰 고목 옆에 자리 잡고 있다. 산제당은 정면, 측면 각각 1칸 규모로 쌍여닫이문으로 되어 있다. 지붕은 본래 기와였으나 양철로 개량되어 있었다. 산제당 안에는 ‘산신지위(山神之位)’라 새겨진 위패가 모셔져 있다.
[절차]
사천리 구억 산신제는 음력 정월 초사흗날 밤 11시부터 오전 1시 사이에 이루어졌다. 제관(祭官)은 음력 섣달 보름에 ‘산제동회(山祭洞會)’를 열어 부정이 없고 생기복덕이 맞는 사람으로 제관 한 명과 집사 두 명을 뽑는다. 제관이 결정되면 섣달 그믐날 금줄을 치고 황토를 뿌려 다른 사람의 출입을 막는다. 제관은 목욕재계를 하면서 깨끗한 마음으로 제를 지내게 된다. 제사 비용은 산제답(山祭畓)[논 1마지기, 밭 2군데]과 산재(山財)가 있어 충당하며, 제물(祭物)은 제관이 무주장에 가서 사온다. 이때 절대로 값을 깎지 않는다. 제물은 돼지머리, 삼색실과, 백설기, 메, 3탕, 미역 등을 준비하며, 이때 모든 음식에 고춧가루를 쓰지 않는다. 제물 중 돼지머리는 정육점에서 사지 않고 마을에서 기른 돼지를 사용한다. 제의는 일반적으로 유교식 절차에 따라 대개 진설(陳設), 재배(再拜), 헌작(獻爵), 재배, 산제축(山祭祝), 소지(燒紙), 음복 등의 순서로 진행된다. 축문을 읽고 소지를 집집마다 한 장씩 올린다. 이때 특별히 기원할 일이 있는 사람은 별도로 쌀 한 말씩 내고 독소지[왼장 소지]라 하여 큰 종이로 소지를 올리면서 기원한다.
[축문]
유세차 간지 ◯◯년 ◯월 ◯삭 ◯일 간지 본리 거민 전속 유학 ◯◯◯ 감소고우
토지지신 복유존신 대전선화지사 일방비민 유조사안락 유신지사 사포이란
유신지우 도민지덕 감인혜택 고소신미 거매신공 이리동속 사탄기궁 보사급진
유월지성 생주수박 식출미성 유신감각 서감유충 망수무구 극유시종 상향.
[부대 행사]
사천리 구억 산신제가 끝나면 마을 앞에 있는 조그마한 느티나무에 금줄을 치고, 금줄에 화선지를 꽂은 후 간단하게 밥을 약간씩 접시에 놓는다. 이것으로 제의는 끝난다. 이튿날 마을 사람들이 모여 음복하면서 즐겁게 논다. 마을 앞 느티나무가 있던 자리에는 본래 큰 고목나무가 있었으나 고사하고 현재의 나무를 심었다고 한다.
[현황]
무주군 적상면 사천리이 구억 마을은 김해 김씨에 의하여 형성되었으며, 기러기가 날아와 앉는 형세에 자리 잡고 있다고 한다. 사천리 구억 산신제는 2003년 무렵 중단되었다. 산신제를 서로 모시지 않으려고 하고, 마을 사람들이 교회에 다니기 때문이다. 비록 사천리 구억 산신제는 중단되었으나 구억 마을에서 잘 간직하고 있는 「동중 산제기」에는 1947년[정해년(丁亥年)] 정월(正月) 초(初) 육일(六日)부터 해당 연도 밑에 제주의 성함, 수입과 지출 내력 등을 기록하고 있다. 광복 후인 1947년부터 현재까지 기록을 남겨 놓고 있는 「동중 산제기」는 그동안 산신제를 행한 제관과 제물 종류, 물가 등의 변동을 파악할 수 있는 자료가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