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동지도』 「해남현」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7300579
한자 海東地圖海南縣
영어공식명칭 Haedongjido Haenamhyeon
분야 지리/인문 지리,문화유산/기록 유산
유형 문헌/문서
지역 전라남도 해남군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김덕진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문화재 지정 일시 2008년 12월 22일 - 해동지도 보물 제1591호로 지정
소장처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 서울특별시 관악구 관악로 1[신림동 산56-1]
성격 고지도
문화재 지정 번호 보물

[정의]

1750년대에 제작된 『해동지도』에 수록되어 있는 해남 지역 지도.

[개설]

『해동지도(海東地圖)』는 1750년대 초에 제작된 회화식 군현지도첩이다. 「조선전도」, 「도별도」, 「군현지도」 외에 세계지도인 「천하도」, 외국 지도인 「중국도」, 「황성도」, 「북경궁궐도」, 「왜국지도」, 「유구지도」, 군사용 지도인 「요계관방도(遼薊關防圖)」 등이 포함되어 있다. 2008년 12월 22일 보물 제1591호로 지정되었으며, 현재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이 소장하고 있다.

[제작 발급 경위]

『해동지도』는 18세기 초반에 만들어진 지도들을 바탕으로 하여 전국적인 행정·군사 정보 등을 일목요연하게 파악하기 위하여 1750년경 제작되었다.

[형태]

『해동지도』는 총 8책의 채색필사본이며, 크기는 가로 47㎝, 세로 30.5㎝이다.

[구성/내용]

『해동지도』 8책 가운데 제6책이 호남 편이다. 전라도 전체 지도 1장, 각 군현별 지도 54장, 제주도 지도 1장이 수록되어 있다. 「해남현」 편은 영암군과 장흥현 사이에 들어 있다.

『해동지도』 「해남현」 에는 주기(註記)가 병기되어 있다. 주기에는 민호, 전답, 환곡, 군병, 거리, 면에 관한 사항이 기록되어 있다. 그 가운데 면은 비곡면, 산일면, 청계면, 산이면, 장내면, 녹산면, 현산면, 마포면, 황원면, 현내면, 화산면, 은소면 등 12개 면의 읍내에서의 초경과 종경 거리가 기록되어 있다. 지도에는 우선, 읍치가 고을 진산인 금강산(金剛山)으로부터 뻗은 산줄기에 의해 둘러싸인 풍수적 형국으로 그려져 있는데 실제 지형도 이와 비슷하다. 그리고 해남 읍성이 그려져 있다. 성벽에 동문·서문·남문이, 성 안에 객사·아사·관공서 등이 그려져 있다. 또한 우수영도 성곽과 성문 및 건물이 그려져 있고, 성 밖에는 ‘충무공비각(忠武公碑閣)’과 ‘원문(轅門)’이 그려져 있다. 특히 명양(鳴洋)[명량(鳴梁)의 오기로 보임]에는 “충무공 이순신이 왜군을 크게 물리친 곳이고, 물 흐름이 화살과 같이 빨라 우는 바다라고 하였다[忠武公大捷處 而水疾如箭 故謂之鳴洋].”라고 적혀 있다.

특히 『해동지도』「해남현」의 특징이라면, 봉수대를 마치 실제 모습처럼 그려 놓은 것이다. 이 외에 향교, 사찰, 역원, 목장 등의 건물을 그림으로 그리고 이름을 적어 놓은 것과 하천을 건너다니는 다리를 그려 놓은 것도 두드러지는 점이다.

[의의와 평가]

『해동지도』 「해남현」 은 조선 후기에 작성된 회화식 지도첩이며, 국방과 관련된 지역을 매우 사실적으로 묘사한 점이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당시 해남현의 지형, 호구, 역원, 서원, 토산 등의 현황을 파악하는 데에 유용한 자료이다.

[참고문헌]
  • 『한국의 옛 지도』(문화재청, 2008)
  • 국가문화유산포털(http://www.heritage.go.kr)
  •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http://e-kyujanggak.snu.ac.kr)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