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7100568
한자 牙山尹勝求家屋
영어공식명칭 Asan Yoonseunggu Gaok
이칭/별칭 윤승구가옥
분야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적/건물
지역 충청남도 아산시 둔포면 해위안길30번길 16-1[신항리 123-1]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김선명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건립 시기/일시 1844년연표보기 - 아산윤승구가옥 건립
문화재 지정 일시 1990년 12월 31일연표보기 - 아산윤승구가옥 충청남도 민속문화재 제15호 지정
문화재 지정 일시 2021년 11월 19일 - 아산윤승구가옥 충청남도 민속문화재 재지정
현 소재지 아산윤승구가옥 - 충청남도 아산시 둔포면 해위안길30번길 16-1[신항리 123-1]지도보기
성격 가옥
양식 홑처마 팔작지붕[안채 지붕]|맞배지붕[뒤편 광채 지붕]
정면 칸수 4칸[안채]
측면 칸수 2칸[안채]
관리자 윤승구
문화재 지정 번호 충청남도 민속문화재

[정의]

충청남도 아산시 둔포면 신항리에 있는 조선 후기 윤승구의 주거 건축.

[개설]

아산윤승구가옥(牙山尹勝求家屋)은 조선 후기의 전통 가옥으로, 충청남도 아산시 둔포면 신항리에 세거해 온 해평윤씨 집안의 종가여서 집안의 사람들은 흔히 ‘종가댁’이라 부른다. 1990년 12월 31일에 충청남도 민속문화재 제15호로 지정되었다가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청 고시에 의해 문화재 지정번호가 폐지되어 민속문화재로 재지정되었다.

[위치]

아산윤승구가옥은 충청남도 아산시 둔포면 해위안길30번길 16-1[신항리 123-1번지]에 있다. 마을 북동쪽에 불룩 솟은 낮은 언덕을 배산으로 삼아 서남향으로 자리 잡고 있다. 해평윤씨 일가 공동의 대문을 지나 들어가며, 해평윤씨 집안 여러 가옥 중 중간쯤에 있다. 아산윤승구가옥 뒤에는 신항감리교회가 있다.

[변천]

아산윤승구가옥은 ‘숭정기원후사갑진십일월초일일(崇禎紀元後四甲辰十一月初一日)’이라는 상량문으로 볼 때 1844년(헌종 10)에 아산시 둔포면 신항리 큰새말 해평윤씨 입향조라고 할 수 있는 윤취동(尹取東)[1798~1863]이 지었음을 알 수 있다. 그 후 그의 아들 윤웅렬(尹雄烈)[1840~1911], 손자 윤치호(尹致昊)[1866~1945], 증손 윤영선(尹永善)으로 이어졌다.

건립 이후의 세부적인 변천 과정은 확인되지 않으며, 1990년 문화재 지정 당시부터 지속적으로 보수가 이루어지며 관리되고 있다. 오랫동안 경작지로 이용되었던 아산윤승구가옥 앞의 넓은 땅이 최근 정리되었고, 아산윤승구가옥의 사랑채 앞도 3~4벌 대의 석축을 두른 넓은 마당이 마련되었으며, 2016년 방염 처리 공사가 이루어졌다.

[형태]

아산윤승구가옥은 ㄱ자형의 안채, ㅡ자형의 사랑채와 문간채가 기본적으로 튼 ㅁ자형의 배치 구조를 보인다. 안채의 뒤[북서쪽]와 사랑채 앞마당에 각각 큰 규모의 광채가 배치되어 있다. 안채 동남쪽에는 화장실이 붙어 있는 헛간채, 사랑채 동남쪽에는 별채라 할 수 있는 아래채가 배치되었다.

안채는 정면 4칸, 측면 2칸의 ㄱ자형으로, 가운데 4칸의 대청마루를 중심으로 바라보며, 왼쪽의 꺾인 부분에 2칸의 안방, 오른쪽에 1칸 건넌방을 배치하였다. 안방 왼쪽에 다락이 있는 부엌을 배치하였고, 안방 바깥쪽에는 툇마루를 설치하였다. 지붕은 홑처마 팔작지붕이다.

사랑채는 정면 3칸, 측면 3칸의 크기이다. 전면 열 3칸에 툇간을 두었고 전면 열 3칸과 건물 동쪽에 툇간 마루를 설치하였다. 그중 건물의 오른쪽 가운데 1칸에는 사방에 문을 달아 마루방으로 만들었다. 사랑채 중앙에 사랑방을 두었고 그 뒤편에 마루방과 한 칸이 겹치도록 2칸의 방을 배치하였다. 지붕은 홑처마 팔작지붕이다.

사랑채 오른쪽, 밖에서 보아 왼쪽에 이어 붙은 문간채는 정면 3칸, 측면 1칸의 ㅡ자형으로 대문과 2칸의 헛간이 있고, 대문 앞에 안채를 가릴 높이의 내외담이 있다. 아래채는 정면 4칸, 측면 2칸으로 바라보며 왼쪽의 앞 3칸에 마루, 그 뒤에 1칸과 2칸의 방, 맨 오른쪽에 부엌을 배치하였다. 사랑채와 이어진 담 중간에 일각문을 두어 안채 앞과 대문을 거치지 않고 밖으로 통할 수 있게 하였다.

아산윤승구가옥의 특별한 건물은 광채이다. 안채 뒤편의 광채는 붉은 벽돌과 일부 회색 벽돌로 벽체를 쌓고 지붕은 전통 목조건축의 맞배지붕을 올렸다. 길이 12.9m, 너비 3.1m여서 비교적 규모가 크며, 앞면에는 2개의 판문을 달고 좌우 옆면과 뒷면에 통풍과 채광을 위해 창을 두었다. 문간채 밖의 바깥마당 광채는 벽돌로 쌓은[조적조] 맞배지붕 광과 3칸 팔작지붕 목조건축의 광이 이어져 있으며 지붕은 높이차를 두고 이었다.

[현황]

아산윤승구가옥은 한동안 방치되다시피 하여 일부 건물은 무너지기 직전의 상태에 이르기도 하였다. 1990년의 문화재 지정 이후 지속적인 정비와 보수가 이루어져 전면적으로 새로운 면모를 갖추게 되었다. 바깥 광채도 벽돌 건물과 목조 건물을 분리해 정비해 놓았다.

[의의와 평가]

아산윤승구가옥은 배치 구조가 이 지역의 일반적인 튼 ㅁ자형을 따르고 있으면서도 건물 배치에 있어서 일정한 축선이 없이 자유로운 비대칭적 형식을 띠고 있고 건물 사이 간격이 넉넉하다. 사랑채의 기단석은 민가에서 흔히 보기 어려운 모습이다. 화강석을 잘 다듬어 만든 큼직한 장대석으로 두벌대의 기단을 조성하여 위엄을 보인다. 벽돌로 쌓은 큰 규모의 2동의 광채[창고]도 아산윤승구가옥의 중요한 특징이다. 가옥 건립 이후 후대에 추가로 건립되었을 것으로 추정되며, 이곳 해평윤씨 일가의 재력을 엿볼 수 있는 건물이다. 아산윤승구가옥의 형태상 여러 특징은 아산 지역 전통 가옥의 다양성을 보여 주는 중요한 자료라 할 수 있고, 윤웅렬윤치호 등 근대 개화기 인물과의 관련성에서 역사적 의미를 부여할 수 있는 유적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