탕정성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7100350
한자 湯井城
영어공식명칭 Tangjeong Fortress
분야 역사/전통 시대
유형 유적/유적(일반)
지역 충청남도 아산시
시대 고대/삼국 시대/백제
집필자 강종원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조성|건립 시기/일시 18년 7월연표보기 - 탕정성 축조
현 소재지 읍내동산성 - 충청남도 아산시 읍내동 지도보기
성격 산성
양식 포곡식 석축 산성
관련 인물 온조왕
크기(높이,길이,둘레) 970m[둘레]

[정의]

충청남도 아산시 읍내동읍내동산성으로 추정되는 삼국시대 산성.

[개설]

탕정성(湯井城)은 백제 한성(漢城) 도읍기에 마한(馬韓) 목지국(目支國)[월지국(月支國)]을 병합한 이후 아산 지역을 관할하기 위해 축조한 성으로 읍내동산성(邑內洞山城)에 비정된다.

[건립 경위]

백제는 8년(온조왕 26)에 마한을 병합하였고, 이듬해 원산(圓山)과 금현(錦峴) 두 성을 함락한 후 그 지역에 대두산성(大豆山城)[대두성(大豆城)]을 쌓았다. 그리고 18년(온조왕 36) 7월에는 탕정성을 쌓고 대두성의 민호를 나누어 옮겨 살게 하였으며, 25년(온조왕 43)에는 왕이 아산 벌판에서 5일 동안 사냥하였다고 한다.

마한의 병합에 대해서는 246년(고이왕 13) 한(韓) 세력과 중국 군현(郡縣) 세력과의 충돌로 마한 연맹체가 해체되었고, 백제가 등장하면서 결국 백제가 마한 연맹체의 맹주국인 목지국을 복속한 것으로 이해되고 있다. 이들 기록으로 보아 아산 지역은 한성 초기에 마한의 병합 과정에서 백제의 영역으로 편제되었으며, 탕정성은 이들 지역을 관할하기 위해 축조되었을 것으로 파악된다.

[위치]

아산시 중심에서 동남쪽으로 2㎞ 떨어진 읍내동 뒷산의 산성에서 백제시대 기와 조각과 토기 조각이 확인되고 있는데, 이곳이 탕정성에 비정되는 읍내동산성인 것으로 추정된다.

[형태]

읍내동산성은 동서로 마주 보고 있는 두 개의 봉우리를 에워싸면서 삼태기형으로 축조된 석축 산성이며, 둘레는 약 970m이다.

[현황]

백제는 사비기(泗沘期)에 지방통치조직으로 방군성제(方郡城制)를 실시하였는데, 이때 아산 지역은 탕정군(湯井郡)으로 편제되었다. 탕정성은 군의 치소(治所)였을 것으로 추정되는데, 군에는 군장(郡將) 3인이 배치되어 행정과 군사를 담당하였으며 대개 5~7개의 성을 관리하였다. 따라서 탕정성은 사비기에 군의 행정·군사 기능을 담당하였던 중심지였다고 볼 수 있다.

탕정군은 삼국통일 이후인 671년(문무왕 11) 탕정주(湯井州)로 승격되었다가 10년 뒤인 681년(신문왕 1) 다시 탕정군이 되었다. 통일신라 시기에 탕정군의 치소가 어디에 두어졌는지 확인되지는 않지만, 탕정성의 명칭이 더 이상 확인되지 않는 것으로 보아 치소나 명칭의 변경이 있었거나 아니면 폐성되었을 가능성도 고려해 볼 수 있다. 읍내동산성 안에서 동벽, 남벽, 북벽에 3개의 문지(門址)를 비롯해 건물지, 우물터 등이 확인되었다.

[의의와 평가]

‘탕정’은 끓는 물이 분출되어 나오는 우물이라는 뜻으로 현재 온양온천을 지칭하는 것이다. 온양온천이 역사속에 처음으로 등장하여 지명화되는 것으로 온양온천이 역사 속에 인식되는 출발이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