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1702631 |
---|---|
한자 | 農旗 |
영어의미역 | Symbol Flag of Farmers´ Cooperative Group |
분야 | 생활·민속/민속 |
유형 |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
지역 | 충청남도 공주시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이걸재 |
[정의]
충청남도 공주시 일원에서 농악대들이 들고 다니는 두레를 상징하는 깃발.
[개설]
농기는 농악대들이 들고 다니는 두레를 상징하는 깃발이다. 농기를 만드는 두레의 여건에 따라 각각 다른 농기를 세웠으며, 여기에 딸려서 붙는 물품 또한 달랐다. 공주 지역의 농기에는 각기 다른 서열이 있다.
[농기의 종류와 서열]
1. 용담기
서열이 최상위인 용담기는 고장을 대표하는 경우에 한하여 제작한다. 예를 들어 면(面) 대표로 시 전체가 참여하는 민속놀이 마당에 출연하는 풍물단이나 시 대표로 도 단위의 마당에 출연하는 경우에 세운다. 또한 마을에 큰 무당이 있어서 마을 운영에 영향을 미치는 경우에도 세운다. 기의 내용은 청룡과 황룡 1쌍 또는 청룡이나 황룡 중 하나를 그리며, 부속 물품은 청홍 영기이다. 우성면 도천리 도천 두레, 신풍면 선학리 선학 두레 등에서 용담기를 보유하고 있다.
2. 신농기
서열이 2위인 신농기는 머릿두레나 서당 또는 두레의 추앙을 받는 양반 가문이 있는 마을에서 제작한다. 머릿두레란 지금의 리 단위에 작은 마을들이 있어 각각의 두레를 세우는 경우 그 중에서 으뜸인 두레를 칭하며, 대부분이 본동 두레로 일컬어진다. 한 마을에 두레가 하나인 경우 신농기를 세우지 못한다.
기의 내용은 신농유업(神農遺業)이고, 부속 물품은 청홍 영기(신농사령기)이다. 의당면 율정리 본동 두레, 의당면 수촌리 태실 두레, 의당면 송학리 은두레, 탄천면 송학리 동편 두레, 우성면 봉현리 봉현 두레 등에서 모두 현존하는 신농기를 보유하고 있다.
3. 대본기
서열이 3위인 대본기는 하위 두레에서 제작한다. 기의 내용은 농자천하지대본(農者天下之大本)이고, 부속 물품은 흑백 영기이다. 신풍면 백룡리 등 다수의 마을에서 대본기를 보유하고 있다.
4. 동작기
서열이 4위인 동작기는 말단(하위) 두레에서 제작한다. 기의 내용은 동작서성(東作西成)이고, 부속 물품은 흑백 영기이다. 이인면 신흥리 등에서 동작기를 보유하고 있다.
5. 신농사령기
서열이 5위인 신농사령기는 말단 두레로 아직은 독립된 두레로 활동하지 못하고 머리 두레에 의지하여 운영하되, 공동 작업만 시행하는 두레가 세우는 농기이다. 혹은 신농기를 세운 머릿두레가 여러 하위 두레를 둔 경우 신농기를 대신하여 움직이는 용도로 제작된다. 기의 내용은 신농사령(神農使令)이고, 부속 물품은 없다. 우성면 봉현리의 현존 농기는 신농기를 대신하고 있다.
[농기의 규격]
1. 깃대 : 17자(510㎝) 이상 24자(720㎝) 이하로 사용한다. 일반적으로 20자(600㎝)를 선호한다. 농기의 서열에는 관계가 없다.
2. 깃봉 : 꿩털(장끼의 꼬리털)과 갈칡을 이용하여 만든다. 신농사령기에는 달지 못한다.
3. 깃수건 : 깃봉 밑에 매는 흰 천은 가로 1자(30㎝) 세로 3자(90㎝)로 신농사령기에는 매지 않는다.
4. 깃발 : 가로 3자 3치 (99㎝) 세로 10자~12자(300㎝~360㎝)이다. 이는 깃이를 뺀 본천의 규격이고 신농사령기가 신농기의 대용으로 사용할 때에는 이 절반의 규격이다.
5. 깃이[旗幟] : 가로 세로 3치 3분(9.9㎝)의 세모꼴로 만든다. 가로 12개는 1년 12달을 의미하고, 세로 24개는 24절기를 의미한다. 윤달에 농기를 제작해도 이 수는 변하지 않는다.
6. 기 끈 : 농기의 길이에 따라 달라지며, 동아줄을 사용할 경우 반드시 왼동아줄을 사용하였다.
[제작 비용과 금기 사항]
1. 제작 비용 : 농기의 제작 비용은 마을의 큰일로 여겨 1인이 제작 비용을 전담하지 못하게 한다. 부잣집에서 제작 비용을 대는 경우 대부분을 내게 하고 소액이라도 반드시 두레에서 부담한다. 이는 두레가 부잣집에 예속될 수 없음을 상징적으로 표현하는 것이다.
2. 바느질 부정 : 농기 바느질은 두레 구성원의 아낙네들이 공동 작업으로 실시하는데, 부정탄다 하여 여러 가지 금기 사항이 있다. 미혼의 처녀와 바느질하는 날 달거리를 하는 여인은 참여하지 못한다. 또한 혼인하고도 한 해가 넘도록 자식을 출산하지 못한 여인과 자녀가 죽은 지 3년 이내, 대가축이 죽은 지 1년 이내의 여인 등은 참여하지 못한다.
[농기 관련 민속]
1. 농기 춤 : 풍물놀이 중 하나로 농기를 신성시하는 마을에서는 힘자랑의 형태로 전승되었다. 일부 마을에서는 두레 풍물장판의 마지막 판재로 존재했다. 농기의 본기를 들고 가는 장정이 장대를 한손으로 들고 이마로 고누며 깃발과 깃대를 90도가 되도록 눕혀 들고 회전하는 등 풍물 장단에 맞추어 추는 춤이다.
마을 최고의 장정이 두레 농기를 들고 행진하는데 평상시에는 3~4명의 줄꾼이 주변에서 농기 끈을 잡고 도와준다. 농기 춤을 출 때는 혼자하기 때문에 판 안에서 함께 하는 이들에게 흥밋거리였으며, 곳에 따라서는 5~7개의 농기가 함께 춤을 추기도 했다.
2. 농기 싸움 : 두레 싸움의 마지막 판으로 농기 깃봉에 달린 꿩 털을 먼저 뽑으면 이긴다.
3. 농기 세배 : 농기의 서열 때문에 존재한 민속으로 어른 농기에게 절을 올리는 놀이이다. 정월 대보름, 백중 여름두레 먹는 날 등 상하가 분명하여 올리는 기세배는 어른 농기가 있는 마을로 찾아가는 형태이다. 두레 일판에서의 기세배는 같은 곳에서 2개의 농기가 만났을 때 아랫두레 농기가 윗두레 농기에게 절을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