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화리 양지 봉수제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8001120
한자 界火里陽池烽燧祭
분야 생활·민속/민속
유형 의례/제
지역 전라북도 부안군 계화면 계화리 양지마을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이상훈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시작 시기/일시 1995년연표보기 - 계화리 양지 봉수제 시작
의례 장소 계화리 양지 봉수제 - 전라북도 부안군 계화면 계화리 양지마을지도보기
성격 민간 신앙|마을 제사
의례 시기/일시 음력 정월 대보름날 오전 10시 무렵
신당/신체 계화산 정상부에 있는 봉수

[정의]

전라북도 부안군 계화면 계화리 양지마을에서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개설]

계화리 양지 봉수제 는 봉수에 지낸다고 하여 봉수제라 불리나 실제로는 당산제이다. 계화리 양지 봉수제는 정월 대보름날 오전 10시 무렵에 계화산 정상부에 있는 봉수에서 양지마을의 안녕과 풍어를 기원하는 마을 공동의 제사이다.

부안 지역에서 행해지는 당산제는 일반적으로 정월 초에서 보름날에 행하여지며, 제주는 종교적인 의미로 깨끗한 사람을 선정한다. 초상집에도 가지 않고 비린 것과 개고기를 먹지 않은 사람을 의미한다. 보통 제관, 축관, 집사 등을 선정한다. 제주는 보통 남자로 선정하는데, 제물은 주당산과 따로 준비한다. 제물은 돼지머리를 비롯하여 삼색실과, 주(酒), 포(脯), 떡 등이 준비된다. 비용은 일반적으로 마을 재산이나 공동으로 갹출한 것으로 충당한다. 제는 진설, 재배, 초헌, 축, 아헌, 종헌, 소지, 음복 순으로 유교식 절차로 진행되며, 제가 끝나면 함께 음복하고 마을의 대소사를 논의한다.

[연원 및 변천]

부안군 계화면 계화리 양지 봉수제는 본래 봉수의 기능을 담당했다. 『세종실록지리지』에 의하면 ‘계화도 봉수대는 남으로는 점방산 봉수대에 응하고 북으로는 만경현의 길곶이 봉수대에 응한다.’고 하였다. 계화도 봉수대는 해발 246m의 계화산 정상에 위치한다. 그런데 1995년에 계화도 봉수를 복원하면서 조선 시대 통신 수단이었던 봉수가 마을 공동체 신앙의 대상으로 되면서 봉수제가 시작되었다. 매우 독특한 신앙 대상이 되었다. 그런데 이곳은 옛날 가뭄이 심할 때 불을 피우며 기우제를 모셨던 곳이다. 기우제를 모셨던 계화산 정상에 봉수를 복원하면서 마을 당산 신체로 모신 것이라 생각이 든다.

[신당/신체의 형태]

계화산 정상부에 1995년 복원된 봉수는 2단 원통형으로 되어 있다. 일반적인 봉수 형태이고, 크기는 높이가 3m 정도 된다.

[절차]

계화리 양지 봉수제 는 음력 정월 대보름날 오전 10시 무렵에 행하여진다. 제관은 깨끗한 사람으로 정하여 지낸다. 제물은 예전에는 소머리를 준비했으나 지금은 돼지머리를 비롯하여 소고기포, 명태, 삼실과, 밥 등이 준비된다. 비용은 청년회에서 준비하고 일시적으로 군에서 지원받기도 했다. 제는 유교식 절차에 의해 진행되었으며, 축문을 읽고 소지를 올리면서 마을의 안녕과 풍어를 기원하였다. 봉수제가 끝나면 양지 포구 선착장에 모여 풍어제를 모셨다. 풍어제 역시 봉수제와 같은 절차로 진행되며, 제를 마치면 마을 사람 모두가 함께 절을 올린다. 그리고 선착장 앞에서 미리 준비된 띠배에 불을 붙여 바다로 띄워 보냈다. 띠배에는 소원을 적은 종이와 선원 모양의 허수아비가 실려 있다. 한 해의 액을 바다로 떠나보낸다.

[부대 행사]

계화면 양지마을에서는 봉수제와 풍어제가 끝나면 풍물패와 놀면서 음복한다. 특히 풍어제 후에는 마을 주민들이 계화초등학교로 이동하여 운동장에서 달집태우기를 진행한다.

[현황]

부안군의 해안 지역에서는 풍어와 항해의 안전을 기원하는 신앙이 잘 모셔졌으나 부안 인근 해안에 계화도 간척 사업새만금 간척 사업으로 풍어제 등이 사라지고 있다. 그런데도 계화리 양지의 봉수제와 풍어제는 그 명맥을 잇고 있다. 과거에 가뭄이 들 때 계화산 정상에서 모닥불을 피워 기우제를 모셨다고 한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