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5600820 |
---|---|
한자 | 高士亭 |
분야 | 생활·민속/생활,문화유산/유형 유산 |
유형 | 유적/건물 |
지역 | 전라남도 화순군 화순읍 상삼2길 31[삼천리 11] |
시대 | 조선/조선 후기 |
집필자 | 조태성 |
[정의]
전라남도 화순군 화순읍에 있는 조선 후기 최후헌이 지은 누정.
[개설]
고사정은 숙종 4년(1678)에 최후헌(崔後憲)[?~?]이 부친 최홍우(崔弘宇)를 기리기 위해 건립한 누정이다. 최홍우는 임진왜란 때 의병장으로 이름이 높은 최경장(崔慶長)의 아들이자 일휴당(日休堂) 최경회(崔慶會)의 조카이다. 고사정은 화순읍 상삼내 마을에 자리하고 있다.
[위치]
현재 화순군 화순읍 상삼2길 31 상삼내 마을에 위치하고 있다.
[변천]
고사정은 1678년 최후헌(崔後憲)이 건립하였다. 1920년경 한 차례 개수된 이래 현재에 이르고 있다.
[형태]
단층 팔작지붕 골기와 건물로 좌일실(左一室)을 갖춘 구조이며, 정면 3칸 측면 2칸의 형식이다.
[현황]
고사정 축조에 쓰인 건축 자료는 나무의 핵심부만 남도록 깎아 다듬은 목재로 알려져 있다. 누정 현판은 조선 후기 명필인 원교 이광사(李匡師)의 필체라고 한다. 고사정 뒤뜰에는 아담한 옛 기와집이 한 채 있는데, 현재 해주 최씨 고사정파 종손이 살고 있다. 앞뜰에는 하마비(下馬碑)가 세워져 있다. 그 옆에 수령 3백 년의 홰나무가 잣나무와 함께 서 있다. 2008년 12월 2일 전라남도 화순군 향토 문화유산 제40호로 지정되었다.
[의의와 평가]
후손이 생활하면서 살핀 덕분인지 고사정과 그 주변은 잘 정돈되어 있다. 울타리 입구에서 누정 오른편을 지나 뒤채로 들어오는 마당의 잔디와 정원수는 보기 좋게 다듬어져 있고, 누정 왼편에는 일상의 먹거리를 담당하는 다양한 푸성귀들이 종부의 손에서 잘 자라고 있다. 수백 년의 역사가 단절 없이 그 자리에서 현재로 이어지고 있는 것이다. 예전에는 99칸이나 되는 너른 집터였다며 아쉬워하는 이들도 있다고 한다. 그러나 사람의 온기가 채 미치지 못하는 규모만 화려한 박제화된 집보다 조상이 남겨준 자리에서 일상을 엮어가고 있는 검박한 집이 당호의 내력에 더 어울리지 않을까 한다.