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8001331
한자 扶安郡誌[1991]
영어공식명칭 Buangunji
분야 지리/인문 지리
유형 문헌/단행본
지역 전라북도 부안군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최진성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간행 시기/일시 1991년연표보기 - 『부안군지』[1991] 전라북도 부안군 간행
소장처 국립 중앙 도서관 - 서울특별시 서초구 반포대로 201[반포동 산60-1]
소장처 전북대학교 제2 도서관 - 전라북도 전주시 덕진구 백제대로 567[금암동 663]
소장처 전라북도청 도서관 - 전라북도 전주시 완산구 효자로 225[효자동3가 1]
간행처 전라북도 부안군 - 전라북도 부안군 부안읍 당산로 91[동중리 222-1]지도보기
성격 향토지
저자 전북향토문화연구회
편자 전북향토문화연구회
표제 부안군지

[정의]

1991년에 간행된 전라북도 부안군의 역사와 문화 전반을 정리한 향토 지리지.

[개설]

『부안군지』[1991] 는 1947년에 만들어진 『부안군지』 이후 약 46년 만에 간행된 전라북도 부안 지역의 향토 지리지이다.

[편찬/간행 경위]

『부안군지』[1991]는 전북향토문화연구회가 전라북도 부안군으로부터 위촉을 받아 지리, 역사, 정치, 경제, 사회, 교육, 종교, 민속 등 14편으로 편성하여 기술하였다. 주로 전라북도 부안군 출신 교수들을 중심으로 하는 전라북도 대학교 교수들이 전공 분야별로 집필하였다. 전라북도 부안군의 과거 및 현재의 중요한 사실들을 빠짐없이 수록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부안군의 개발 계획이나 부안군에 대한 진취적인 연구 계획 관련 사실 등도 함께 소개하였다.

[서지적 상황]

『부안군지』[1991] 는 국립 중앙 도서관, 전북대학교 제2 도서관, 전북도청 도서관 등에 소장되어 있다.

[형태]

가로 20㎝, 세로 27㎝ 크기이며, 분량 1,447쪽 내외의 1책이다.

[구성/내용]

『부안군지』[1991] 는 약 1,447여 쪽에 걸쳐 집대성된 향토 지리지로서 연혁, 지리, 역사, 정치·행정, 산업·경제, 보건·사회, 관광 자원, 교육, 종교, 언론·사회단체, 문화와 예술, 유적과 유물, 민속, 인물 등으로 주제를 구분하여 편찬되었다. 제1편 연혁에 이어, 제2편 지리 부분은 자연 지리와 인문 지리, 제3편 역사 부분은 선사 시대, 통일 신라 시대, 고려 시대, 조선 시대, 현대, 제4편 정치·행정 부분은 행정, 정당과 선거, 지방 자치제와 선거, 제5편 산업·경제 부분은 농업, 농지 개발 사업, 수산업, 기타 산업, 상공업, 경제, 동력 자원과 그 실태, 제6편 보건·사회 부분은 보건 의료 행정, 보건 의료 자원, 보건 의료 사업 실적, 사회 복지, 체육, 제7편 관광 자원 부분은 국공립 공원 변산반도의 모든 것, 관광 명소, 제8편 교육 부분은 근대 이전의 교육, 현대의 교육 등으로 세부 목차를 구성하였다.

제9편 종교 부분은 민간신앙, 불교, 유교, 기독교, 신흥 종교, 제10편 언론·사회단체 부분은 언론, 사회단체, 제11편 문화와 예술 부분은 문학, 음악, 문화 단체, 제12편 유적과 유물 부분은 지정 문화재, 유적, 유물, 제13편 민속 부분은 의·식·주, 통과 의례, 세시 풍속, 민속놀이, 설화, 민담, 전승기법, 제14편 인물 부분은 과거 급제자, 관직자, 효열 등으로 세부 목차를 구성했으며, 부록에는 부안현(扶安縣)[현 전라북도 부안군의 조선 시대 이름]의 읍성과 관아 위치를 그린 평면도를 넣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세부 목차들을 중심으로 그동안 새로워진 부안의 자연환경과 인문 환경 관련 요소들을 정리·발굴·기술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주로 전북향토문화연구회를 중심으로 부안 또는 전라북도에서 활동하는 관련 부분 전공자들을 중심으로 집필진을 구성하여, 세부 목차에 따른 소주제들의 선정과 함께 내용의 완성도를 높였다.

[의의와 평가]

『부안군지』[1991] 는 6·25 전쟁 이후로 변화되어 온 전라북도 부안군의 역사와 문화를 모두 담아내려고 노력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