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6800003
한자 氣候
영어공식명칭 Climate
이칭/별칭 날씨,일기,기상
분야 지리/자연지리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경상북도 청송군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황상일

[정의]

경상북도 청송군에서 일정 기간의 평균 기상 상태.

[개설]

경상북도 청송군은 한반도의 생물기후 구분도에서 대구형(大球形)에 속하며, 한반도 내에서도 매우 독특한 기후 양상을 보이는 지역이다. 대구형은 소백산맥의 푄현상으로 인해 강수량이 적은 것이 특징이다. 일조시간이 길며, 기온은 높고 습도는 낮은 편에 속한다.

[강수]

『1981~2010 한국기후도』에 따르면, 경상북도 청송군의 14년간 연평균강수량은 996.7㎜로, 동일 위도상의 충청남도 보령 1,260.5㎜와 약 264㎜의 강수량 차이를 보인다. 2016년 『제56회 청송통계연보』에 따르면, 청송군의 2009년 강수량은 1,085.5㎜, 2010년 1,073.8㎜, 2011년 1,251.5㎜, 2012년 1,047.0㎜, 2013년 979.9㎜, 2014년 960.4㎜, 2015년 755.1㎜로 확인되었다. 2011~2015년 청송군의 연평균강수량은 998.8㎜로 1981~2010년의 평균치와 거의 일치한다.

우리나라 남부지방의 연평균강수량은 1,000~1,800㎜로, 청송군은 한반도 내에서 가장 적은 강수량을 나타내는 지역 가운데 하나이다. 연강수량의 50~60%가 여름철에 집중되는 대륙성기후의 특징을 보이며, 12~2월에는 북서계절풍이 소백산맥에 막혀 평균강수량이 연평균강수량의 5% 내외로 겨울철 가뭄 현상이 발생하기도 한다. 2005년 겨울에는 가뭄으로 인해 청송읍 덕리 18가구 58명, 금곡3리 8가구 22명이 소방차를 통해 식수를 공급받기도 하였다. 또한, 2009년에는 겨울철 가뭄으로 경상북도 45개 마을 5,900여 명이 식수난을 겪었고, 청송군의 마을에서는 제한 급수를 시행하기도 하였다.

[일기 일수]

청송군의 2011년부터 2015년 5년간의 일기 일수를 살펴보면, 일평균 운량이 2.5 미만임을 나타내는 ‘맑음’은 492일로 나타났다. 일평균 운량이 2.5 이상 5.5 미만을 나타내는 ‘구름조금’은 531일로 나타났으며, 일평균 운량이 5.5 이상 7.5 미만을 나타내는 ‘구름많음’은 315일로 나타났다. 일평균 운량이 7.5 이상을 나타내는 ‘흐림’은 498일로 나타났으며, 강수량이 0.1㎜ 이상인 날을 나타내는 ‘강수’는 520일로 일기 일수 중 가장 많은 날을 기록하였다. 다만, 청송군은 강수 일수 대비 강수량이 적어 연평균강수량은 적게 나타난다.

서리 일수는 318일이었으며, 안개 일수는 263일, 강설 일수는 86일로 집계되었다. 뇌전[천둥과 번개]은 57일로 집계되었으며, 최대풍속이 13.9㎧ 이상 달하는 일수를 나타내는 폭풍은 0일로 집계되었다. 황사 일수는 27일로 2~4월에 집중적으로 나타났다.

[기온]

『1981~2010 한국기후도』에 따르면, 청송군의 14년간 연평균기온은 10.8℃로, 강원도 철원군의 연평균기온 10.3℃와 비슷한 수치이다. 동일 위도의 충청남도 보령시 12.9℃와는 약 2℃ 차이가 난다. 이처럼 청송군은 건조하고 혹독한 기상 조건으로 대변되는 대륙성기후를 보이고 있다.

