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2200699 |
---|---|
한자 | 金剛般若波羅密經-上- |
영어음역 | Geumgangbanyabaramilgyeong |
영어의미역 | Vajracchedika-Prajnaparamita-Sutra (First) |
이칭/별칭 | 『금강경(金剛經)』 |
분야 | 종교/불교,문화유산/기록 유산 |
유형 | 문헌/전적 |
지역 | 경상남도 창원시 의창구 봉곡동 산139-9 |
시대 | 조선/조선 후기 |
집필자 | 배상현 |
문화재 지정 일시 | 2005년 7월 21일 - 금강반야바라밀경(상)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432-4호 지정 |
---|---|
문화재 지정 일시 | 2021년 11월 19일 - 금강반야바라밀경(상)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재지정 |
성격 | 불교경전 |
편자 | 기화 |
간행연도/일시 | 조선 중기 |
권수 | 1권 |
책수 | 1책 |
사용활자 | 목판본 |
가로 | 19.7㎝ |
세로 | 34.3㎝ |
소장처 | 봉림사 |
소장처 주소 | 경상남도 창원시 봉림동 산139-9 |
문화재 지정번호 |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
[정의]
경상남도 창원시 봉림동 봉림사에 소장되어 있는 조선 중기 불교 경전.
[개설]
『금강반야바라밀경(金剛般若波羅密經)』은 흔히 줄여서 『금강경(金剛經)』이라 불린다. 주석서로는 당나라 종밀(宗密)의 찬요(纂要), 양나라 부대사(傅大士)의 찬(贊), 당나라 혜능(慧能)의 구결(口訣), 송나라 야보(冶父)의 송(頌), 송나라 종경(宗鏡)의 제강(提綱) 등 다섯 사람의 주석을 종합한 『금강경오가해(金剛經五家解)』가 유명하다. 금강반야바라밀경(金剛般若波羅密經)(상)은 『금강경오가해(金剛經五家解)』에 조선 전기의 승려 득통(得通) 기화(己和)[1376~1433]가 다시 해설을 붙인 금강경오가해설의(金剛經五家解說宜)이다.
[편찬/발간 경위]
기화가 입적한 후 왕이 홍준(弘濬)·신미(信眉) 등에게 명하여 교정·회편(會編)하게 함으로써 유통되었다. 본서에는 간기가 없어 정확한 간행시기와 간행처를 알 수 없다. 2005년 7월 21일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432-4호로 지정되었고,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청 고시에 의해 문화재 지정번호가 폐지되어 경상남도 유형문화재로 재지정되었다.
[서지적 상황]
현재 전해지는 『금강반야바라밀경』의 판본으로는 1482년(성종 13) 운흥사판, 1495년(연산군 1) 간본, 1525년(중종 20) 심원사(深源寺)판, 1530년(중종 25) 광흥사(廣興寺)판, 1537년(중종 32) 신안사(身安寺)판, 1569년(선조 2) 동원사(同願寺)판 등이 있다.
[형태]
본서는 상(上)·하(下) 2책 중 상권 1책에 해당한다. 목판본이며, 판심제는 ‘금강경(金剛經)’이다. 책의 크기는 가로 19.7㎝, 세로 34.3㎝이고, 반곽 크기는 가로 16.5㎝, 세로 22.8㎝이다. 표지는 감색 삼베로 제책되어 있으며, 지질은 닥종이이다. 첫 장에는 붓으로 ‘시주(施主) 지인(智仁)’이라 쓰여 있다. 각 장의 괘선 우측 하단에는 시주자의 이름이 새겨져 있고, 각 장의 상단 여백 부분에는 독자가 필기한 주해 내용이 적혀 있다.
[구성/내용]
당나라 종밀의 찬요, 양나라 부대사의 찬, 당나라 혜능의 구결, 송나라 야보의 송, 송나라 종경의 제강과 조선 전기의 승려 득통 기화의 해설이 붙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