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비 전승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7101437
한자 口碑傳承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개관)
지역 충청남도 아산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전진희

[정의]

충청남도 아산 지역에서 말과 기억으로 전해 내려오는 민요·전설·속담·수수께끼·방언 등 민간 지식의 총체.

[개설]

구비 전승(口碑傳承)은 문자나 행위가 아니라 말로써 전해지는 문화의 모든 것을 말한다. 구비 전승은 말로 전해지는 방식을 따르기 때문에 문자로 전승되는 문자 문화와 다른 경향이 있다. 과거로부터 현재까지 전승자들의 선택을 받은 것이 전승되기 때문에 끊임없이 변화한다. 구비 전승의 종류에는 민요·전설·속담·수수께끼·판소리 등이 있다.

[민요]

충청남도 아산의 민요는 특히 『한국구비문학대계4-3』 충청남도 아산군편에 자세하게 연구되어 있다. 충청남도 아산군편에는 5개 면으로 나누어서 총 20편의 민요가 수록되어 있는데, 송악면 7편, 선장면 2편, 영인면 5편, 음봉면 3편, 신창면 3편 등이다. 『한국구비문학대계』에는 제보자의 성명, 나이와 지역, 조사 연월일, 조사자 성명까지 기록되어 있으며, 민요를 부를 때의 현장 분위기, 민요의 가창 방식까지 상세하게 적혀 있다. 『한국구비문학대계』에는 의식요 중 상여소리가 5편 포함되어 있다. 아산의 민요가 가장 많이 실린 자료집은 1961년 임동권이 채록한 『한국민요집』 1권으로, 총 139편의 민요가 채록되었다. 아산의 대표적인 민요 작품으로는 「논매기 노래」, 「집터 다지기 노래」, 「베틀노래」, 「뱃노래」 등이 있다.

[전설]

전설은 입에서 입으로 전달하는 구비문학의 한 장르이다. 전설에는 전승 집단의 가치관과 역사의식이 담겨 있다. 전설은 마을 단위로 전승되기 때문에 그 지역민들의 생활상이 보이고 지역민의 가치관이 스며들어 있다. 그리고 전설은 민중의 관점에서 바라본 역사이기도 하므로 그 지역 민중의 삶과 의식을 이해하고 그 지역의 특성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아산의 전설이 수록된 문헌 자료로는 『한국민속종합조사보고서』, 『충청남도지』, 『한국구비문학대계4-3』 충청남도 아산군편, 『아산군지』상(上), 『충남의 구비전승』상(上), 『한국구전설화』, 『온양아산의 구비문학』 등이 있다. 아산 전설의 종류로는 암석 전설, 지명 전설, 인물 전설, 산악 전설, 동물과 식물, 효행 전설, 충절 전설, 사랑을 주제로 한 전설, 그리고 인과응보가 담긴 전설이 있다. 아산의 대표적인 전설로는 「어금니바위의 전설」, 「온양온천」, 「꾀꼬리성」, 「긔해바위」, 「벼락바위」, 「구리바위」 등이 있다.

[속담]

민중의 삶의 공간에서 전해 내려오는 옛말에는 속담이 있다. 속담의 언어적 표현은 매우 광의적이며, 격언·명언·고사·금기어 등이 포함되어 있다. 속담은 때로는 교훈적인 의미보다는 풍자의 효과를 나타내기 위해서 사용되기도 한다. 이런 점에서 속담의 일상적 공간성과 언어적 구비성은 일상적 소통 공간에서 얻어진 통속적이면서도 진솔한 삶의 지혜나 예지를 간결하게 표현한다. 아산 지역의 속담은 해당 지역민의 삶과 경험과 지혜의 응축물이다.

[현황 및 의의]

충청남도 아산의 구비 전승은 1970년대에 들어서 본격적으로 수집되었다. 온양문화원에서는 아산의 구비문학을 정리하여 『온양아산의 구비문학』이라는 자료집을 발간하였다. 빠르게 잊혀 가는 과거의 구비 전승을 『온양아산의 구비문학』에 기록한 의미가 있으며, 아산 시민들이 쉽게 아산의 구비문학을 찾아볼 수 있게 되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