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40020064 |
---|---|
한자 | 淑泉川 |
영어공식명칭 | Sukchonchon Stream |
이칭/별칭 | 숙천 |
분야 | 지리/자연 지리 |
유형 | 지명/자연 지명 |
지역 | 대구광역시 동구 내곡동|사복동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황상일 |
전구간 | 숙천천 - 대구광역시 동구 내곡동의 초례봉과 경상북도 경산시 하양읍과 대구광역시 동구의 경계를 이루는 428.1고지 사이의 계곡에서 발원, 대구광역시 동구 사복동 일대에서 금호강으로 합류 |
---|---|
해당 지역 소재지 | 숙천천 -
대구광역시 동구 내곡동|사복동![]() |
성격 | 하천 |
면적 | 5.75㎢ |
길이 | 6.88㎞ |
대구광역시 동구 내곡동 계곡에서 발원하여 금호강으로 합류하는 지방하천.
대구광역시 동구 내곡동의 초례봉[635.7m]과 경상북도 경산시 하양읍과 대구광역시 동구의 경계를 이루는 428.1고지 사이의 계곡에서 발원하여 대구광역시 동구 사복동 일대에서 금호강으로 합류하는 지방하천으로 유로연장은 6.88㎞, 유역면적은 5.75㎢이다. 낙동강수계에 속하며 낙동강의 제2지류이다.
숙천동(淑泉洞)은 과거 맑은 샘이 서너 군데 있다 하여 숫샘이라 부르다가 현 숙천초등학교 교정에 물이 차고 물맛이 좋은 우물이 있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며, 숙천천은 숙천동 지명에서 유래한 것으로 생각된다.
숙천천은 오목천이 합류하는 대구광역시 동구 금강동 일대부터 금호강에 합류하는 지점까지 하도상에 사력 퇴적지가 넓게 형성되어있다.
숙천천이 흐르는 대구광역시 동구 내곡동의 초례봉과 경상북도 경산시 하양읍과 대구광역시 동구의 경계를 이루는 428.1고지 사이의 계곡은 대구신서혁신도시에서 초례봉으로 올라가는 등산로로 이용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