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5600110
한자 鸚南里
분야 지리/인문 지리
유형 지명/행정 지명과 마을
지역 전라남도 화순군 화순읍 앵남리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박경환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개설 시기/일시 1914년 - 전라남도 화순군 서면 앵남리 개설
변천 시기/일시 1932년 - 전라남도 화순군 서면 앵남리에서 전라남도 화순군 화순면 앵남리로 개편
변천 시기/일시 1963년 1월 1일 - 전라남도 화순군 화순면 앵남리에서 전라남도 화순군 화순읍 앵남리로 개편
전 구간 앵남리 - 전라남도 화순군 화순읍 앵남리 지도보기
성격 법정리
면적 8.2㎢
가구수 76가구
인구[남,여] 142명[남자 83명, 여자 59명]

[정의]

전라남도 화순군 화순읍에 속하는 법정리.

[개설]

화순군 화순읍 앵남리앵무동·화남·신기촌·쌍계동 등 4개의 자연 마을로 이루어져 있다.

[명칭 유래]

앵남리의 지명은 앵무동 마을의 앵(鸚)자와 화남리(花南里)의 남(南)자를 각각 취한 것이다다. 앵무동 마을은 앵무봉충의 명당이 있는 앵무산 아래에 있어 앵무동이라 하였다고 전한다. 화남 마을은 뒷산이 꽃봉오리 형국이라 꽃봉이라 부르는데, 꽃메 남쪽에 있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신기촌 마을은 이전에 서당이 있어서 서동이라 불렀으며 범우굴이라고도 불렀다고 한다. ‘신기촌’이란 원래 새로 형성된 마을이란 뜻의 ‘새터’로 불렸는데 한자로 신기촌(新基村)이라고 표기한 것이다. 신기촌 마을은 다시 신기촌과 역전으로 구분된다. 역전은 앵남역이 만들어지면서 사람들이 역 부근으로 이사와 살게 되면서 불리게 된 이름이다.

쌍계동 마을은 원래 마을 위쪽에 대흥사라는 사찰이 있을 때 형성된 마을로 사찰의 이름을 따 대흥사골로 불리다가, 사찰이 폐사된 이후 맨 위쪽의 골짜기가 두 개여서 쌍계동이라 하였다고 한다. 또한 과거 이곳에 쌍계사가 있어서 쌍계동이라 하였다는 전승도 있다.

[형성 및 변천]

1789년 『호구 총수』에는 화순현 서면 오룡동리(五龍洞里)·대야곡리(大也谷里)·화남리(花南里)로 기록되어 있으며 1867년 『대동지지』에는 화순현 서면, 1895년에는 나주부 화순군 서면, 1896년에는 전라남도 화순군 서면, 1908년에는 능주군 원화순방 서면, 1912년 『지방 행정 구역 명칭 일람』에는 능주군 서면 앵무촌(鸚鵡村)·서동(書洞)·화남리(花南里)·쌍계(雙溪)로 기록되어 있다. 1914년 행정 구역 개편 시 화순군 서면 앵남리(鸚南里)[쌍계동·앵무동·서동·화남리 일부]로 개편되었다. 1932년 11월 1일 서면이 화순면으로 편입되어 화순면 앵남리가 되었고, 1963년 1월 1일 화순읍 승격으로 화순읍 앵남리가 되었다.

[자연환경]

앵남리의 중앙부에 앵무산[333m], 북쪽으로 정광산[355m]이 위치하는 구릉 지역으로, 마을의 남북으로 정광산에서 발원한 하천이 흘러 도곡천으로 합류한다. 앵무촌 마을은 동쪽으로는 땀재·밀암굴, 서쪽으로는 앵무산·모수굴, 남쪽으로는 앵남 분교·산서굴등·유가등, 북쪽으로는 세량리 골짜기가 있으며, 마을의 방향은 동남쪽을 향하고 있다.

신기촌 마을은 동쪽으로는 땀재·유가등이 있고 서쪽으로는 화남 마을이 있으며 남쪽으로는 화남안산이 있고 북쪽으로는 앵남 분교가 있으며, 마을의 방향은 서쪽을 향하고 있다. 쌍계동 마을은 동쪽으로는 뒷동산, 서쪽으로는 앞산, 남쪽으로는 뽀록산, 북쪽으로는 망바우산이 있으며, 마을의 방향은 서쪽을 향하고 있다.

[현황]

앵남리화순읍의 서쪽에 있는 법정리이다. 2011년 12월 기준으로 면적은 8.2㎢, 76가구에 남자 83명, 여자 59명으로 총 142명이 거주하고 있다. 동쪽으로는 화순읍 도웅리, 서쪽으로는 전라남도 나주시 남평읍, 남쪽으로는 도곡면 원화리, 북쪽으로는 화순읍 세량리와 이웃하고 있다. 주요 산업은 벼농사이고 주산물은 쌀, 특산물은 복숭아·마늘·낙농이다.

광주광역시에 있는 광주 대학교에서부터 화순군 화순읍 도곡리와 앵남리를 경유하여 전라남도 나주시 남평읍으로 이어지는 지방도 817호선이 마을의 남북을 지나며, 전라남도 해남군에서 충청남도 금산군을 잇는 국가 지원 지방도 55호선과 전라북도 익산시와 전라남도 여수시를 연결하는 전라선이 마을의 동서를 지난다.

유물 및 유적으로는 고인돌 3기, 선돌 1기, 이진백 소장 고문서, 이진백의 강학소인 무산 정사(武山精舍), 광산 이씨 승지공비[전라남도 문화재 자료 제63호], 대흥사 터[大興寺址] 등이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