2016년 『제56회 청송통계연보』에 따르면, 청송군의 2009년 연평균기온은 12.5℃이며, 2010~2012년까지는 12.2℃, 2013년은 12.4℃, 2014년은 12.5℃, 2015년은 12.4℃이다. 이 기간에 여름철 가장 높은 기온을 나타내는 최극값은 2012년에 관측된 38℃이며, 겨울철 가장 낮은 기온을 나타내는 최저극값은 2013년에 관측된 -20.4℃이다. 2011부터 2015년 청송군의 평균기온[매일 3, 6, 9, 12, 15, 18, 21, 24시의 8회 간측치를 산술 평균한 수치]은 12.4℃로, 1981년부터 2010년의 평균치보다 약 1.6℃ 오른 것으로 집계되었다.

[바람]

청송군을 포함한 한반도는 계절풍의 영향을 받는 지역으로, 봄·가을·겨울에는 대륙성고기압에 의해 서풍계 풍향이 지배적이며, 여름철에는 북태평양고기압에 의해 동풍이나 남풍계가 상대적으로 우세하다. 청송군 일대는 서쪽의 소백산지가 지형적 장애물 역할을 하면서 풍속이 약한 편이다. 2016년 『제56회 청송통계연보』에 따르면, 청송군의 2009년 평균풍속은 1.6㎧이며, 최대풍속은 8.0㎧, 최대순간풍속은 16.9㎧로 관측되었다. 2010년의 평균풍속은 1.6㎧, 최대풍속은 9.4㎧, 최대순간풍속은 18.2㎧로 관측되었다. 2011년의 평균풍속은 1.7㎧이며, 최대풍속은 9.2㎧, 최대순간풍속은 17.4㎧로 관측되었다. 2012년의 평균풍속은 1.8㎧이며, 최대풍속은 10.3㎧, 최대순간풍속은 20.4㎧로 관측되었다. 2013년 평균풍속은 1.6㎧이며, 최대풍속은 10.0㎧, 최대순간풍속은 16.7㎧로 관측되었다. 2014년의 평균풍속은 1.6㎧이며, 최대풍속은 9.1㎧, 최대순간풍속은 16.6㎧로 관측되었다. 2015년의 평균풍속은 1.6㎧이며, 최대풍속은 9.1㎧, 최대순간풍속은 16.6㎧로 관측되었다.

[습도와 일조시간]

습도와 일조시간은 인간의 활동 및 농작물의 생육과 대단히 밀접한 관계가 있다. 청송군 일대는 경상분지의 내륙 중앙에 위치하고 있으며, 소백산맥의 푄 현상으로 인해 강수량이 적고 일조시간이 길며, 기온은 높게 나타난다. 따라서 습도가 낮은 편에 속한다.

2016년 『제56회 청송통계연보』에 따르면, 청송군의 2009년부터 2015년까지 평균 상대습도는 2009년 65%, 2010년 67%, 2011년과 2012년 64.7%, 2013년 65.5%, 2014년 63.1%, 2015년 63.0%로 관측되었다. 청송군의 2009년부터 2015년까지의 일조시간은 2009년 2,186.3시간, 2010년 2,030.6시간, 2011년 2,129.7시간, 2012년 2,221.6시간, 2013년 2,527.1시간, 2014년 2,434.1시간, 2015년 2434.1시간으로 관측되었다.

[최심신적설량]

최심신적설량(最深新積雪量)은 하루 중 눈이 가장 많이 쌓였을 때의 깊이를 측정한 값이다. 청송군은 한반도 내에서 가장 적은 강수량을 나타내는 지역 가운데 하나이며, 연강수량의 50~60%가 여름철에 집중되는 대륙성기후의 특징을 보인다. 12~2월에는 북서계절풍이 소백산맥에 막혀 평균강수량이 연평균강수량의 5% 내외로 겨울철 가뭄을 발생시키기도 한다. 따라서 강설 일수가 적은 편에 속한다.

2016년 『제56회 청송통계연보』에 따르면, 청송군의 2009년 최심신적설량은 3.1㎝, 2010년의 최심신적설량은 7.3㎝, 2011년의 최심신적설량은 2.9㎝, 2012년의 최심신적설량은 11.6㎝, 2013년의 최심신적설량은 4.2㎝, 2014년의 최심신적설량은 6.5㎝, 2015년의 최심신적설량은 6.5㎝로 관측되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