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8800902 |
---|---|
한자 | 金克成 神道碑 |
분야 | 종교/유교 |
유형 | 유적/비 |
지역 | 충청남도 보령시 청소면 재정리 687-1 |
시대 | 조선/조선 후기 |
집필자 | 김사현 |
관련 인물 생년 시기/일시 | 1474년 - 김극성 출생 |
---|---|
관련 인물 몰년 시기/일시 | 1540년 - 김극성 사망 |
건립 시기/일시 | 1613년 - 김극성 신도비 건립 |
현 소재지 | 김극성 신도비 - 충청남도 보령시 청소면 재정리 687-1 |
성격 | 신도비 |
양식 | 갓머리 비석 |
관련 인물 | 김극성 |
재질 | 화강암 |
크기(높이, 너비, 두께) | 350㎝[비신 높이]|120㎝[비신 너비]|25㎝[비신 두께]|200㎝[대좌 너비]|200㎝[대좌 두께] |
[정의]
충청남도 보령시 청소면 재정리에 있는 조선 전기 문신 김극성의 신도비.
[개설]
김극성 신도비(金克成 神道碑)는 조선 전기 문신으로 1506년 중종반정(中宗反正)에 가담해 분의정국공신(奮義靖國功臣)에 녹훈된 김극성(金克成)[1474~1540]의 행적을 기리기 위해 세웠다. 신도비가 언제 세워졌는지는 정확히 알 수 없으나, 신도비의 글은 1613년(광해군 5) 월사(月沙) 이정귀(李廷龜)가 짓고, 동원(東原) 최응천(崔應天)이 글씨를 썼다. 신도비의 글은 이정귀의 시문집인 『월사집(月沙集)』에 수록되어 있다.
[김극성의 생애]
김극성은 본관이 광산(光山), 자는 성지(成之), 호는 청라(靑蘿)·우정(憂亭)이다. 1474년(성종 5)에 태어나 1496년(연산군 2) 사마시(司馬試)에 입격하고 1498년(연산군 4) 별시문과(別試文科)에 급제하였다. 1500년(연산군 6) 서장관(書狀官)으로 명나라에 다녀와서 북평사(北評事)에 이어 병조정랑(兵曹正郎), 사인(舍人) 등을 역임하였다. 1506년(중종 원년) 중종반정에 공을 세워 분의정국공신 4등으로 녹훈되어 장악원정(掌樂院正), 서천군수(舒川郡守), 장례원판결사(掌隷院判決事), 병조참의(兵曹參議)를 역임하고, 광성부원군(光城府院君)에 봉해졌다. 1518년(중종 13) 예조참판(禮曹參判)과 경상도관찰사(慶尙道觀察使) 등을 역임하고, 1521년(중종 16) 공조참판으로 정조사(正朝使)에 임명되어 명나라에 다녀와 대사헌(大司憲)에 올랐다. 1523년(중종 18) 예조판서(禮曹判書)에 이어 이조판서(吏曹判書), 평안도관찰사(平安道觀察使)를 역임하였다. 찬성(贊成), 병조판서(兵曹判書) 등을 역임하다, 김안로(金安老)[1481~1537]와 그 일파의 모함으로 1531년(중종 26) 정광필(鄭光弼)[1462~1538]과 함께 흥덕(興德)에 유배되었다. 1532년(중종 27)에 김안로가 사망하자 귀양에서 풀려 찬성, 좌의정(左議政)을 거쳐 우의정(右議政)에 이르렀다. 1540년(중종 35) 67세에 사망하였다. 시호는 충정(忠貞)이다.
[위치]
김극성 신도비는 장항선 청소역 인근 평촌삼거리에서 동쪽으로 약 2.5㎞ 이동 후 삼거리에서 북쪽으로 1.3㎞ 떨어진 곳에 있다. 신도비 북쪽에 김극성의 사우[광성부원군 사우]가 있다.
[형태]
김극성 신도비는 비각 안에 있다. 비각은 맞배지붕의 겹처마로 이익공식(二翼工式)이다. 비는 대좌에서 높이 350㎝, 너비 120㎝, 두께 25㎝ 정도이며, 대좌는 거북이 형상으로 등 부분에 연화문을 양각하였다. 대좌는 너비 200㎝, 두께 200㎝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