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5600820
한자 高士亭
분야 생활·민속/생활,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적/건물
지역 전라남도 화순군 화순읍 상삼2길 31[삼천리 11]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조태성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건립 시기/일시 1678년연표보기 - 고사정 건립
문화재 지정 일시 2008년 12월 2일연표보기 - 고사정 전라남도 화순군 향토 문화유산 제40호로 지정
현 소재지 고사정 - 전라남도 화순군 화순읍 상삼2길 31[삼천리 11]지도보기
성격 누정
양식 단층 팔작지붕 골기와 건물로 좌일실(左一室)을 갖춘 구조
정면 칸수 3칸
측면 칸수 2칸
소유자 해주 최씨 고사정파 문중
관리자 해주 최씨 고사정파 문중
문화재 지정 번호 전라남도 화순군 향토 문화유산 제40호

[정의]

전라남도 화순군 화순읍에 있는 조선 후기 최후헌이 지은 누정.

[개설]

고사정은 숙종 4년(1678)에 최후헌(崔後憲)[?~?]이 부친 최홍우(崔弘宇)를 기리기 위해 건립한 누정이다. 최홍우임진왜란 때 의병장으로 이름이 높은 최경장(崔慶長)의 아들이자 일휴당(日休堂) 최경회(崔慶會)의 조카이다. 고사정은 화순읍 상삼내 마을에 자리하고 있다.

[위치]

현재 화순군 화순읍 상삼2길 31 상삼내 마을에 위치하고 있다.

[변천]

고사정은 1678년 최후헌(崔後憲)이 건립하였다. 1920년경 한 차례 개수된 이래 현재에 이르고 있다.

[형태]

단층 팔작지붕 골기와 건물로 좌일실(左一室)을 갖춘 구조이며, 정면 3칸 측면 2칸의 형식이다.

[현황]

고사정 축조에 쓰인 건축 자료는 나무의 핵심부만 남도록 깎아 다듬은 목재로 알려져 있다. 누정 현판은 조선 후기 명필인 원교 이광사(李匡師)의 필체라고 한다. 고사정 뒤뜰에는 아담한 옛 기와집이 한 채 있는데, 현재 해주 최씨 고사정파 종손이 살고 있다. 앞뜰에는 하마비(下馬碑)가 세워져 있다. 그 옆에 수령 3백 년의 홰나무가 잣나무와 함께 서 있다. 2008년 12월 2일 전라남도 화순군 향토 문화유산 제40호로 지정되었다.

[의의와 평가]

후손이 생활하면서 살핀 덕분인지 고사정과 그 주변은 잘 정돈되어 있다. 울타리 입구에서 누정 오른편을 지나 뒤채로 들어오는 마당의 잔디와 정원수는 보기 좋게 다듬어져 있고, 누정 왼편에는 일상의 먹거리를 담당하는 다양한 푸성귀들이 종부의 손에서 잘 자라고 있다. 수백 년의 역사가 단절 없이 그 자리에서 현재로 이어지고 있는 것이다. 예전에는 99칸이나 되는 너른 집터였다며 아쉬워하는 이들도 있다고 한다. 그러나 사람의 온기가 채 미치지 못하는 규모만 화려한 박제화된 집보다 조상이 남겨준 자리에서 일상을 엮어가고 있는 검박한 집이 당호의 내력에 더 어울리지 않을까 한다.

[참고문헌]
이용자 의견
고** [정의] 전라남도 화순군 화순읍에 있는 조선 후기 최후헌이 지은 누정.이 아니라
전라남도 화순근 화순읍에 있는 조선 후기 1606년 최홍우가 지은 정사로 1774년 고사정이라 명명한 정자이다.로 고쳐야 옳은 표기이다
  • 답변
  •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을 이용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제기하신 의견에 대해 확인 가능한 자료를 보내주시면 검토후 반영하겠습니다. 앞으로도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2020.06.15
고** [현황]에서 현재 해주 최씨 고사정파 종손이 살고 있다.를
해주최씨 승지공파 죽계공 종가로 고침이 바른 표기이다.
  • 답변
  •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을 이용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제기하신 의견에 대해 확인 가능한 자료를 보내주시면 검토후 반영하겠습니다. 앞으로도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2020.06.15
고** [변천]
고사정은 1606년 최홍우(최弘宇)이 건립하였고 1774년(영조 50) 후손 최경석이 이광사의 글씨를 받아 고사정 현판을 게시하였다. 이광사는 1777년 유배지인 진도에서 죽었다.
  • 답변
  •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을 이용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제기하신 의견에 대해 확인 가능한 자료를 보내주시면 검토후 반영하겠습니다. 앞으로도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2020.06.15
고** 고사정은 선조 39년(1606)에 최홍우(崔弘宇)[1562~1636]가 정사(精舍)로 건립한 건물이다. 최홍우는 임진왜란 때 의병장으로 이름이 높은 계의병장 최경장(崔慶長)의 장남이자 충의공 일휴당(日休堂) 최경회(崔慶會)의 조카이다. 고사정은 화순읍 상삼내 마을에 있다.
  • 답변
  •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을 이용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제기하신 의견에 대해 확인 가능한 자료를 보내주시면 검토후 반영하겠습니다. 앞으로도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2020.06.15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