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7300575
한자 古地圖
영어공식명칭 Antique Maps
분야 지리/인문 지리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전라남도 해남군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조광현

[정의]

전라남도 해남 지역이 나타나는 조선시대 지도의 총칭.

[개설]

우리나라의 고지도는 『삼국사기(三國史記)』 등의 문헌을 통해서 고대부터 제작된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현전하는 지도는 대부분 조선시대에 제작되었다. 전라남도 해남 지역이 수록되어 있는 고지도로는 『여지도(輿地圖)』, 『지승(地乘)』, 『광여도(廣輿圖)』, 『비변사인 방안지도(備邊司印方眼地圖)』, 『해동지도(海東地圖)』, 『전라도 지도(全羅道地圖)』 등이 있다. 이들 고지도는 회화식과 방안식(方眼式)으로 구분되는데, 회화식 지도는 『광여도』, 『해동지도』, 『여지도』, 『지승』, 『전라도 지도』이며, 방안식 지도는 『비변사인 방안지도』이다.

[해남 지역의 고지도]

고지도 속의 해남은 현재의 전라남도 해남군 해남읍을 비롯하여 계곡면, 마산면, 문내면, 북일면, 산이면, 삼산면 서부, 현산면, 화산면, 화원면, 황산면, 신안군 비금면을 포함하는 지역이다. 현재 행정구역상 해남군에 속해 있는 옥천면, 송지면, 북일면, 북평면의 경우 조선시대 때에는 영암군에 포함되어 있었다. 해남 지역이 수록되어 있는 고지도는 다음과 같다.

① 『광여도』[규장각한국학연구원, 古4790-58, 37×28.3㎝]

1737년(영조 13)~1776년(영조 52)에 제작된 지도책으로, 총 7책이다. 전국 군현 지도와 군사요충지가 수록되어 있으며 제3책에 해남 지역이 수록되어 있다. 지도 왼쪽에 전라우수영이 있고 성 위쪽에는 충무공 비각이 표시되어 있다. 군사적 요충지로서 봉수대, 선소(船所)[배 만드는 곳], 해창(海倉)[바닷가에 설치한 조창(漕倉)]이 표시되어 있다.

② 『지승』[규장각한국학연구원, 奎15423, 27×19㎝]

조선시대 각도 군현의 지도와 형세를 수록한 지리서이다. 총 6책으로, 제4책에 해남현의 지도가 수록되어 있다. 지도의 뒷면에는 민호수(民戶數)[호구의 수]‚ 장졸수(將卒數)[병력의 수], 유고미(留庫米)[비축해 둔 쌀] 등이 기재되어 있다. 해남 지역의 경우 곳곳에 산성이 있었으나 이 지도에는 표시하지 않았다. 군사적 요충지에 해당하므로 해안에 봉수대, 선소, 해창이 표시되어 있다.

③ 『여지도』[규장각한국학연구원, 古4709-68, 26.5×19㎝]

언제 편찬되고 누가 제작자인지는 밝혀지지 않았으며, 군현별 지도 및 조선 전도·중국 지도가 수록되어 있는 지도책이다. 총 3책이다. 전체 구성은 『광여도』와 동일하지만 읍치에 현내면(縣內面) 등 일부가 생략되어 있고 전라우수영이 확대되어 있다. 제작자가 읍치를 중심으로 지도를 그렸기 때문에 실제 지역과는 다르게 표현되어 있다.

④ 『해동지도』[규장각한국학연구원, 古代4709-41, 47.5×30㎝]

18세기에 제작된 지도책으로, 총 8책이다. 누가 만들었는지는 알려지지 않았다. 우리나라의 「팔도총도(八道總圖)」, 「서북 피아 양계 전도(西北彼我兩界全圖)」가 포함되어 있다. 해남 지역은 제7책 「호남 전도(湖南全圖)」에 수록되어 있다. 지도 왼쪽에 있는 전라우수영은 현재 화원반도의 문내면 서상리, 동외리 일대이다. 성 위쪽에는 충무공 비각이 표시되어 있다. 군사적 요충지로서 봉수대, 선소, 해창이 표시되어 있다.

⑤『전라도 지도』[규장각한국학연구원, 奎10464, 35×25㎝]

1871년(고종 8)~1872년(고종 9)에 전라도 각 부(府)·군(郡)·현(縣)·진(鎭)에서 만들어 올린 지도이다. 해남 지역은 한 장이 수록되어 있다. 다른 지역과 마찬가지로 관읍과 산천·도로·봉수대·창고 등과 각 지역 사이의 거리가 표시되어 있다. 해남현이 해안이므로 수로 및 수심도 함께 표기되어 있다. 게다가 해남현은 임실현과 함께 호구 수와 결총(結摠)[토지세를 걷는 기준이 되는 논밭 면적의 전체 수]까지 표기되어 있다.

⑥ 『비변사인 방안지도』[규장각한국학연구원, 奎12155, 36.3×22.2㎝]

1725년(영조 1)~1776년(영조 52)에 비변사에서 군사용으로 제작한 지도책이다. 총 7책으로 비변사인(備邊司印)이 찍혀 있으며 제5책에 해남현이 수록되어 있다. 지도의 읍치‚ 도로‚ 하천 등이 표시되어 있으며 여백에는 해남현의 연혁이 기재되어 있다. 지도에는 산지와 함께 전라우수영의 모습이 상세하게 묘사되어 있다.

[해남 지역을 그린 고지도의 의의와 평가]

해남 지역이 수록되어 있는 고지도는 모두 18세기 중반에 제작되었으며 구도와 내용이 거의 동일하다.

[참고문헌]
  • 『한국의 옛 지도』(영남대학교 박물관, 1998)
  •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http://e-kyujanggak.snu.ac.kr)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