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40004877 |
---|---|
한자 | 大德祭 大邱-山祝祭 |
영어공식명칭 | Daedeokje “Daegu Apsan Festival” |
이칭/별칭 | 대구앞산빨래터축제,앞산,빨래터,퍼레이드,퍼포먼스 |
분야 | 문화·교육/문화·예술 |
유형 | 행사/행사 |
지역 | 대구광역시 남구 앞산순환로 369[대명동 585]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이혜경 |
시작 시기/일시 | 1987년 4월 11일![]() |
---|---|
특기 사항 시기/일시 | 2015년![]() |
관련 사항 시기/일시 | 2015년 4월 11일~12일 - 제22회 대구 앞산빨래터 축제 축제 개최 |
특기 사항 시기/일시 | 2020년![]() |
관련 사항 시기/일시 | 2020년 4월 25일~26일 - 제27회 대덕제 “대구앞산축제” 개최 |
관련 사항 시기/일시 | 2021년 4월 24일~25일 - 제28회 대덕제 “대구앞산축제” 개최 |
행사 장소 | 앞산빨래터공원 -
대구광역시 남구 앞산순환로 369[대명동 585]![]() |
행사 장소 | 남구 구민체육광장 -
대구광역시 남구 고산4길 71[봉덕동 1272-1]![]() |
주관 단체 | 대구광역시 남구청 -
대구광역시 남구 이천로 51[봉덕동 565-5]![]() |
행사 시기/일시 | 매년 4-5월경 이틀간 |
전화 | 053-664-2081 |
홈페이지 | http://apsanfestival.kr |
대구광역시 남구 대명동 앞산 빨래터에서 매년 4~5월경에 개최되는 행사.
대덕제 “대구앞산축제”는 1987년 4월 11일 ‘대덕제’라는 축제명으로 최초로 개최되었다. 대구광역시에서 가장 오래된 지역 축제이다. 2015년 행사부터 ‘대구 앞산빨래터 축제’로 이름을 변경되었으며, 2020년에는 ‘대덕제 “대구앞산축제”’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대구앞산축제가 열리는 대구광역시 앞산 빨래터는 마을 주민들이 한 군데 모여 빨래를 하던 곳이다. 2007년 6월, 앞산순환도로 확장으로 인하여 빨래터의 기능을 상실하게 되자 대구광역시 남구청에서 공간 활용을 위하여 도시공원 및 주민 휴식 공간인 앞산빨래터공원으로 새롭게 조성하였다. 남구청에서는 빨래터의 역사·문화적 소재를 부각시키고자 축제를 기획하였다.
대덕제 “대구앞산축제”는 대구광역시 남구 주민들이 기획하고 대구 시민들이 참여하는 체험 프로그램으로 다수 마련되어 있다. 전통 혼례 및 다도 시연, 앞산빨래터 사투리 대회, 가요제 등 공연 행사가 진행되고, 손빨래, 다듬이, 다도, 쑥떡쑥떡 체험, 비누 만들기, 집게 꾸미기, 석고 방향제 만들기, 천연 염색 등 다양한 체험 행사와 맛둘레길 1㎞ 구간을 따라 위풍당당 퍼레이드 행사가 준비되어 있다.
대덕제 “대구앞산축제” 2021년 행사는 코로나19로 인하여 대면·비대면 병행 개최로 열렸다. 2021년 4월 24일과 25일 양일간 열린 제28회 대덕제 “대구앞산축제”는 대덕식당에서 삼성공원아파트까지 30여 팀 2,000여 명이 벌인 ‘대구 앞산 퍼레이드’, 주민과 반려견이 함께 참여하며 코스튬 선발대회 및 행운권 추첨이 진행된 ‘펫 퍼레이드’, 주민들이 직접 참여하여 빨래를 하는 ‘빨래터 RPG’, 140여 명의 봉사단체 및 현장 참여자들이 벌린 ‘손빨래 퍼포먼스’ 등의 오프라인 행사가 이루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